저작권 관련 사건 사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대한민국| 대한민국]] |
엘림넷과 하이온넷 사건 · 리니지 원작자와 게임사간의 불화T ·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저작권 분쟁 · 구름빵 저작권 분쟁 ·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 뽀롱뽀롱 뽀로로 저작자 확인 소송 · 수학술사 세미 EBS와 양스마일 픽쳐스간 저작권 분쟁 T · 검정 고무신 애니메이션 저작권 논란T · 그르메따라 저작권 논란 · KBO 리그 응원가 저작권 사태 · 야인시대 2차 창작물 저작권 위반 논란 · 안전가족 합성물 차단 사태 · Dark and Darker/프로젝트 애셋 도용 및 반출 논란 · 누누스터디 사건 |
[[미국| 미국]] |
오스왈드 래빗 판권 마찰 · 미키 마우스 저작권 문제/ 미키마우스법 · 킹콩 시리즈 저작권 분쟁 · 오퍼레이션 블랙 레이지T | |
[[일본| 일본]] |
사자에상 버스 사건 T · 오자루마루 원작자의 계약 문제로 인한 원작자의 사망 T · 도라에몽: 노비타의 바이오하자드 차단 사건 · 카게로우 프로젝트 저작권 분쟁 T · 윳쿠리 차번극 상표권 등록사건T · 우마무스메 코나미의 특허권 침해 소송 사건 | |
[[소련| 소련]] |
테트리스 저작권 분쟁T | |
T: 파생작, 미디어 믹스에 발생함 |
1. 개요
▲ Internet Historian의 테트리스를 둘러싼 저작권 관련 이야기를 요약한 영상 (한국어 자막 포함) |
세계적인 퍼즐 게임인 테트리스의 1980년대와 2000년대 이후에 발생한 저작권 분쟁에 대해 다룬다.
2. 1980년대 저작권 분쟁
2.1. 배경: 테트리스, 첫선을 보이다
▲ Electronika 60용 테트리스. 블록 한 칸을 대괄호를 써서 [ ]로 표현했다. |
▲ IBM PC용 테트리스 |
1985년, 소련 과학 아카데미 소속의 개발자 알렉세이 파지노프가 테트리스를 개발한 이후, 같은 아카데미 소속이던 바딤 게라시모프(Vadim Gerasimov, 러: Вадим Викторович Герасимов)[1]와 드미트리 파블로프스키(Dmitry Pavlovsky, 러: Дмитрий Павловский)가 IBM PC용으로 이식했다.[2]
이 IBM PC용 버전은 플로피 디스크에 담겨 여러 곳으로 퍼져나갔고, 소련은 물론이거니와 근방의 동구권 국가들 곳곳에 뿌려졌다. 테트리스의 저작권은 공산주의 이념에 따라 소련 과학기술원에 넘어갔다. 소련 정부의 컴퓨팅 자원을 사용해서 테트리스를 개발했다는 이유로, 파지노프는 자신이 개발한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로열티를 한 푼도 받지 못했다.
2.2. 서막: 서방의 발견
이렇게 테트리스가 여러 곳으로 퍼져 나가게 되자 아류 제작자들이 개발한 불법 테트리스들도 판을 치게 되었는데, IBM PC 밖에도 패밀리컴퓨터, 애플 II, 오락실 기판, 심지어 아타리 2600(...)용 등등 다양한 플랫폼에 이식된 테트리스들이 암시장에 속속 나왔다.한편 영국의 기업인이었던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의 로버트 스타인(Robert Stein)은 헝가리를 방문했다가 아류 제작자들이 개발한 불법 테트리스를 보고 이 게임은 분명히 게임 시장에서 성공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래서 1986년 불법으로 테트리스를 만들어 팔고 있었던 헝가리의 소프트웨어 회사를 구입해 테트리스를 서방에 불법으로 판매했다.
▲ 안드로메다에서 만든 암스트래드 CPC용 테트리스 |
그러나 소련의 저작권을 거래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 기관은 따로 있었으며 이를 대외무역부의 'Elektronorgtechnica(Электро́норгтехника)'(약칭 Elorg/Элорг)[3]에서 담당하고 있었다. 결국 당시 Elorg의 알렉산더 알렉신코(Alexander "Sasha" Alexinco)가 이어받아 협상을 했으며, 결국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의 로버트 스타인은 1988년 5월이나 돼서야 가정용 퍼스널 컴퓨터에 한해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당시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자본주의 국가 특유의 계약서 작성에 익숙하지 않아, 허술하게 계약서가 작성됐다. 라이선스 지불 연체에 대해 연체료 규정이 없었으며, 라이선스를 낸 기기도 '각종 컴퓨터'(different type of computers)라고 적어 놔 비디오 게임기나 아케이드 머신 등으로 확대 해석할 빈틈을 만들었다.
▲ IBM PC판 스펙트럼 홀로바이트 테트리스.
아타리 테트리스와 함께 가장 유명한 버전일 것이다. |
이들 테트리스가 시장에서 성공한 것을 보자 아타리 게임즈에서는 미러 소프트에게서 아케이드 및 비디오 게임기용 하위 라이선스를 따냈고, 1988년에 아타리 테트리스를 출시하여 잭팟을 터뜨렸다. 서양의 오락실마다 아타리 테트리스가 놓인 것을 본 세가에서도 미러 소프트로부터 일본 시장용 테트리스 라이선스를 얻어서 아케이드용으로 세가 테트리스를 발매, 1989년에 제 3회 게메스트 대상을 차지할 정도로 대성공했다.
2.3. 전개: 돌고 도는 불법 라이선스
▲ 분쟁 발생 이전 패밀리컴퓨터(일본 내수판, BPS) 버전 라이선스 내역 |
1988년 1월, 테트리스는 라스베가스의 국제 가전 박람회( CES)에 스펙트럼 홀로바이트 부스에서 최초로 공개 전시되었다. 일본에서 게임 회사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던 헹크 로저스(Henk Rogers)[4]는 이 때 테트리스를 처음 봤으며, 성공을 예감하고 테트리스를 일본 시장에 팔기 위해 일본 내 테트리스 판매 권한을 갖고 있
하지만 실질적으로 원했던 비디오 게임기용 라이선스가 이미 아타리 게임즈에 팔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 헹크 로저스는 다시 미국으로 날아가 아타리 게임즈와 협상을 시도했으나 처음엔 거절 당했다. 이에 그는 아타리 게임즈 본사 주차장에 진을 치고 기다렸다가 저녁 먹으러 나가던 나카지마 히데유키 당시 아타리 게임즈 사장을 붙잡아 저녁 식사 자리에서 그를 설득한 끝에 일본 내 비디오 게임기용 테트리스를 판매할 수 있는
1988년 9월, 헹크 로저스는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의 아라카와 미노루(荒川實) 사장을 찾아갔다. 당시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는 게임보이의 미국 출시를 계획 중이었는데 이를 안 헹크 로저스는 게임보이의 번들 게임으로 테트리스가 완벽하다고 주장했다. 당시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는 게임보이의 미국 발매 시 번들 게임으로 슈퍼 마리오 랜드를 계획하고 있었지만, 헹크 로저스는 슈퍼 마리오 랜드를 주로 즐기는 연령층은 어린이들이지만 테트리스는 누구나 좋아할 게임이기 때문에 테트리스를 번들 게임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라카와 미노루 사장은 이를 듣고 헹크 로저스에게 휴대기기용 테트리스 라이선스를 확보하라고 말했다.
헹크 로저스는 휴대기기용 테트리스의 라이선스를 얻기 위해 아타리 게임즈와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에 접촉했고, 결국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에 라이선스를 준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의 로버트 스타인에 휴대기기용 라이선스를 얻기 위해 협상을 시작했다. 그러나 몇 달이 돼도 로버트 스타인에게서 휴대기기용 라이선스를 얻지 못하자, 시간이 촉박했던 헹크 로저스는 라이선스를 직접 얻기 위해 소련을 방문하기로 마음먹었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의 같은 계열사였던 미러 소프트 역시 게임보이용 테트리스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로버트 맥스웰의 아들이었던 케빈 맥스웰을 대리인으로 소련에 보냈다.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의 로버트 스타인 역시 같은 이유로 소련에 방문했다. 결국 3명이 1989년 2월 21일 같은 목적으로 소련을 방문하면서 동시에 라이선스 획득 경쟁이 시작되었다.
2.4. 절정: 닌텐도의 역습
당시 Elorg 국장이었던 니콜라이 벨리코프(Nikolay Velikov)는 처음에 BPS의 헹크 로저스를 만났다. 헹크 로저스는 니콜라이 벨리코프를 만나자마자 패미컴용 테트리스를 보여주고 이것을 제작하고 유통하는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패미컴이 뭔지도 몰랐고 그것에 대한 라이선스를 준 적이 없다고 말했다. 헹크 로저스는 혼란 속에 더 많은 NES 카트리지를 내놓았으나 반응은 매한가지였다. 그리고는 둘 다 서방 세계에서 여태껏 유통된 테트리스들이 불법이라는 것을 깨닫고 큰 충격을 받았다. 헹크 로저스는 인터뷰에서 이때를 회상하면서 이제 저작권법 위반죄로 굴라크 같은 곳에 끌려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공포에 질렸었다고 한다.하지만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그 대신 이전에 로버트 스타인과 맺은 계약서를 보여주었고, 헹크 로저스는 상술한 계약서의 허점을 발견했다. 라이선스의 목적이 각종 컴퓨터(...different type of computers)로 쓰여져 있었던 것이다. Elorg 측에서 이것은 당연히 IBM이나 애플의 홈 컴퓨터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게임기는 대상 외였던 것이지만, 로버트 스타인은 마치 자신이 모든 시스템에 대한 테트리스의 라이선스를 가진 것처럼 행세했던 것이다. 추가적인 대화에서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닌텐도가 비디오 게임 시장의 70%를 장악했다는 소리를 듣고는 헹크 로저스와 휴대기기용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이후 덤으로 닌텐도에게 비디오 게임용 라이선스를 살 수 있는지 3주 내로 답변을 달라고 말했다. 헹크 로저스는 얼마를 원하든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한 후 곧바로 일본으로 돌아갔다.
그 다음으로 1989년 2월 21일.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의 로버트 스타인을 만났다. 1988년에 맺은 계약서가 허술하게 작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는 이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두 가지 계약서를 제안했다. 하나는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 제공 계약이었다. 그리고 로버트 스타인은 허술한 계약을 이용해 라이선스 비용을 이태껏 지불하지 않고 있었는데,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두 번째로 먼저 런던에 믿을 만한 영국 은행 계좌에 밀린 라이선스 비용 15만 달러를 바로 입금할 것, 그리고 가혹한 연체료 규정을 집어넣었다. 그러나 가혹한 연체료 규정은 계약서 상에서 모호해 확대 해석이 가능했던 컴퓨터라는 단어를 프로세서, 모니터, 하드 드라이브, 키보드 및 운영 체제가 있는 장치로 정의해 라이선스를 확대 해석할 틈을 없애기 위한 전략이었고, 실제로 로버트 스타인은 이 가혹한 연체료 규정을 고치기 위한 연체료 협상에 매몰돼 추가된 문구는 놓치고 말았다. 이 계약서 변경을 통해 로버트 스타인이 가진 테트리스 라이선스는 PC로 제한됐다. 로버트 스타인은 이 의미를 다음 날이 되어서 직접 듣고서야 깨달았고, 이 시점에서 자신이 가진 게 PC판 라이선스 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ELORG는 그런 그에게 아케이드판까지 인정해줄 테니 대신 15만 달러를 내놓으라는 요구를 다시금 하였고, 로버트 스타인이 이걸 승인하면서 로버트 스타인의 권리는 아케이드판까지 확장된다. 하지만 이 역시 오락실용 아케이드에만 해당되는 이야기였지, 패미컴, 게임보이와 같은 가정/휴대용 게임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기에 훗날 텐겐 테트리스가 단종되게끔 만드는 단초가 된다.
그러는 사이에도 22일.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세 번째로 미러 소프트의 대리인, 케빈 맥스웰을 만났다.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이전에 헹크 로저스와 대화했을 때 수많은 테트리스 불법 NES 테트리스 팩을 건네받았는데 이를 내밀며 이에 대해 질문했다. 케빈 맥스웰은 불법 NES 테트리스 팩에 적혀 있는 미러 소프트를 보고 나서야 미러 소프트에서 비디오 게임용 라이선스를 주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됐고, 불법 게임팩임을 인정했다. 그리고 비디오 게임용 라이선스 계약을 맺길 원했고 7만 5천 달러의 선급금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니콜라이 벨리코프는 이미 닌텐도에 베팅하기로 마음을 먹은 상태였기 때문에, 미러 소프트에게는 닌텐도의 제안서에 대해 응찰할 수 있는 권리만 줬다. 케빈 맥스웰은 응찰을 포기했기 때문에 빈 손으로 런던에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헹크 로저스는 소련에서 들은 얘기를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의 아라카와 미노루 사장에게 전달했고, 헹크 로저스와 아라카와 미노루 사장, 그리고 하워드 링컨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 부사장 셋은 그 다음달인 1989년 3월 15일, 비밀리에 소련을 방문했다. 1989년 3월 22일 BPS의 헹크 로저스,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의 아라카와 미노루 사장, 하워드 링컨 부사장 그리고 Elorg의 니콜라이 벨리코프 4인은 닌텐도와 비디오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법정 소송을 통해 불법 테트리스 유통을 막기로 합의했다. 이 계약으로 닌텐도가 Elorg에게 300만~500만 달러의 선급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아타리 게임즈의 무단 게임 발매와 NES용 테트리스 라이선스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던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의 부사장 하워드 링컨(Howard Lincoln)은 그 계약 성사에 대해 훗날 이렇게 회고했다.
"We knew we had those bastards by the balls. We knew we were going to make a fortune on this product and they, in turn, were going to get kicked in the head."
우리는 그 새끼들의 불알을 잡을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는 이 제품으로 돈을 벌었고, 결국 그들은 뒤통수를 맞게 되었습니다.[6]
우리는 그 새끼들의 불알을 잡을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는 이 제품으로 돈을 벌었고, 결국 그들은 뒤통수를 맞게 되었습니다.[6]
2.5. 결말: 소송전 그리고 미하일 고르바초프
Elorg와 닌텐도는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 미러 소프트 그리고 아타리 게임즈에게 "비디오 게임용 테트리스는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에게 권한이 있기 때문에 유통하지 말라"라고 각각 텔렉스와 팩스를 보냈다. 그러나 아타리 게임즈에서는 자회사였던 텐겐의 명의로 패미컴용 텐겐 테트리스에 30만 개의 팩을 생산하는데 3백만 달러를 포함, 수백만 달러를 이미 개발, 패키징, 마케팅에 투자한 상태였다. 아타리 게임즈는 1989년 4월 13일, 테트리스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신청했고, 4월 말 닌텐도에게 테트리스를 NES로 배포할 권리를 주장하면서 반독점법 혐의로 고소했다. 닌텐도는 즉시 상표권 침해 혐의로 반소했다.[7]한편 일본에서는 아타리 게임즈로부터 일본 한정 아케이드 라이선스를 받은 세가의 아케이드용 테트리스가 엄청난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었다. 그리고 이 기세를 몰아 메가 드라이브용 테트리스 출시를 계획하고 개발까지 완료했으나 아타리 게임즈와 닌텐도의 소송전으로 출시를 포기했다.[8] 아직도 일본에서는 테트리스하면 세가의 테트리스를 본좌로 친다.
또한 미러 소프트 역시 Elorg의 결정에 반발했다. 미러 소프트의 대리인이었던 케빈 맥스웰(Kevin Maxwell)은 당시 소련의 서기장이었던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이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Elorg를 협박했다. 케빈 맥스웰의 아버지 로버트 맥스웰은 영국의 언론 재벌 미러 그룹의 총수였지만, 제 1차 중동전쟁 시절 이스라엘에서 체코슬로바키아의 무기를 수입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면서 이스라엘에 영향력 있는 인사가 됐고,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의 연설 또는 책을 출판해 서방에 판매해 소련과도 밀접한 관계였을 뿐 아니라, 레바논 전쟁 덕에 고르바초프와 개인적인 친분을 쌓을 수 있었다. 로버트 맥스웰은 영국의 통상산업부 장관에게 이 문제에 대해 개입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리고 소련 크렘린궁의 당 고위 관계자들에게 이 관련 편지를 보냈고, 결국 소련 모스크바로 건너가 고르바초프를 만날 수 있게 됐다. 사업 얘기를 위해 고르바초프와 만나 주목적이었던 테트리스에 대한 얘기를 꺼냈고, 고르바초프에게서 그 일본 기업에 대해 더 이상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대답을 받아냈다. 실제로 니콜라이 벨리코프에 대해 KGB의 내사가 이루어지기도 했으나 모두 무혐의로 결론났고 그의 직책도 유지되었다. 무엇보다 당시 나라가 거의 망하기 직전이라 정신이 없었던 고르바초프에게는 별로 관심도 없고 신경쓰지도 못할 주제였기 때문에 결국 더 이상 아무런 변화없이 립 서비스로만 끝나고 말았다.
법원에서 아타리 게임즈는 로버트 스타인의 원래 1988년에 맺은 계약인 컴퓨터에 대한 테트리스 라이선스를 인용하면서 NES는 패밀리 컴퓨터이므로 테트리스 게임을 NES에 내는 것이 정당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러나 닌텐도는 1989년 4월 말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의 부사장 하워드 링컨이 한 번 더 소련에 건너가 Elorg의 니콜라이 벨리코프 계약서의 의도에 대한 녹취록 및 여러 가지 증거 자료를 수집했고, 이를 법원에 제출했다. 이 덕에 소송은 닌텐도에게 유리하게 돌아가기 시작했다.
1989년 5월 17일, 법정 소송중임에도 불구하고 텐겐 테트리스는 일간지 전면 광고 아래 출시됐고, 닌텐도는 법원에 판매 금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1989년 6월 14일, 법원에서는 닌텐도의 주장을 인정해 텐겐 테트리스의 제작 및 판매를 금지하는 예비 결정을 내렸다. 1989년 5월 17일 출시 후 1989년 6월 14일 법원이 판매 금지 결정을 내릴 때까지 텐겐 테트리스는 대략 5만 장이 판매됐다. 결국 11월 14일, 1심에서는 닌텐도의 승소 판결이 내려졌고, 아타리 게임즈는 이에 불복하고 항소하였지만 1993년 1월 역시 항소심에서도 닌텐도가 승소하면서, 텐겐 테트리스에 대한 단종 명령이 내려졌다. 결국 아타리 게임즈에서는 텐겐 테트리스를 포기하고 도소매점에 풀린 카트리지를 전량 회수해, 나오지 못한 카트리지까지 총 26만 8천장의 카트리지를 파기했다. 그동안 시장에 나와있던 카트리지는 수집가들이 눈에 불을 켜고 긁어 모았고, 약 30년이 넘은 오늘날에는 신품 기준으로 무려 700달러 이상의 가격에 팔리고 있다.
2.6. 이후
▲ 분쟁 발생 이후 패밀리컴퓨터(일본 내수판, BPS)버전 라이선스 내역 |
알렉세이 파지노프는 소련 붕괴 후 1991년에 미국 시애틀로 이민가서, 1996년에 테트리스의 저작권을 일부 돌려받고[10], 이듬해에 블루 플래닛 스튜디오의 헹크 로저스의 도움을 받아 Elorg와의 합자회사 더 테트리스 컴퍼니를 세웠다.[11] 2005년 더 테트리스 컴퍼니는 역으로 Elorg를 1500만 달러에 인수하면서 더 테트리스 컴퍼니는 현재 알렉세이 파지노프의 테트리스 홀딩스와 헹크 로저스의 블루 플래닛 스튜디오가 5:5로 소유한 기업이 됐다.
그리고 당시에 패배자였던 세가에서는 2010년대 들어서 제한적이지만 하지만 일본 내 테트리스 게임 제작 권리를 되찾았다. 이전까지는 아리카에서 맡고 있던 일본내 아케이드용 테트리스 개발권리가 세가로 넘어간 것. 근데 정작 라이선스 취득 후 세가에서 낸 아케이드 게임은 데카리스라고 커다란 스틱으로 조작하는 빅 테트리스(...)가 전부다. 콘솔쪽에는 뿌요뿌요 테트리스 같은 것도 내놓았지만...
이는 테트리스라는 이름의 영화로도 제작되어 2023년 3월 31일 Apple TV+로 공개되었다.[12] 다만 이 영화는 저작권 분쟁에서 영감을 얻었을 뿐 자세한 내용은 망상에 가까운 허구이다. 일단 테트리스 저작권 분쟁에 난데없는 KGB 요원들이 개입해서 추격전을 벌이는 황당한 사건으로 몰아가며 더 나아가 테트리스 때문에 소련이 망했다(...)는 황당한 비약으로까지 가버려서 중간까지는 잘 만든 영화를 어이없게 만들어버렸다. 영화에서 묘사된 바에 따르면, 테트리스 같은 발명품으로 돈을 벌자 소련놈들이 돈맛을 알아버려 망했다는 식의 묘사인데, 소련은 북한 같지 않게 냉전 당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서구 사회와 무역과 교류를 한 G2 최강국이었다. 일반의 편견과는 다르게 과학 분야를 비롯해서 미국과도 많은 교류를 하기도 했고 영화 초반에서도 묘사되듯 서구 사람들이 소련에 사업 비자를 받고 입국해 사업거리를 가져오기도 하고 무역도 하던 나라였다. 소련이 해체된 이유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중앙정부와 연방 내 공화국 간의 정치적 갈등 등으로 인한 재정 악화에 이어 동독을 비롯한 동유럽 쪽 공산국가들의 붕괴로부터 촉발된 민주화의 바람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있다.
3. 2000년대 이후 저작권 분쟁
알렉세이 파지노프가 설립한 테트리스 컴퍼니 측은 1990년대 말 미국과 유럽에 명칭과 로고에 대한 상표를 등록하고, 테트리스가 자사의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된다고 주장하기 시작하며 2000년에 테트리스 조각의 색을 표준화 한 뒤로 시작된 분쟁으로 2024년 현재까지 계속 분쟁 사례가 등장하거나 분쟁의 여지가 논의되는 상황이다.테트리스 컴퍼니는 2003년 3월 한국에 상륙하여 테트리스의 저작권을 주장하여 한국 내 테트리스 게임이 대거 서비스가 중단되는 테트리스 대란이 일어났다. 넷마블과 한게임 테트리스등 대부분의 회사들은 소송을 감수하고 서비스를 계속할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고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돈을 주고 서비스를 계속하는 길을 선택하였다.
테트리스 컴퍼니 측은 테트로미노를 활용한 다른 게임에 대해 소송이나 DMCA Takedown을 걸고 있다. 2012년에는 미노(Mino)에 대해 미국 법원에서 침해 판결을 받아냈다.( 판결 전문(영어) 판결 설명(한국어)) 판결문은 가로 10줄 세로 20줄, 테트로미노의 색, 다음에 떨어트릴 조각을 표시하는 위치등이 유사하다는 이유를 들어 테트리스 컴퍼니측 테트리스와 외관이 유사하다고 했는데 여기서 제시된 "트레이드 드레스" 개념은 한국법에는 명문으로 인정되는 규정이 아니며, 아직 한국에는 테트리스 게임을 따와서 배포할때 저작권을 침해하는 지에 대한 판례는 없다. 오히려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디어는 저작권이 아니라 특허로 보호 받고 게임을 표현하는 부분만 저작권으로 보호 받는 게 보통이지만 # 미국 법원에서는 트레이드 드레스라는 개념을 통해 테트리스를 보호하였고, 이에 따라 레이싱 게임들이나 FPS 게임들처럼 컨셉이 비슷한 수많은 게임들 역시 소송이 붙을 위험이 있거나 표절 논란이 붙을 수 있게 되었다.[13] 또한 한국에서도 테트리스 컴퍼니 측이 '테트리스' 명칭에 대한 상표권을 취득했기 때문에 테트리스 컴퍼니가 아닌 곳에서 '테트리스'라는 명칭을 사용해 상업적인 게임을 출시할 수는 없다.
테트리스 컴퍼니 측은 라이선스 계약을 할때 테트리스 컴퍼니의 동의 없이는 게임 룰[14]을 변경할 수 없게 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것도 있고 계약할 때 계약서상에 명시해놓는 듯하다. 한게임의 경우 원래 룰대로 테트리스를 만들고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했는데 너무 게임이 느슨하고 재미없다는 의견이 대다수여서 테트리스 컴퍼니에 사정사정해서 룰을 수정했다. 이 때문에 한게임 테트리스는 다른 테트리스 게임들에 비해 라인 클리어 딜레이가 없어 다른 테트리스보다 상당히 속도감이 있고 블록이 미리 지정된 맵이라든지 상대방을 공격할 수 있는 아이템이라든지 특정 블록을 많이 깰수록 이기는 모드 등의 자체 룰이 많은 편이다.
또한 국가별, 플랫폼 별로 출시할 수 있는 타이틀도 엄격히 제한되어 있다. 대부분은 각 분류별 독점 계약만 가능. 테트리스가 한게임에서만 서비스되고 섭종후에도 넷마블 테트리스 크레이지 아케이드 테트리스 등이 서비스를 재개할 수 없는 것은 이 때문. 같은 이유로 현재 세가제 테트리스는 아케이드로만, 닌텐도제 테트리스는 닌텐도제 콘솔로만 나오고 있다. 유일한 예외는 '테트리스 온라인'에서 만드는 테트리스 게임들뿐. 이 회사에만 서브 라이선싱이 허용되어 있을 정도로 라이선싱 조건이 꽤 까다롭다. 하지만 테트리스 온라인 회사에서 제작한 테트리스는 대부분 서비스 종료한 상태다.
심지어 2020년에는 테트리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팬 게임[15] 중 Tetra Online이 스팀에 무료로 올라오자 DMCA 테이크 다운을 걸어버렸다. 결국 Tetra Online 제작자인 학생[16]은 스팀에서 Tetra Online을 내리게 되었으며, 다른 팬 게임 제작자들도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저작권 분쟁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 또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테트리스 컴퍼니가 테트리스 플레이어들과의 소통 없이 게임을 판매하고[17] 팬 게임들을 견제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도 많은 편이다. 이로 인해 테트리스 컴퍼니와 정식 계약한 테트리스보다 테트리스 팬 게임에 유저들이 더 몰리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또한 2023년에는 테트리스 팬 게임 중 TETR.IO의 운영자 OSK가 테트리스 지적재산권 주장에 대해 Mino 지적재산권 침해 사건 판례와 Tetra Online DMCA 사건을 언급하며 TETR.IO의 합법/불법 여부에 관해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영어 원문 한국어 번역
4. 출처
- 지적재산권/테트리스(러시아어)
- 테트리스 이야기(영어)
- Game Over: How Nintendo Conquered The World, David Sheff
- The Story of Tetris - The Gaming Historian
- 테트리스 게임저작권 분쟁사, 정경석
[1]
참고로, 당시에 (만으로)14세였다고 한다(1969년생). -고등학생이...-
[2]
이에 대해서는 세간에 알려진 것과 게라시모프가 주장하는 바가 조금 엇갈린다고 한다. 게라시모프는 자신의 기여도가 실제보다 축소되어 알려졌다고 생각한 듯 하다.
[3]
소련의 정부 기구였으나, 1991년에
민영화되었고 2005년 파산했다.
[4]
원래는 네덜란드 태생이며 세계를 여기저기 돌면서 거주했다. 현재는 미국 하와이 거주 중. 당시에는 일본에서
BPS(Bullet Proof Software)라는 게임 회사를 만들었었다.
[5]
사실 행크 로저스와는 어느정도의 인연이 있는 사이이긴 하다. 예전 잡지에서 야마우치가 바둑에 상당히 애정이 있다고 밝힌 뒤, 미팅을 선두해 패미컴에 바둑게임을 개발할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로저스는 개발비용 3천만옌을 닌텐도 상대로 확보하여 페미컴 디스크 시스템 전용 바둑 게임인
바둑 구로반 대국이라는 게임을 출시하였다.
[6]
아타리가 준비 중이었던 텐겐 테트리스는 라이선스 분쟁도 있었지만, 당시 NES로 출시하는 모든 게임들에 닌텐도가 심사를 하고 스티커를 붙여 준 Seal of Quality 인증을 거부한 최초의 게임이었다. 닌텐도 입장에서는 이 게임에 어그로가 끌릴 대로 끌릴 수밖에 없던 셈이다.
[7]
이 소송 말고도
아타리 게임즈가
NES의 보안용 락아웃칩인 10NES를 무단으로 복제해 사용하다가
닌텐도에게 저작권 침해 혐의로 고소당해 소송 중이었다.
[8]
이 때 세가에서 메가 드라이브용 테트리스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게임이 바로
컬럼스이다.
[9]
게임보이 발매 초기에 번들 게임으로 주었다. 그러나 번들 게임으로 주었다고 해도 이 정도 팔린 건 대단하다.
[10]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취하기 시작한 1985년이나 돼서야 소련의 과학기술원 및 Elorg와 10년 임대 계약(이라고 쓰고 강탈당했다)을 맺을 수 있었다. 실질적인 창작자인 알렉세이 파지노프의 저작권은 임대 계약 기한이 만료된
1996년부터 인정하기 시작했다.
[11]
테트리스에 대한 권리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회사이다.
[12]
영화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13]
예시1,
예시2
[14]
그래서 최신 테트리스를 대부분 "Guideline"(가이드라인) 테트리스라고 부른다. jstris, TETR.IO같은 웹게임들은 엄밀히 말하면 정식 테트리스가 아닌 팬 게임이지만 룰이 비슷해서 가이드라인 테트리스로 통용되곤 한다. 다만 이런 팬 게임들은 룰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는 경우가 꽤 많다.
[15]
보통 테트리스 팬 게임들은 이름에 '테트리스'를 걸지 않는다. 이는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저작권 분쟁에서 불리하게 적용될 여지를 남기지 않기 위해서이다.
[16]
당시 나이 15 ~ 16세로 알려짐
[17]
테트리스 컴퍼니의 가이드라인 테트리스에는 심각한 문제점이 여럿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밸런스를 붕괴시키는 플레이 방법인
센터 4와이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두 명이 플레이 할 때 한 명이 이걸 시작하면 느린 소프트드랍 속도와 긴 줄 제거 딜레이를 가진 가이드라인 특성상 순수 딜량으로 절대 4와이드를 먼저 잡을 수 없어 나머지 한 사람도 어쩔 수 없이 4와이드를 해야 하고 둘이 함께 4와이드를 하게 되면 상대의 공격을 먼저 허용하여 쓰레기 줄을 받고 그 줄까지 공격에 보태기 위해 블럭을 누가 천천히 놓는지 대결을 벌이게 되어 하는 사람도 보는 사람도 흥미가 떨어지게 된다.
실전 영상
패러디 영상 이 때문에 테트리스 팬 게임들에는 4와이드에 패널티를 주는 시스템이 존재하기도 하며, 많은 테트리스 유저들이 가이드라인을 수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낸 적도 있었다. 다만 2023년 7월 현재는 20개의 미노로 16~22줄을 보낼 수 있는
TDPC계열 오프너가 플레이어들에 의해 개발되면서 4와이드의 악명이 낮아지긴 했다. 다만 이것도 개발사가 아닌 플레이어들이 자체적으로 밸런스를 맞춘 것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