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포에니 전쟁의 전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초전 | ||||
사군툼 공방전 | 론 강 전투 | 한니발의 알프스 등반 | |||
히스파니아 전선 | |||||
키사 전투 | 에브로 강 해전 | 데르토사의 전투 | 베티스 고지의 전투 | 카르타고 노바 공방전 | |
바이쿨라 전투 | 일리파 전투 | 수크로 반란 | 카르테이아 전투 | ||
이탈리아 전선 | |||||
티키누스 전투 | 트레비아 전투 | 트라시메노 호수의 전투 | 아게르 팔레르누스 전투 | 게로니움 전투 | |
칸나이 전투 | 1차 놀라 공방전 | 실바 리타나 전투 | 2차 놀라 공방전 | 3차 놀라 공방전 | |
1차 베네벤툼 전투 | 1차 타렌툼 공방전 | 2차 베네벤툼 전투 | 실라루스 전투 | 카푸아 공방전 | |
1차 헤르도니아 전투 | 2차 헤르도니아 전투 | 누미스트로 전투 | 카누시움 전투 | 2차 타렌툼 공방전 | |
페테리아 전투 | 그루멘툼 전투 | 메타우루스 전투 | 크로토나 전투 | 인수브리아 전투 | |
시칠리아와 사르디니아 전선 | |||||
릴리바이움 해전 | 데키모마누 전투 | 시라쿠사 공방전 | |||
아프리카 전선 | |||||
우티카 전투 | 바그라다스 전투 | 자마 전투 | }}} |
1. 개요
기원전 206년,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셉티미우스와 가이우스 라일리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카르테이아 육지와 해상에서 카르타고군을 격파한 전투. 이 전투로 이베리아 반도에서의 카르타고 세력은 완벽하게 일소되었다.2. 상세
기원전 206년, 마고 바르카와 하스드루발 기스코가 이끄는 카르타고군은 일리파 전투에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지휘하는 로마군에게 참패했다. 그 후 두 장군은 이베리아 반도의 최남단 도시인 하데스로 도주했다. 하스드루발 기스코는 모든 걸 포기하고 돌아갔지만, 마고는 여전히 빼앗긴 영토를 회복할 희망을 버리지 않고, 카르타고 원로원에 지원군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스키피오는 적이 회복할 시간을 주지 않기로 하고,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셉티미우스에게 육군을 맡겨 하데스로 직공하게 했고, 친구 가이우스 라일리우스에게 7척의 삼단노선과 1척의 대형 겔리선을 맡겨 해상에서 공격하게 했다.로마군이 접근해오자, 하데스 시의 항구인 카르테이아의 주민들이 귀순하려 했다. 마고는 이 음모를 적발하여 하데스의 총독 아데르발이 지휘하는 함대에 책임자들을 잡아서 카르타고로 압송하려 했다. 이 함대는 8척의 삼단노천과 1척의 대형 겔리선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카르타고 해군이 카르테이아 항을 막 출발했을 때, 라일리우스의 로마 함대가 그들을 발견하고 곧바로 달려들었다. 이리하여 벌어진 해전에서, 2척의 삼단노선이 침몰되었고 여러 척이 무력화되었다. 아데르발은 남은 함선을 이끌고 아프리카 해안으로 도주했다.
얼마 후 카르테이아 인근에 도착한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셉티미우스의 로마군은 6천 명의 보병과 700명의 기병으로 구성된 한노의 카르타고군과 대치했다. 이 중 4,000명은 켈티베리아 용병들이었고 나머지는 아프리카인이었다. 마르키우스는 즉시 이들을 공격하여 격퇴했고, 언덕 위로 몰아넣었다. 켈티베리아인들이 협상을 요청하자, 마르키우스는 가지고 있는 모든 군자금을 내놓고 로마군에서 탈영한 자들을 넘기라고 요구했다. 한노는 용병들의 거센 요구에 버티지 못하고 마르키우스가 원하는 대로 했다. 용병들이 언덕에서 내려오자, 카르키우스는 무기를 전부 버리고 각자의 도시로 돌아가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켈티베리아인들은 "우리더러 벌거숭이가 되라는 말이냐?"라며 분노했고, 즉시 전투를 재개했다. 그러나 로마군의 강력한 전투력에 버티지 못하고 절반 이상이 학살되었고, 나머지는 가까스로 탈출했다. 그들은 마침 용병대를 징집하고 이베리아 해안으로 돌아온 마고 바르카와 합세했다. 마고는 수크로 반란의 여퍄로 스키피오가 카르타고 노바를 비운 틈을 타 함대를 이끌고 그곳을 기습 공격했지만, 손실만 입고 후퇴했다. 이후 하데스로 돌아왔으나, 이미 하데스 원로들이 로마군에 귀순하기로 결의하여 그를 받아주지 않았다. 이에 마고는 하데스의 최고 관리들을 유인해 십자가형에 처한 뒤 이베리아 반도를 완전히 떠났다. 이리하여 카르타고는 이베리아 반도를 영원히 상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