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05:37:59

창덕궁 존덕정

존덕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 승정원)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양사( 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북신문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존덕정
昌德宮 尊德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44년 (창건)
파일:존덕정.png
<colbgcolor=#bf1400> 존덕정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폄우사, 관람정, 승재정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
4.1. 건물 주변4.2. 건물
5.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에 있는 정자이다. 관람지 권역에서 가장 화려하고 규모가 큰 정자이다.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관람지.jpg
<colbgcolor=#bf1400> 관람지 권역. 왼쪽부터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이다.[1]

2. 이름

'존덕(尊德)' 뜻은 '(德)을 높이다(尊)'이다. 임금이 덕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훌륭한 정치를 하라는 마음을 담았다.

3. 역사

헌종 때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1644년( 인조 22년)에 지었다. 첫 이름은 '육면정(六面亭)'이었으나 훗날 '존덕정(尊德亭)'으로 고쳤다. 이후 불타거나 훼손되지 않은 채 오늘에 이른다.
파일:옛날 존덕정.png
<colbgcolor=#bf1400> 왼쪽은 《동궐도》의 존덕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존덕정

4. 구조

4.1. 건물 주변

파일:존덕정 북쪽 연못.pn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북쪽 연못
건물 북쪽에 연못이 있다. 《 동궐도》를 보면 원래는 반월 모양의 연못 반월지(半月池)와 사각형의 연못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러나 나중에 두 연못을 합쳐 하나로 만들어 현재에 이른다.
파일:존덕정 석교.pn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돌다리
존덕정 동편으로 시내가 지난다. 그 위에 돌다리를 세웠다. 아치 위와 옆에 석축을 쌓고 그 위에 돌기둥을 올렸다. 그리고 돌기둥 위에는 돌란대를, 돌기둥 하단에는 판석을 끼웠다. 돌란대와 판석 사이에는 하엽동자기둥을 두어 난간을 구성했다.
파일:존덕정 조형물.pn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조형물
돌다리 동남쪽에 돌로 만든 조형물이 있다. 총 6단으로, 맨 윗단에는 연꽃을 조각했다. 그 아래로 2, 3, 4단은 둥글게 만들었고 단 사이마다 구슬 모양을 새겨넣었다. 5단에는 잎사귀문을 조각했다. 제일 아랫단은 8각으로 만들었으며 덩굴과 모란을 새겼다.
파일:존덕정 일영대.pn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일영대
돌다리와 존덕정 사이에 일영대(日影臺)가 있다. 일영대는 해시계를 올려놓으려고 만든 대로, 원래는 그 위에 해시계가 있었으나 지금은 대만 남았다. 헌종 때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원래는 돌다리의 남쪽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북쪽에 있다.

총 네 단으로, 제일 아랫단은 8각이나 최대한 둥글게 만든 흔적이 보인다. 위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넓어진다. 밑에서 2, 3째 단에는 구름을 새겼고, 제일 윗 단에는 연덩굴을 조각했다. 윗단 상부에는 홈이 파여있는데 해시계를 놓았던 흔적이다.

4.2. 건물

파일:존덕정 난간.pn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난간[3]
각 기둥 하단부마다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서남면, 남면, 동남면 부분에는 기둥 양 옆에 짧게 난간을 두었다. 난간의 모양은 바깥기둥과 안쪽기둥에 설치한 것이 다르다. 안쪽 기둥의 난간은 평난간으로, 풍혈을 뚫은 궁판을 두고 그 위에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둔 형태이다. 바깥기둥의 난간은 '만(卍)'자 형 교란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파일:존덕정 장식틀과 낙양각.png }}} ||<width=268>
파일:존덕정 교창.png
||
<colbgcolor=#bf1400> 존덕정 장식틀과 낙양각[A] <colbgcolor=#bf1400> 존덕정 교창[A]
서남쪽, 남쪽, 동남쪽 칸의 창방에는 연꽃과 덩굴, 기하학적인 문양의 장식 틀을 두고 그 밑에 박쥐 모양의 낙양각을 두었다. 그러나 서북쪽, 북쪽, 동북쪽 칸의 창방 밑에는 교창을 두어 다르게 만들었다.
파일:존덕정 천장.pn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보개천장에 걸린 용 조각[A]
남쪽과 북쪽의 기둥 4개 위에 대들보를 2개 얹었고 그 위에 대들보를 잡아주는 간보를 설치했다. 그리고 대들보와 간보 위에 포대공을 두어 중도리를 받치게 했다. 중도리에는 6각형 모양의 우물반자를 설치하고 그 안의 보개천장에 청룡 황룡을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이 조각해 걸었다. # 반자를 제외한 나머지 천장은 서까래가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각 모서리의 서까래는 부챗살 모양의 선자연 형태이다.
파일:만천명월주인옹자서.png }}} ||
<colbgcolor=#bf1400> 《만천명월주인옹자서》 판
북쪽 칸에 정조가 쓴 《만천명월주인옹자서》 판을 걸어놓았다.

5. 여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rown_Prince_Yoshihito_and_Crown_Prince_Lee_Eun_1907.jpg }}} ||
<colbgcolor=#bf1400> 존덕정에서 사진을 찍은 대한제국 황태자 의민태자(영친왕) 이은(가운데),
일본 황태자 요시히토(왼쪽), 일본 황족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오른쪽)
1907년( 융희 원년)에 일본 요시히토 황태자(훗날의 다이쇼 덴노) 방한하여 창덕궁에 들렀을 때 의민태자(영친왕)과 함께 존덕정에서 찍은 사진이 남아있다.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 ||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홍보 영상.
시기는 2016년 가을이다.
2010년부터 문화재청에서 매년 가을에 여는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장소로 사용한다. 정자 내부에 책을 비치해두어 시민들이 후원의 경치를 보며 독서할 수 있게 한다.[7] 행사 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4월 중순 ~ 5월 중순(봄), 10월 중순 ~ 11월 중순(가을)이다. 창덕궁 후원 입장료만 내면 별도로 들어가는 돈은 없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3]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 [A] 사진 출처 - 카카오맵 [A] 사진 출처 - 카카오맵 [A] 사진 출처 - 카카오맵 [7] 영화당, 폄우사, 취규정도 장소로 활용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