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07:16:29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장.svg
케냐 공화국 대통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b20331;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조모 케냐타 대니얼 아랍 모이 음와이 키바키 우후루 케냐타
<rowcolor=#fff> 제5대
윌리엄 루토 }}}}}}}}}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서재필)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colbgcolor=#141414><colcolor=#fff> 케냐 공화국 초대 총리
케냐 공화국 초대 대통령

음제 조모 케냐타
Mzee Jomo Kenyatta

CGH
파일:1000006995.jpg
본명 음제 조모 케냐타
Mzee Jomo Kenyatta
출생 출생년도 불명[1]
영국령 케냐 닌다
사망 1978년 8월 22일
케냐 몸바사
재임기간 초대 대통령
1964년 12월 12일 ~ 1978년 8월 2일
초대 총리
1963년 6월 1일 ~ 1964년 12월 12일
직업 정치인
학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인류학)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정당 케냐 아프리카 민족동맹 (KANU)
자녀 8명
종교 무종교( 불가지론)[2]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케냐의 정치인이자 초대 대통령. 현재 케냐의 국부로 칭송받고 있으며 1963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후 1년간 초대 총리를 지냈으며, 1964년 케냐 대통령에 당선되어 14년 간 집권하였다.

2. 생애

케냐의 키쿠유족(Kĩkũyũ tribe) 출신으로 현 나이로비 부근에서 태어났다. 학생 시절 스코틀랜드 성공회에 입문하였고 요리사, 하인 등으로 전진하다 1934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대학에 입학하여 인류학을 전공했다.

1947년 귀국 후 케냐 아프리카 연합(Kenya African Union)이란 정당을 창당하여 초대 총재에 취임했다. 그러나 영국과의 독립전쟁 초기 마우마우단을 창설했고, 1953년 마우 마우 운동[3]을 이끌다 체포당하여 몇 년간 옥살이를 치러야 했다.

1961년 케냐 입법회 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63년 12월 12일 케냐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자 케냐 아프리카 민족 연합당(KANU)을 창당하여 총리에 취임했다. 이후 1964년 6월 1일 헌법 개정을 통해 케냐는 대통령의 권한이 막강한 대통령제를 채택, 이 헌법에 따라 케냐타가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69년 대통령 선거에서 케냐타는 야당인 케냐 인민 연합당(KPU)를 해산시키고 KANU 일당 독재의 길을 열었다. 1970년 대통령에 다시 선출되었으며, 1974년에는 종신 대통령에 등극했다.

대통령 재직 중이던 1978년 8월 22일 심장병으로 쓰러져 사망했다. 대통령직은 당시 2인자였던 대니얼 아랍 모이 부통령이 승계하였다.

3. 기타

파일:external/media1.britannica.com/146277-004-08470901.jpg
나이로비 중심지에 세워진 조모 케냐타 동상.

케냐에서는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받는다. 그러나 독립 이후에도 케냐의 여러 민족을 하나로 통합시키지 못하고 케냐의 다수민족이면서 자신의 출신인 키쿠유족 위주로 국가를 경영한 점,[4] 본인에서 시작하여 대니얼 아랍 모이로 이어지는 38년의 일당 독재를 주도했다는 점에서 비판받는 정치인이기도 하다. 조모 케냐타 당시의 케냐의 경제성장률이 매년 6%를 기록했으니 케냐타 자신은 경제정책은 잘한 축에 든다 할수있지만 후임인 모이가 장기집권하면서 케냐의 경제를 말아먹다보니까 더더욱 그렇다. 다만 어디까지나 경제정책을 상대적으로 잘했다는것이지 따지고보면 도시화가 급진전되면서 도시 근교에 슬럼이 대규모로 조성된다거나 부패가 상당한 빈도로 벌어진다거나 하는식으로 문제가 없었던것은 아니었다.

케냐에는 그의 이름을 딴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과 조모 케냐타 대학이 있다.

2013년 제 4대 케냐 대통령에 취임한 우후루 케냐타가 그의 아들이다.

미국의 락밴드 RATM 톰 모렐로가 조모 케냐타의 종손자[5]이다. 다만 보수우파 성향을 지닌 우후투 케냐타와는 달리 톰 모렐로는 진보성향인지라 정치 성향에 차이가 있는 편이다.


[1] 조모 케냐타의 출생년도는 논란이 많다.
----
1889년경 제시: " Jomo Kenyatta (circa 1889-1978), Kenyan nationalist and political leader", npg.org.uk
1891년경 제시: #, 「Africa Confidential」
1894년경 제시: " Jomo Kenyatta: president of Kenya",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 Ali Bilow 제공, " JOMO KENYATTA (C. 1894-1978)", blackpast.org
1897/98년경 제시: Jeremy Murray-Brown, "Kenyatta" (1972), 323쪽
[2] Nairobian Reporter, " Why good old Jomo Kenyatta never attended church for 15 years as president", 「The Standard Digital」, 2016/17 [3] 1950년대 케냐의 독립 운동. [4] 아랫 국가인 탄자니아가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의 주도하에 여러 민족들을 통합하고, 국민 국가 의식이 심어져 국내적으로 종족 간 갈등이 적은 것과 대조적이다. [5] 조카의 아들이고, 촌수로는 4촌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