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장면 내각 | ||||
초대 이형근 |
제2대 정일권 |
제3대 유재흥 |
제4대 백선엽 |
제5대 최영희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6-8대 김종오 |
제9대 장창국 |
제10대 임충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1대 문형태 |
제12대 심흥선 |
제13대 한신 |
제14대 노재현 |
제15대 김종환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6대 류병현 |
제17대 윤성민 |
제18대 김윤호 |
제19대 이기백 |
제20대 정진권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1대 오자복 |
제22대 최세창 |
제23대 정호근 |
제24대 이필섭 |
제25대 이양호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6대 김동진 |
제27대 윤용남 |
제28대 김진호 |
제29대 조영길 |
제30대 이남신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31대 김종환 |
제32대 이상희 |
제33대 김관진 |
제34대 김태영 |
제35대 이상의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36대 한민구 |
제37대 정승조 |
제38대 최윤희 |
제39대 이순진 |
제40대 정경두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1대 박한기 |
제42대 원인철 |
제43대 김승겸 |
제44대 김명수 |
||
합동참모회의의장(초대) ▸ 연합참모본부총장(초대~6대) ▸ 연합참모회의의장(7대) ▸ 합동참모의장(~현임) | }}}}}}}}} |
정호근 관련 틀 | |||||||||||||||||||||||||||||||||||||||||||||||||||||||||||||||||||||||||||||||||||||||||||||||||||||||||||||||||||||||||||||||||||||||||||||||||||||||||||||||||||||||||||||||||||||||||||||||||||||||||||||||||||
|
<colbgcolor=#801a24><colcolor=#ffffff> 출생 | 1933년 12월 6일 |
경기도 안성군 | |
사망 | 2003년 9월 28일 (향년 69세) |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중앙보훈병원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
학력 |
경복중학교 (졸업) 조선대학교 ( 법학 / 학사) |
군사 경력 | |
임관 | 간부후보생 (갑종 / 5기) |
복무 | 대한민국 육군[1] |
1951년 ~ 1991년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합동참모의장 |
주요 보직 |
제5보병사단장 제7군단장 제1야전군사령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갑종장교 5기 출신이다. 갑종장교 출신으론 2번째로 대장에 진급했다.[2]
2. 생애
1933년 12월 6일 경기도 안성군에서 태어났다. 서울 경복중학교, 조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경복중학교 5학년 재학 중이던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남쪽으로 피난해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 정착했다. 이듬해인 1951년 11월 갑종간부후보생(5기)에 지원하여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여단장, 국방부 군 특명검열단 제1부장, 제5사단장, 제7군단장, 국방부 군 특명검열단장 등을 지냈으며, 1987년 6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제1야전군사령관, 1990년 합동참모의장 겸 대간첩대책본부장을 지냈고, 이듬해인 1991년 12월 40년 1개월간의 군생활을 마치고 대장으로 예편했다.
(1990년 국군조직법 개정에 따라 최고 군령기구로 격상, 재편된 합동참모본부의 부대기를 전달받는 정호근. 왼쪽은 이상훈 당시 국방부장관이다)
1990년에는 국군조직법 개정에 따라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그동안의 군사 자문역할에서 육-해-공 3군의 작전부대에 대한 총괄적 지휘권을 행사하는 최고 군령기구로 강화 및 재편되었고, 합참의장도 최고 작전지휘관으로 권한이 강해졌다. 말하자면 정호근은 이처럼 위상이 대폭 높아진 합참의장의 역할을 최초로 수행하는 주인공이 된 것이었으며, 이 점에서 대한민국 국군 역사에서 중요한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나회가 판치던 시절이었고 갑종장교가 배척받던 시절이었음에도 1군 사령관과 군령권이 주어진 합참의장을 지냈다는 점도 특기할 부분.[3]
3. 여담
- 문재인 정부의 국가보훈처장인 피우진이 대위 시절, 여군에게 술접대를 강요해서 피우진이 항의한 상관이 이 정호근으로 추측된다. 시기가 1988년이고 당시 이 명령을 내린 자가 1군사령관이었다고 밝혔는데, 정호근이 이 당시 1군 사령관이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