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10:49:29

이다(2013년 영화)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파벨 파블리코프스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The Stringer Logo.png 파일:Last Resort Logo.png 파일:My Summer of Love Logo.png
파일:The Woman in the Fifth Logo.png 파일:Ida Logo 2.png 파일:Cold War Logo 3.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 ||

'이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수상작
'''[[틀: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수상작|Academy Award for Best International Feature Fil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구두닦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슈 뱅상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자전거 도둑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말라파가의 성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라쇼몽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5회
(1953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금지된 장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지옥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미야모토 무사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라 스트라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카비리아의 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나의 삼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흑인 오르페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처녀의 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시벨의 일요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8과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어제, 오늘, 내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중심가의 상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남과 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가까이서 본 기차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전쟁과 평화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Z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완전 범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핀치 콘티니의 정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아메리카의 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아마코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데르수 우잘라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색깔 속의 흑백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마담 로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손수건을 꺼내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양철북
(파일:독일 정부기.svg 서독)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메피스토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비긴 더 베긴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화니와 알렉산더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위험한 행마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오피셜 스토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한밤의 암살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바베트의 만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정복자 펠레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시네마 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희망의 여행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지중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인도차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아름다운 시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위선의 태양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안토니아스 라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콜리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릭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인생은 아름다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내 어머니의 모든 것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와호장룡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노 맨스 랜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러브 인 아프리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야만적 침략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씨 인사이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갱스터 초치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타인의 삶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카운터페이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굿' 바이: Good&Bye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인 어 베러 월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아무르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그레이트 뷰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이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사울의 아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세일즈맨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판타스틱 우먼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로마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기생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어나더 라운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드라이브 마이 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서부 전선 이상 없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존 오브 인터레스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 - -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fff,#e5e5e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e5e5e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 멀홀랜드 드라이브
<colbgcolor=#a0522d> 2위 화양연화
3위 데어 윌 비 블러드
4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 보이후드
6위 이터널 선샤인
7위 트리 오브 라이프
8위 하나 그리고 둘
9위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 인사이드 르윈
12위 조디악
13위 칠드런 오브 맨
14위 액트 오브 킬링
15위 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 홀리 모터스
17위 판의 미로
18위 하얀 리본
19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 시네도키, 뉴욕
21위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 히든
24위 마스터
25위 메멘토
26위 25시
27위 소셜 네트워크
28위 그녀에게
29위 월-E
30위 올드보이
31위 마가렛
32위 타인의 삶
33위 다크 나이트
34위 사울의 아들
35위 와호장룡
36위 팀북투
37위 엉클 분미
38위 시티 오브 갓
39위 뉴 월드
40위 브로크백 마운틴
41위 인사이드 아웃
42위 아무르
43위 멜랑콜리아
44위 노예 12년
45위 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 사랑을 카피하다
47위 리바이어던
48위 브루클린
49위 언어와의 작별
50위 자객 섭은낭
51위 인셉션
52위 열대병
53위 물랑 루즈
54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 이다
56위 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 제로 다크 서티
58위 물라데
59위 폭력의 역사
60위 징후와 세기
61위 언더 더 스킨
62위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 토리노의 말
64위 그레이트 뷰티
65위 피쉬 탱크
66위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 허트 로커
68위 로얄 테넌바움
69위 캐롤
70위 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 타부
72위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 비포 선셋
74위 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 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 도그빌
77위 잠수종과 나비
78위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 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 리턴
81위 셰임
82위 시리어스 맨
83위 A.I.
84위 그녀
85위 예언자
86위 파 프롬 헤븐
87위 아멜리에
88위 스포트라이트
89위 머리 없는 여인
90위 피아니스트
91위 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 라따뚜이
94위 렛미인
95위 문라이즈 킹덤
96위 니모를 찾아서
97위 백인의 것
98위
99위 이삭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 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이다 (2013)
Ida
파일:2013 이다 국내 메인 포스터.jpg
<colbgcolor=#E0E0E0><colcolor=#000000> 장르 드라마, 로드 무비
감독 파벨 파블리코프스키
각본 파벨 파블리코프스키, 레베카 렌키윅츠
제작 에바 푸스진스카,
주연 아가타 트셰부호프스카, 아가타 쿠레샤
촬영 우카시 잘, 리샤르트 렌체프스키
편집 야로스와프 카민스키
미술 마르셀 스와빈스키
음악 크리스티안 에이드네스 안데르센
의상 올라 스타슈코
제작사 파일:폴란드 국기.svg 카날+ 폴란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영화 연구소
파일:프랑스 국기.svg 유리이미지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시네마 뉴원
배급사 파일:폴란드 국기.svg 솔로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시네마 뉴원
개봉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3년 9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2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2월 10일 (재개봉)
화면비 1.37 : 1
상영 시간 1시간 22분
제작비 1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1,156,836
북미 박스오피스 $3,827,06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7,700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수상 및 후보 이력9. 기타10.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파벨 파블리코프스키 감독 및 각본, 아가타 트셰부호프스카, 아가타 쿠레샤 주연의 2013년작 폴란드 영화.

수녀 서원식을 앞두고 돌연 자신의 혈육을 알게 된 수녀의 여정을 다루고 있으며,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다.

2. 예고편

▲ 예고편

3. 시놉시스

가족의 존재조차 모르는 채 수녀원에서 홀로 자란 ‘안나’는
수녀가 되기 전 유일한 혈육인 이모 ‘완다’에 대해 알게 된다.

하지만 어렵사리 만난 이모는 쌀쌀맞기만 하고
‘안나’가 유태인이라는 것과 본명이 ‘이다’라는 뜻밖의 이야기를 전한다.

혼란스러운 감정도 잠시, 부모님의 죽음에 대해 알고 싶어진 그녀는
이모와 함께 숨겨진 비밀을 밝히기 위해 동행을 시작하는데...

4. 등장인물

5.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960년대, 폴란드 인민공화국. 수녀원에서 홀로 자라난 '안나'는 어느 겨울날 자신의 수녀 서원식을 앞두며 준비를 하고 있던 도중, 수녀원장으로부터 사실 자신은 고아로서 수녀원에 맡겨지기 이전에 유일한 혈육인 이모 '완다'가 있었음을 전해듣게 되고, 그녀를 만나봐야 한다는 말을 듣는다. 이에 이다는 수녀원을 떠나 이모를 찾아 나선다.

안나는 어렵게 이모의 주소지를 찾아가나 막상 만나게 된 이모 완다는 조카가 찾아왔음에도 무척 쌀쌀맞기만 하고, 술담배에 쩌들어살며 매일 남자와 섹스를 하며 방탕하게 살아가는 인물이었다. 그런 이모와 이야기를 나누던 안나는, 완다로부터 자신의 본명은 '이다 레벤슈타인'이며 혈통은 유대인이고, 부모님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돌아가셨음을 알게되며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다는 완다와 동행하며 완다의 차를 타고 전쟁 중에 돌아가신 부모님의 유골을 찾아나선다. 부모님의 유골이 묻혔을법한 장소를 탐색하던 도중 이다는 이모가 '피의 완다'라고 불리웠을만큼 무자비한 판사였음을 알게 되기도 하나, 기본적으로 수녀원에서 절제된 삶을 유지하며 살아왔던 자신과는 달리 방탕한 삶을 살아가는 이모와도 조금씩 충돌한다. 그리고 여정 도중 어느 시골에서 숙소를 찾다가 '리스'라는 이름의 색소폰 연주자를 차에 태워주게 되며 그와 대화를 나누게 된다.

끝내 이다는 자신의 부모님이 살던 집을 찾아내지만, 그 집에는 '펠릭스'라는 남자와 그 아내가 살고 있었다. 그리고 펠릭스의 아버지 '시몬'이라는 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이었던 이다의 부모님을 밀고해 죽게 만든 자였다. 펠릭스는 자신들은 무고하다고 잡아떼지만, 완다는 펠릭스를 추궁해내 시몬이 살고 있는 집을 알아낸다. 그러나 시몬은 이미 늙은 채 병들어 죽어가는 몸이었고, 시몬이 있는 병원을 찾아가보지만 그는 이미 이다와 완다를 알아 보지도 못하는 상태였다. 이때 펠릭스가 이다와 완다를 찾아와 이다의 부모님이 묻힌 장소를 알려줄테니 자신과 아버지를 제발 내버려달라고 부탁하고, 이다는 그 부탁을 받아들인다.

펠릭스는 이다와 완다를 어느 숲속으로 데리고 가고, 특정 지점에서 직접 본인이 유골을 파내기 시작한다. 그리고 유골을 파낸 뒤, 흐느끼면서 진실을 말하기 시작한다. 사실 이다의 부모님을 죽인 것은 시몬이 아닌 펠릭스 본인이었으며, 그 당시 갓난아기였던 이다는 유태인 티가 나지 않았기 때문에 살려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날 완다는 자신의 아들을 자신의 언니인 이다 네 집에 맡기고 전쟁에 참전했었는데, 완다의 아들 또한 이다네 부모님이 죽는 날 함께 죽었음을 펠릭스는 밝힌다.

완다는 이다와 함께 루블린에 있는 유대인 가족 공동묘에 유골들을 매장해주고, 두 사람은 헤어진다.

수녀원으로 돌아온 이다는 속세에서 겪은 경험과 자신의 부모님이 어떻게 죽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었다는 충격 때문에 쉽사리 적응하지 못한다. 그리고 완다 또한 자기 아들이 끝내 죽게 되었음을 안 이후 더 이상 삶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주피터 교향곡을 크게 틀어놓은 채 창문 밖으로 투신 자살한다.[1]

이모의 사망 소식을 듣고 다시 수녀원 밖으로 나온 이다는 상주로서 이모의 장례식을 치른 뒤, 수녀복을 벗고 이모가 그랬듯 술을 마시고 담배를 핀다. 그날 저녁 이다는 리스와 우연히 재회하게 되고, 그와 성관계를 가지게 된다. 앞으로 어쩔 생각이냐는 이다의 물음에 리스는 결혼해서 남들처럼 평범한 삶을 살자고 이야기한다.

다음날 아침, 이다는 리스 몰래 수녀복을 다시 입고 나온 채 그를 떠나 수도원을 향해 걸어간다. 길 위를 터벅터벅 걸어가는 이다의 얼굴을 카메라가 클로즈업으로 찍으며 영화는 끝난다.

6. 사운드트랙

7.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718492, IMDb_user=7.4,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ida_2013, 로튼토마토_tomato=95, 로튼토마토_popcorn=79,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ida, 메타크리틱_critic=91, 메타크리틱_user=7.5,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ida, 레터박스_user=4.0,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23850, 알로시네_presse=4.2, 알로시네_spectateurs=3.9,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740391, 키노포이스크_user=6.9,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Filmarks=56596, Filmarks_user=3.9,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24870808, 도우반_user=7.8,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Oo0xNk, 왓챠_user=3.8,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5776, 키노라이츠_light=89.36, 키노라이츠_star=3.7,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CGV=78080, CGV_egg=95, ## CGV_highlight=display,
MRQE=ida-m100107303, MRQE_user=81, ## MRQE_highlight=display,
TMDB=209274-ida, TMDB_user=72, ## TMDB_highlight=display,
Empathetically written, splendidly acted, and beautifully photographed, Ida finds director Pawel Pawlikowski revisiting his roots to powerful effect.
감정적으로 울리도록 쓰인 각본과, 눈부신 연기가 빛을 발하며, 그리고 아름다운 촬영이 담긴 <이다>는 파벨 파블리코브스키 감독이 자신의 뿌리를 재방문하고 있음을 무척이나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시리도록 맑은 잿빛 하늘이 말하는 것

수도원에서 고아로 자란 여인 '안나'가 자신의 진짜 이름을 찾아가는 로드무비. 개인의 기억 사이로 60년대 폴란드 역사의 풍경이 투명하게 들어차는, 여백의 영화. 비워낸 만큼 채워진다. 기억을 소환하는 아름다운 방식.
- 송경원 (★★★★)
정제된 화면이 말해주는 모든 것

[이다]의 화면은 엄격하다. 흑백의 화면, 4:3 비율, 미동하지 않는 카메라. 소녀가 자신의 진짜 이름인 '이다'를 찾아가기까지, 감독은 정체성의 혼란을 부추기지 않고 조용히 관망하길 택한다. 고집스럽게 조율된 화면은 단순히 아름다움에 그치지 않고, 결국 한 여성, 그리고 비극의 역사를 관통하는 매개로 기능한다.
- 이화정 (★★★★)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여백.
- 이동진 (★★★★☆)
시대의 공기보다 인간의 온도
- 박평식 (★★★☆)
개인과 사회의 역사를, 고통을 무릅쓰고 되돌아보는 피정(避靜)
- 김혜리 (★★★★)
단단한 결기로 싸여있는 정갈한 수작
- 황진미 (★★★☆)

감독 특유의 이방인적 감수성과 느릿한 호흡으로 한 개인과 사회의 아픈 역사에 대한 탐구를 담아내며 파벨 파블리코프스키 감독이 국제적으로 주목받게 만들어준 작품.[2]

고전 영화에 주로 쓰인 1.37 : 1 사각 화면비율 속에서 우카시 잘과 리샤르트 렌체프스키 촬영감독이 고정된 흑백화면으로 담아낸 촬영도 무척 아름답다는 평을 받으며 호평을 받았다. 그해 아카데미 촬영상에 후보로 오르고 전세계에서 최고의 촬영을 가리는 에너가 카메리마쥬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개구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폴란드 현지에서는 굉장히 논란이 되었던 영화다. 이 영화는 폴란드 민족주의 [3] 신화에 대해 전후 반유대주의 학살로 반박하는 영화였기 때문.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10. 외부 링크



[1] 음악을 들으며 방안을 맴돌다가, 창문 위에서 밖으로 떨어져 사라지는 모습을 카메라를 고정시킨 채 롱테이크로 찍어서 보여준다. [2] 파블리코프스키 감독은 기본적으로 작품 텀이 긴 과작형 감독이기도 했고, 직전작 파리 5구의 여인을 찍을때만 해도 원작자 더글라스 케네디 에단 호크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같은 배우들이 감독보다 전면에 홍보되었을 정도로 인지도가 낮은 감독이었다. 첫 주목작인 사랑이 찾아온 여름이 성공해 소소하게 팬이 있긴 했지만 국제 영화제 타입의 감독은 아니여서 이렇게 뜰 줄은 몰랐다는 반응도 대다수. [3] 폴란드는 전통적으로 가톨릭이 결합된 민족주의 성향이 강해, 자국 우월주의가 심한 편에 속한다. 한때 융성했던 폴란드 유대인들도 이런 민족주의자들의 등쌀과 학살 때문에 망명이나 이주를 택해 현재 폴란드 유대인은 상당히 줄어든 상태다. 30만명 정도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를 떠났고, 이후로도 탄압과 자국민에게조차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경제 상황이 겹쳐서 계속 급감해 1~2만 명 밖에 남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 [4] 이때 마우고시아 벨라를 만나 사귀다가 2017년 재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