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9:48

원나라의 베트남 원정

원월전쟁에서 넘어옴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 white.svg 몽골 제국 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004DB1> 몽골-서하 전쟁
,1205 ~ 1227,
서하
몽골-금 전쟁
,1211 ~ 1234,
<colbgcolor=#004DB1> 오사보 전투·야호령 전투·회하보 전투
,1211,
금나라
대창원 전투
,1229,
도회곡 전투
,1231,
삼봉산 전투
,1232,
몽골-호라즘 전쟁
,1219 ~ 1221,
파르완 전투
,1221,
호라즘 왕조
칼가강 전투
,1223,
여몽전쟁
,1231 ~ 1259,
레그니차 전투
,1241,
모히 전투
,1241,
헝가리 왕국
몽골-남송 전쟁
,1235 ~ 1279,
단평의 입락
,1234,
남송
악주 전투
,1258,
조어성 전투
,1259,
정가주 전투
,1275,
양양 공방전
,1235~1273,
애산 전투
,1279,
삼별초의 난
,1270 ~ 1273,
아인 잘루트 전투
,1260,
일본 원정
,1274, 1281,
베트남 원정
,1257, 1284, 1287,
쩐 왕조 }}}}}}}}}
원나라의 대월 원정
元越戰爭 | Chiến tranh Nguyên Mông-Đại Việt
파일:campanas-mongolas-en-vietnam.png
1. 개요2. 1차 원정
2.1. 개전 이전의 상황2.2. 빈레응우엔 전투2.3. 전쟁 이후
3. 2차 원정
3.1. 개전 이전의 상황3.2. 원나라의 점성국 정벌과 개전3.3. 선동 전투3.4. 반끼엡 전투3.5. 즈엉 강 전투3.6. 탕롱 함락3.7. 투밧 전투3.8. 다막 전투와 하이티 전투3.9. 실패한 반격3.10. 하이동 추격전3.11. 함뜨 전투3.12. 벤쯔엉드엉 전투3.13. 탕롱 수복전3.14. 티엔막 강 전투
4. 3차 원정
4.1. 다시 시작되는 전운4.2. 양측의 대치4.3. 국경에서의 충돌4.4. 번외전투: 까오랑 전투4.5. 탕롱 공방전4.6. 반돈 전투와 원나라 군의 보급 상실4.7. 원나라 군의 반끼엡 철수4.8. 바익당 강 전투4.9. 낭산 전투
5. 전쟁 이후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원나라 쿠빌라이 칸은 1257년, 1284년, 1287년 3차례 대월을 침공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이런 비슷한 사례가 일본에도 있으나, 일본은 2번 모두 태풍으로 물러났지만, 대월은 1차를 제외하고[1] 쩐흥다오과 그의 수하에 있는 대월군의 실력이 승리를 견인했다는 차이가 있다.[2]

또한 송나라도 3번에 걸쳐 일어난 몽골의 공습에 40년동안 버텼기에, 이는 대월과 비슷하나, 송나라인 경우는 중요 거점지역인 양양, 번성, 강주, 사천이 모두 점령당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멸망을 당했지만, 대월은 세 번에 걸친 전쟁 이후에도 멸망하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다.[3]

대월 원정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그 동안 몽골에서 다른 대외 원정과 달리 수에서 상대보다 우위인 전력을 내세운건데 몽골은 송나라와 대리국 정벌 와중에 찔러보기 형식이었던 1차를 제외하고 2차, 3차에서 50만, 30만이나 되는 대군을 이끌고 대월을 세 차례나 쳐들어갔는데도 실패했다는 점이다.[4][5]

2. 1차 원정

몽골 제국의 1차 대월 원정
시기 1257-1258년
장소 베트남 북쪽
원인 쿠빌라이 칸의 남방 평정, 쩐 태종의 몽골 사신 억류
교전국 몽골 제국 대월 (쩐 왕조)
지휘관 총사령관: 우량카다이
아주[6]
체체투
콰이두
총사령관: 쩐 태종
태자 쩐 호앙
쩐 꾸옥 뚜안
레 푸 쩐
쩐 투 어
쩐 투 도
소문왕 쩐 냣 히유
하 봉(정규군 X)[7]
병력 약 4만명 - 4만 5천명 약 10만명
(전투병 6만명)
피해 2/3 규모 사망
잔여병 쿠빌라이의 남벌군에 귀속
피해 규모 불명
결과 대월의 승리
영향 몽골 제국이 당분간 송나라 공략에 집중.

2.1. 개전 이전의 상황

몽골 제국의 대칸 몽케는 아우 쿠빌라이를 보내 송나라의 서남쪽 일대인 운남을 공격하게 했다. 운남 일대의 약소국이었던 대리국은 금방 제압되었고 쿠발라이의 장수였던 우량카다이는 수하 중 2명을 사신 삼아 대월로 보내 ' 자신들은 송나라를 치러 갈테니 귀순한 뒤 길을 열라'는 뜻을 전했다. 그러나 쩐 태종은 이런 요구가 무례하다고 생각해 사신들을 대나무 밧줄로 묶어 가둬버렸다.

결국 우량카타이는 원정군 및 대리에서 차출해 온 2만에서 2만 5천 명 사이의 병사를 자신의 아들인 아주(阿朮), 제장인 체체투(徹徹都), 콰이두(恒都) 등에게 맡겨 다이 비엣을 침공했고 쩐 태종은 제장인 쩐 구옥 뚜안(陳國峻)과 권신이던 쩐트어의 셋째 아들 쩐 냣히유(陳 日皎), 옛 레 왕조(黎朝)의 후예인 레 푸쩐(黎輔陳) 등의 제장들과 티엔투옥(天屬), 티엔쯔엉(天彰), 타인즉(聖翼), 쯔엉타인(彰聖), 탄사이(神冊), 꿍탄(鞏神)으로 불리는 6개의 금군을 이끌고 출전했다.

2.2. 빈레응우엔 전투

쩐 구옥뚜안이 수군을 불러 국경을 봉쇄하자 우량카타이는 다이 비엣의 수도 탕롱(昇龍)를 향해 진격하기 위해 군을 양익으로 나누어 한 쪽은 자신이 다른 한 쪽은 체체투에게 맡겨 진격했으며 아들인 아주를 시켜 수시로 주변 지역을 정찰하게 했다. 쩐 왕조의 병사들이 이를 눈치채고 필사적으로 방비하자 아주의 부대로 돌아갔고 이후 체체투가 이끄는 부대와 합류했다. 몽골군은 빈레(平厉)를 공격하기 시작했고 쩐 태종이 군사를 직접 이끌고 맞섰다. 쩐 왕조의 군대는 타오 강(红河)의 강변에서 코끼리병과 기병, 보병 등을 앞세워 전방에 횡렬로 늘어서게 한 뒤 후방에 있는 보병과 기병을 엄호하는 형태로 진지를 구축하며 적을 기다렸다.

몽골 군은 타오 강을 건너기 위해 군을 세 부대로 나누어 전방은 체체투가 맡고 중군은 우량카타이가 직접 맡았으며 후방은 콰이두와 아주가 맡았다. 우량카타이는 적군에게 최대한 피해를 주기 위해 다리에서 차출해 온 병사들을 전방에 열지어 전진시켰다. 이 전법은 주효해서 몽골 군은 대리국의 군대 뒤에 숨어서 움직이며 쩐의 군사에게 타격을 입혔고 협상을 하기 좋다고 판단한 우량카타이는 체체투를 보내 다음과 같이 선포했다.
너희는 강을 건너려는 군대를 공격하지 마라! 우리와 싸우러 온다면 말을 타고 달려 그 뒤를 막을 것이다. 만일 너희가 속임수로 배를 빼앗아 남벌군이 무너지면 다시는 강에 배가 없을 것이고 너희는 모두 사로잡힐 것이다!

하지만 이런 선포가 무색하게도 체체투의 군대는 강을 건너자마자 쩐 태종이 직접 지휘하는 코끼리병에게 공격을 받았다. 그러자 아주가 기마궁대를 이끌고 나와 코끼리의 눈과 피부에 사정없이 화살을 퍼붓자 쩐 왕조 군대는 주춤하기 시작했고 쩐 태종 역시 불안한 기색이 역력했다. 오로지 장수 레 푸쩐만이 얼굴색 하나 변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누군가가 겁에 질려 쩐 태종에게 공격을 멈추어 달라 했고 레 푸쩐은 그 말을 듣고는 곧바로 황제 앞으로 달려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폐하! 폐하께서는 고귀한 것에 귀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어찌 사람의 말을 경솔이 믿을 수 있겠습니까?

하지만 전황이 불리해지면서 결국 쩐 태종은 노강(瀘江)에서 퇴각하기 시작했고 레 푸쩐은 그런 쩐 태종을 몽골군이 퍼붓는 화살비 속에서 엄호하며 티엔막 강(拖幕江) 일대로 이동했다. 이 때 쩐 구옥뚜안은 사람들에게 은밀히 지시해 음식을 숨기거나 파묻어 버리고 깊은 곳으로 숨으라는 지시를 내렸다. 티엔막 강으로 이동한 쩐 태종은 작은 배에 올라 레 푸쩐, 태위 쩐 투어의 3남 쩐 냣히유 등에게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는 어찌해야 좋을지 물었다. 결사항전을 주장하는 레 푸쩐과는 달리 쩐 냣히유는 뱃머리에 앉아서 별 말이 없다가 강물에 손가락을 담근 뒤 입송(入宋), 즉 '남송으로 망명해야 한다'는 의견을 배 옆구리에 몰래 쓰며 의견을 냈다. 쩐 태종은 쩐 냣히유에게 '네가 모은다던 군은 어디 있느냐'고 물었으나 쩐 냣히유는 "군을 모을 수 없었습니다" 라는 어처구니 없는 답을 했다.[8] 한편 태부직에 있었던 권신 쩐 투도(陳 守度)는 상황이 어려움에도 황제에게 "폐하, 아직 제 머리가 땅에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다른 걸 염려하실 필요 없습니다." 라고 자못 당당하게 얘기했다. 쩐 태종은 그 말을 듣고는 아직 해볼 만 하다고 여겨 저항하기로 했다. 그 사이 몽골군은 주변 지역을 정리하며 동보다우(東步頭) 성읍을 점거했다.

다음날 쩐 태종이 이끄는 군대는 강을 사이에 두고 몽골 군과 대치했다. 몽골 군은 꽤 깊을 것 같은 강을 건너기 위해 강물 위로 화살을 퍼부었고 화살이 떠오르지 않는 지역을 피해 말을 타고 도하했다. 몽골 군이 다시 진격해오자 쩐의 군사들은 쩐 태종을 호위하면서 수도 탕롱을 포기하고 퇴각했다. 이 전투 한 번으로 몽골 군은 탕롱을 차지할 수 있었고 무능했던 쩐 냣히유는 근처의 섬으로 달아나 버렸다. 몽골 군은 예전 쩐 태종에게 보냈던 사신들을 가둔 감옥을 찾아냈고 이들을 옭아 맨 대나무 밧줄을 풀어주었으나 사신 중 하나가 그 와중에 숨을 거뒀다. 우량카타이는 분노에 차 점령한 탕롱을 초토화시켰다.

몽골 군은 단 두 번의 전투로 수도 탕롱까지 점거하고 파괴해 복수를 하긴 했으나 아직 쩐의 주력은 남아 있었고 강을 건너면서 적을 쫓느라 전선이 길어진 바람에 가장 중요한 보급품이 바닥을 보이고 있었다. 쩐 구옥뚜안이 퇴각하면서 꾸준히 구축한 청야(淸野)작전이 제대로 먹힌 셈. 우량카타이는 병사들을 시켜 주변 마을이라도 약탈해보려 했으나 쩐 구옥뚜안이 이미 주변 지역에 손을 써 말끔하게 청소해 놓은 탓에 털어갈 게 없었다.

9일 간의 허기로 몽골 군이 점점 지쳐갈 때 쯤, 자정이 된 시간에 쩐 태종과 태자였던 쩐 호앙(陳晃)이 군을 몰고 강을 거슬러 올라와 기습을 가했고 몽골 군은 크게 패배했다. 훗날 몽골 군은 쩐의 군사가 형편없고 약했다며 허풍을 늘어놨지만 이 전투 당시 몽골 군은 기습에 크게 놀라 서로 손발이 안 맞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그런 소리는 그저 허세에 불과했다. 우량카타이는 더 이상 남은 몽골 군으로는 탕롱을 통제할 수 없다는 걸 알고는 빠르게 화잉산(橫山)을 지나 꾸이호아(歸化)를 통과해 운남 일대로 퇴각하려고 했다. 하지만 몽골군이 빠른 기동력으로 벗어나자 쩐의 군사들은 쫓을 수가 없었는데 놀랍게도 꾸이호아의 추장이었던 하봉(河俸)이 자기 군을 이끌고 몽골군을 기습해 큰 피해를 입혔다.

2.3. 전쟁 이후

겨우 빠져나간 우량카타이의 몽골군은 남송을 공격하러 출발한 쿠빌라이와 합류했고 이에 몽골 제국에서는 따로 2명의 사신을 보내 쩐 태종을 왕으로 봉했으나 침공 사실에 화가 난 쩐 태종은 사신을 모조리 결박한 뒤 내쫓아버렸다.

쩐 태종은 자신을 목숨 걸고 구해준 레 푸쩐에게 이혼한 아내이자 리 왕조의 마지막 황제였던 소성공주를 주어 결혼시켰다. 이렇게 1차 전투는 다이비엣을 다스리는 쩐 왕조의 승리로 끝났다.

3. 2차 원정

원나라의 2차 대월 원정
시기 1285년
장소 지금의 베트남 북부 및 중부
원인 쿠빌라이의 송나라 정벌, 쩐 왕조의 입조 거부
교전국 원나라 대월 (쩐 왕조)
지휘관 총사령관: 진남왕 토곤[9]
쉬게튀†[10]
바가누[11]
아리크 콰야
나시르 웃 딘
이항†
콘칵
볼콰다
사타르타이
망쿠다이
자오키
우마르
나콰이
이방헌
손덕
손덕림
유세영
유규
의윤
추경(의무대)
쩐 끼엔(쩐 왕조→원나라)
총사령관 쩐 인종
태상황 쩐 성종
쩐 꾸옥 뚜안
쩐 꽝하이
소문왕 쩐 냣 두앗
소성왕
쩐 꾸옥 니엔
팜 응우 라오
쩐 롱
마 빈
응우옌 카랍
응우옌 쩐통
부하이
팜 끄 디아
레 지엔
찐 롱
뚜에 중 뜨엉 시
하 닷†
쩐 빈쩡†
도 비†
도 후†
쩐 삼†
하 쯔엉†
쩐 꾸옥 또안†
응우옌 탓 텅†
딘 싸†
레 탁(항복)
쩐 칵충(항복)
장헌(원나라→쩐 왕조)
병력 약 30만 명 - 50만 명[12] 25만 명(호왈)[13]
피해 10만명 - 20만명 사망, 약 5만명 포로 피해 규모 불명
결과 대월의 승리
영향 원나라의 점성국 (참파) 점령, 원정 실패로 쿠빌라이에 대한 한인들의 지지도 폭락

3.1. 개전 이전의 상황

1258년에 다이 비엣에서는 이미 1258년에 쩐 태종이 태자 쩐 호앙에게 황제의 자리를 물려주었고 쩐 호앙은 쩐 성종(陳 聖宗)이 되었다. 물론 쩐 태종은 태상황제(太上皇帝)로서 꽤 오래동안 정사에 관여했다. 몽골 제국의 침공을 막아낸 쩐 태종은 1277년에 사망했고 1년 뒤인 1278년, 지독하게 버티던 남송이 드디어 멸망하고 중원의 새 통치 왕조로서 원나라가 군림하게 되었다. 몽케의 동생이었던 쿠빌라이는 이제는 훗날 원 세조(元 世祖)라 불리는 존재가 되었다. 남송이 멸망할 시기, 원나라에 공물을 보내는 척 하다가 결국 무시하며 강경하게 대처했던 2대 황제 쩐 성종 역시 아버지처럼 자신의 아들인 쩐 캄(陳 昑)에게 황제의 자리를 물려준 뒤, 자신은 태상황제가 되었다. 즉위한 쩐 캄은 훗날 쩐 인종(陳 仁宗)으로 불리게 된다.

쿠빌라이는 남송만큼이나 지독하게 저항하던 고려(高麗)를 굴복시킨 뒤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와 다이 비엣을 정복하기 위해 선박과 수군을 모으기 시작했다. 이전부터 다이 비엣의 군주에게 입조(入朝)를 명했지만 이래저래 핑계만 대며 나타나지 않자, 다시 한 번 다이 비엣에 사신을 보내 "친히 입조할 생각이 없으면 대신 학식 있고, 솜씨가 좋으며 재주 있는 이를 보내라" 며 압박했고 태상황제였던 쩐 성종은 결국 대신들 중 쩐 지아이(陳 遺愛)、레 묵(黎 目)、레 투안(黎 荀) 등을 사신으로 보냈다. 쿠빌라이는 다이 비엣에서 대신들을 보내오자 한술 더 떠서 다이 비엣에 다루가치(達魯花赤)들을 더 파견해 감독하려고 했으나, 황제 쩐 인종은 단번에 거절해 버렸다.

그러자 분노한 쿠빌라이는 입조 사신으로 왔던 쩐 지아이를 안남국왕(安南國王)으로 삼고 레 묵은 한림학사(翰林學士), 레 투안은 중서령(中書令)으로 임명한 뒤 1,000명의 병사를 쥐어주며 쩐 인종을 폐위시키고 즉위하라는 칙서를 내렸다. 하지만 사태를 눈치 챈 쩐 왕조에서는 당장에 군을 파견, 그들을 격파해 사로잡아 버렸다. 이 배은망덕한 세 사신은 도망갈 기회를 엿봤지만 결국 죄를 받아 쩐 지아이는 군사를 붙여 티엔즈엉푸(天長府), 레 묵과 레 투안은 통빈(宋兵)으로 유배를 보냈다. 한편, 다이 비엣의 재상(宰相)이었던 쩐 꽝하이(陳光啓)가 다루가치를 접견하게 되었는데 해당 다루가치는 꼭두각시 황제를 세우는 데 실패한 것에 대단히 분개하는 모습을 보였다.

3.2. 원나라의 점성국 정벌과 개전

원나라는 1284년 7월 21일 자신의 9번째 아들인 토곤(脫歡)을 진남왕(鎭南王) 겸 총사령관에 임명하고 양양(襄陽) 전투 당시 우량카타이의 아들 아주 밑에서 활약했던 장수 쉬게튀(唆都)를 20만 대군과 함께 보내 광동(廣東)에서 출발, 곧바로 점성(占城)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다이 비엣은 점성(참파)을 돕기 위해 군대 중 일부와 함선을 보내기도 했다. 쉬게튀는 점성의 수도 도반(阇槃) 인근 해안에 상륙했고 도반을 둘러싸고 있는 목조 성채들을 공략하기 위해 군대를 셋으로 쪼개 북, 남, 동쪽에서 한꺼번에 들이쳤다. 결국 성채는 점거되었고 국왕이었던 인드라바르만 5세가 쉬게튀에게 항복을 위한 협상을 하자고 제안하자 협상에 응했으나 괜히 시간끌기만 당했다. 그 사이에 인드라바르만과 점성의 병사들은 깊은 숲으로 들어가 저항을 이어나가게 된다. 이 점성국 정벌은 사실 다이 비엣을 정복하기 위한 포석으로 점성을 점거함으로서 원나라 군은 다이 비엣의 북쪽과 남쪽을 포위할 수 있는 거점을 확보한 셈이었다.

점성국이 대략 정리되자, 진남왕 토곤은 위구르 족 출신의 '아리크 콰야'를 부사령관 겸 안남의 부왕(副王)으로 임명한 뒤 본격적으로 원정군을 다이 비엣으로 이동시켰다. 원나라 군의 장군들을 보면 서하 출신의 이항(李恒), 우즈벡 출신의 콘칵, 볼콰다, 사타르타이, 망쿠다이, 나콰이 등의 장수들과 한인 출신의 이방헌, 손우, 손덕림, 유세영, 유규, 의윤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거기다 이번 정벌을 위해 3만 석의 군량미까지 준비해 둔 상태였으며 유능한 의원이던 추경(鄒庚)이 통솔하는 의무 부대까지 준비되어 있었다.

하지만 워낙 큰 규모에 물자가 많이 들었기 때문에 다이 비엣 주변의 원나라 점령지들은 과도한 세금과 물자부족, 병력 제공으로 인한 인원 부족에 시달려야 했고 결국 각지의 지방관들이 남벌을 중지해 달라고 애원하기까지 했다. 원의 상서(尙書)였던 유선은 다이 비엣과 잘 협상해서 전쟁이 일으키지 않는 게 좋다는 주청을 할 정도였으니 말 다한 셈. 하지만 쿠빌라이의 남벌 의지는 확고했고 쩐 왕조의 조정을 향해 "우리 군을 지원하기 위해 특산물인 설탕과 식량을 바치라" 고 지시했다. 이 물자가 어디에 쓰일 건지를 뻔히 알고 있던 쩐 조정에서는 당연히 핑계를 대며 거절했다.

한편 쩐 조정이라고 놀고만 있지는 않았다. 1282년 11월 말, 강을 수비하던 루엉 위(梁 蔚)가 급히 전한 소식에는 원의 우승상(右丞相)인 타차이르가 남쪽의 다른 곳을 정벌한다는 이유로 50만의 병사를 이끌고 길을 빌리려고 하나 그것은 거짓말이고 실제로는 다이 비엣을 침공하려는 속셈이라는 언급이 들어 있었다. 쩐 황실에서는 수도 탕롱의 건홍전(延紅殿)에서 대비를 위한 회의를 열기로 했으나 각지의 왕과 귀족들이 참석을 거부했다. 이에 1285년 12월 태상황 쩐 성종은 수도 탕롱의 건홍전에 각지를 대표하는 노인들을 모은 뒤 "우리가 응우옌(원)의 침공에 저항하겠는가?" 라고 물었다. 그러자 모두가 하나되어 "싸우자!"를 외치면서 회의가 끝이 났다. 쩐 왕조 최초의 민주적인 회의는 성공적으로 끝났다. 이 분위기에 이기지 못한 각 지역의 왕과 귀족들은 지원군을 보내기 시작했고 원의 눈을 피해 몰래 승려로 변장한 뒤 탕롱으로 들어온 흥도왕(興道王) 쩐 구옥뚜안은 왕과 귀족들이 각지에서 보내온 병력들을 부지런히 훈련시켰다. 그리고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병사들의 몸에 몽골인을 죽이자는 의미의 '살달(殺韃/삿탓)'이라는 문신을 새기게 했다. 그리고 모든 군과 국민에게 다음과 같은 명령을 하달했다.
외부의 적이 몰려오면 국내의 모든 군인과 백성들은 목숨을 걸고 적을 타격하고, 적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산 속에 숨은 뒤 절대 투항해서는 안 된다.

쩐 조정에서는 마침내 쩐 구옥뚜안을 국공(國公)에 임명하면서 다음과 같은 칭호를 함께 하사했다.

「절제하여 천하의 여러 군을 통솔하며(節制統領天下諸軍), 군관을 택하고 장수를 통솔할 권리를 가진다(擇軍校有將才者分統部伍).」

쩐 구옥뚜안은 이로써 전 다이 비엣의 군 통솔자가 되었다. 다이 비엣의 군대는 낭산(諒山) 일대로 이동했고 쩐 구옥 두안의 본영은 노이방(內龐)에 있었다. 쩐 구옥뚜안은 1차 침입 때 효과를 봤던 작전, 즉 원나라 군대를 보면 후퇴하면서 식량을 파묻거나 불태운 뒤 일대를 텅 비워 적을 지치게 만드는 청야작전을 채택했다.

3.3. 선동 전투

원나라 군은 나누어 진격을 시작했다. 제 1로는 총사령관인 토곤이 지휘했는데 규모가 커서 일부를 나눠서 이동했다. 토곤 자신은 아리크 콰야와 함께 닌민(宁明)에서 록처우(祿州)로 향했고 볼콰다가 함선을 이끌고 이동하며 온처우(溫州)에서 낭산(諒山)으로 향했으며 사타르타이와 이방헌이 나머지 군을 이끌고 록빈(縣祿)에서 선동(山洞)으로 진격했다. 쩐 구옥뚜안은 가장 중요한 토곤의 1로를 막기로 했다.

제 2로는 나시르 웃 딘이 이끄는 군으로서 운남(雲南) 일대에서 차이강(齋江)을 따라 다이 비엣 영토로 진입했다. 다이 비엣에서는 제 2로를 쩐 태종의 6번째 아들이자 소문왕(昭文王)이었던 쩐 냣두앗(陳 日燏)이 맡기로 했다.

제 3로는 점성국 정벌의 일등공신이었던 쉬게튀가 이끌며 점성에서 다이 비엣을 향해 진격했다.

첫 전투는 깔리(可里)의 계곡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쩐의 병사들은 패배했고 장수 '도비'와 '도후'가 사로잡혔으며 이내 쩐의 지원군과 마주쳤으나 되려 그들을 격퇴하고 지원군을 지휘하던 장수 '쩐삼'까지 사살해 버렸다. 깔리 전투 이후 5일 만에 토곤이 지휘하는 대군이 록처우로 밀려왔고 빈처우(永州), 티엣르옥(鐵略), 치랑(支棱)을 한번에 공격했다.

1285년 2월 2일, 원나라 군대는 쩐 왕조의 군대가 모여 있는 노이방을 맹렬히 공격했고 결국 쩐군 장수들 중 도안타이가 전사했으며 쩐 구옥뚜안은 미리 준비해 둔 배를 타고 반끼엡(萬劫) 일대로 퇴각했다. 이 즈음 쩐 왕조의 귀족이었던 쩐 끼엔(陳 鍵)과 그의 부관이었던 레 탁(黎 崱)은 원나라 군에 항복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매국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3.4. 반끼엡 전투

노이방에서 패퇴해 달아난 쩐의 병사들은 서둘러 반끼엡으로 향했다. 그런 쩐의 군사들을 뒤쫓던 원나라 군의 사령관 토곤 역시 반끼엡 부근에 1,000척에 가까운 배가 정박해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집결을 막기 위해 추격할 배를 만들게 하고 수색할 별동대를 보냈다. 2월 11일에 원의 장수 우마르가 수군을 이끌고 반끼엡과 치린(至靈)을 공격했다.

우마르가 이끄는 수군은 곧바로 쩐의 함선과 격돌했고 쩐의 수군은 일단 승리했으나 적의 날카로운 예봉을 피하고자 퇴각하였다. 2월 14일 우마르의 수군이 쩐 구옥뚜안의 군대를 포위하였다. 위기의 순간이었으나 그 때 태상황이던 쩐 성종이 서둘러 원군을 보내 우마르의 군대를 공격하면서 시선을 끌었다. 그 사이 쩐 구옥뚜안은 군을 수습해 퇴각, 수도 탕롱 부근의 홍강(瀧紅) 일대에 도달했다. 원의 군대 또한 육로를 따라 탕롱 일대로 진격했다.

3.5. 즈엉 강 전투

원의 군대는 반끼엡을 지나 부닌(宇宁), 동안(東岸)으로 나아갔고 즈엉 강에서 쩐군과 다시 마주쳤다. 쩐의 군대는 허겁지겁 퇴각했던지라 원의 상대가 되지 못해 큰 피해를 입었고 많은 선박들이 나포되고 말았다. 승리를 거둔 후 토곤은 즈엉 강을 건너기 위한 부교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3.6. 탕롱 함락

2월 17일, 원의 군대가 홍강 근처에 숙영지를 설치하자, 쩐 구옥뚜안도 질 수 없다는 듯이 홍강 북쪽에 목재 요새를 건축하였다. 흥미롭게도 강 하류에는 이전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던 막강한 다이 비엣의 해군들이 있었다. 사실 이 때부터 쩐 구옥뚜안이 입각한 작전에 따라 황실과 백성들을 성에서 내보내 피신시킨 뒤, 성 주변의 논밭을 전부 불태워 아무 것도 남기질 않는 이른바 '초토화 작전'이 진행되고 있었다. 원나라 군이 강가에 도착하자 쩐의 군사들은 투석기로 돌을 쏘아대며 저항하는 한편, 시간을 끌기 위해 고위인사였던 쩐 칵충(陳 克終)을 사신으로 삼아 부장이었던 아리크 콰야의 진영으로 보냈으나 아리크 콰야는 단호하게 쩐 조정의 요청을 거절해버렸고 덤으로 사신으로 보낸 쩐 칵충이 배반해 복귀하지 않은 탓에 이 계획은 어그러지고 말았다. 결국 쩐군은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인해 좀 더 일찍 원나라 군대와 홍강 강변에서 전투를 벌여야 했고 탕롱이 텅텅 빈 게 확인된 순간 바로 홍강을 따라 퇴각해 버렸다. 하지만 원나라 군대와 접전이 벌어지면서 퇴각을 했던지라 꽤 많은 수의 쩐의 병사들이 퇴각하지 못하고 사로잡히게 되었다.

원나라 군대는 홍강 변에서 승리한 후 탕롱으로 들어갔지만 그들이 본 것은 그저 텅 빈 폐허 뿐이었다. 총사령관 토곤은 탕롱의 궁궐에 군대를 주둔하려다가 얼마 되지 않아 탕롱에서 군을 철수시켰고 대신 홍강 근처의 넓은 부지를 찾아 야영지를 세우고 장수인 콘칵, 망쿠다이, 볼콰다로 하여금 육로로 남진하게 하고 이항, 우마르 등은 함선을 이끌고 다이 비엣의 황제를 추격하게 했다.

3.7. 투밧 전투

한편, 제 2로를 담당한 나시르 웃 딘의 군대는 차이 강을 따라 투밧까지 나아갔으나 쩐 냣두앗의 부대에 의해 행군이 멈추게 되었다. 하지만 그 즈음에 선동 전투의 패배로 쩐의 군대가 반끼엡으로 퇴각했기 때문에 쩐 냣두앗 역시 철수했다. 나시르 웃 딘은 두 개의 둑을 따라 진격하면서 1개 부대를 배치해 선봉으로 세웠다. 쩐 냣두앗은 원나라 군의 계획을 알아차리고는 포기할까 하다가 운좋게도 차이 강에 있던 배가 무사히 상륙함으로써 아슬아슬하게 그것을 타고 무사히 밧학(白鶴)으로 철수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제 3로를 이끄는 쉬게튀의 군대를 가로 막으며 남쪽 전선에서 격돌하게 되었다.

3.8. 다막 전투와 하이티 전투

황제와 황실, 조정은 홍강을 따라 티엔즈엉(天長)으로 후퇴하였고 원나라 군대는 군을 둘로 갈라 추격했다. 추격하는 자와 달아나는 자 사이에 전투가 없을 수는 없었고 마침내 두 나라의 군대가 다막(沱幕)에서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쩐의 장수 쩐 빈쩡(陳 平仲)이 황제가 달아날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그의 휘하 600명의 병사들과 함께 그야말로 목숨을 걸고 다막 강가에서 원나라의 군대를 저지했고 마침내 사로잡혔다. 원나라 측에서는 쩐 빈쩡의 결사대를 뚫기 위해 많은 희생을 치르며 무려 6번이나 공격을 감행해야 했다. 원의 장군은 붙잡힌 쩐 빈쩡이 왕족임을 알고는 그를 회유하기 위해 자신들이 점령한 북쪽의 왕이 되지 않겠냐고 권유했으나 그는 이렇게 답했다.
"나는 북쪽보다 주군이 계신 남쪽에 있기를 바라고 우리는 사로잡히면 죽을 뿐이다! 세삼 물어봐야 무슨 소용이냐?"

결국 그는 원하던대로 절개를 지킨 채 향년 26세에 죽음을 맞이했다. 훗날 다이 비엣에서는 쩐 빈쩡이 의를 지켰다고 해서 '보의왕(保義王)'으로 추대하였다.

두 번째 싸움은 하이티(海市)에서 벌어졌는데 쩐군은 강에 말뚝을 박아 막았으나 원나라 군은 이러한 점을 예상해 간단히 통과해 버렸고 쩐의 군대는 다시금 패배해 후퇴했다.[14]

3.9. 실패한 반격

하이티에서의 전투 이후 쩐의 군사들은 티엔즈엉과 쯔엉이엔(長安)에 주둔했다. 하지만 원의 군대가 곧 도착했고 비슷한 시각에 반끼엡에 있던 쩐 구옥뚜안이 1,500여척의 배를 이끌고 도착했다. 한편 쩐 구옥뚜안의 부장 중 하나인 팜 응우라오(范 五老)는 낭산을 포함한 남방의 빈빈(永平) 일대에서 끊임없이 기습을 가해 원나라 군대에 피해를 주며 지치게 만들고 있었다. 원의 장수 아리크 콰야는 이런 뒤집혀가는 정황을 상세히 기록해 정찰병 편으로 황제 쿠빌라이에게 보냈다. 군을 규합한 이후 쩐 인종은 1285년 3월 10일에 직접 군대를 이끌고 홍강을 거슬러 올라갔고 리냔(里仁) 일대에서 원나라 군과 격돌했으나 원나라 군의 강한 저항에 버티지 못하고 물러나게 되었다.

1285년 2월 말에서 3월 초, 원의 장수 쉬게튀의 군대는 보찐(布正)을 공격한 뒤 응에안으로 진격했다. 쩐 냐두얏은 최선을 다해 막아냈지만 결국 버티지 못하고 퇴각해야 했다. 쉬게튀는 1만의 군대를 보내 타인호아(淸化)를 공격했다. 3월 9일, 예전에 원에 항복했던 쩐 끼엔이 원나라 군을 이끌고 베보(衛布)를 급습하면서 쩐의 장수인 응우옌 탓텅(阮 悉統)과 딘싸(丁車)를 사살했다. 다이 비엣의 총리였던 쩐 꽝하이는 분노했고 쩐 끼엔을 죽이기 위해 군을 몰아 원나라 군을 공격했으나 되려 반격을 당해 추가로 2명의 장수를 더 잃는 피해를 보고 말았다. 항복한 쩐 끼엔이 원나라 군을 이끌며 사납게 공격했기 때문에 결국 쩐 군은 응에안과 타인호아를 탈환하지 못한 채 물러나게 되었다. 쉬게튀는 타인호아로 진격했고 쉬게튀의 아들인 바가누(百家奴)와 한인 출신의 장수들을 모두 총사령관 토곤의 군에 합류 및 배치시켰다. 이 시기 쩐 태종의 아들 중 하나이자 쩐 인종의 삼촌이기도 했던 소국왕(昭國王) 쩐 익탁(陳 益稷)이 온 일가 친척들을 모은 뒤 원나라 군에 투항하였다. 쿠빌라이는 기뻐하며 그를 안남국왕(安南國王)으로 임명했다.

3.10. 하이동 추격전

응에안과 타인호아에서 패배함으로써 쩐의 전선은 무너졌고 다이 비엣의 위, 아래에서 원의 공격이 지속되자, 쩐 인종은 황망히 달아났다. 결국 오래 지속되는데다 패배로 점철되는 전쟁에 지친 나머지 태상황 쩐 성종은 인종과 상의한 뒤 원나라 군의 진격을 조금이라도 늦춰보고자 자신의 남매 중 막내인 안자공주(安姿公主)를 원의 총사령관 토곤에게 바쳤다. 토곤은 안자공주를 받아들이며 쩐 인종과 태상황 쩐 성종도 오라고 불렀다. 하지만 쩐 구옥뚜안이 항복하기 전에 자신의 목부터 베라며 결사 반대했고 이른바 '격장사(檄將士)'라 불리는 글을 쓰며 병사들의 전투 의지를 고취시켰다.
今余明告汝等. 當以措火積薪為危, 當以懲羹吹虀為戒. 訓練士卒習爾弓矢, 使人人逄蒙家家后羿. 購必烈之頭於闕下, 朽雲南之肉於杲街, 不唯余之采邑永為青氈, 而汝等之俸祿亦終身之受賜. 不唯余之家小安床褥, 而汝等之妻拏亦百年之佳老.

이제 나는 그대들에게 분명히 말한다. 마땅히 장작더미 밑에 불을 놓아둔 위기라고 여겨야 하고, 뜨거운 국물에 데어본 사람이 찬 나물도 불면서 먹듯이 경계해야 한다. 사졸들을 훈련시키고 활쏘기를 연습시켜서 모두가 봉몽(逢蒙)[15]이나 후예 같은 명사수가 되도록 해야 한다. 필렬(必烈)의 머리를 대궐 아래 매달고, 운남왕(雲南王)[16]의 살점을 고가(藁街)에서 썩게 해야 한다.[17] (그렇게 된다면) 나의 채읍(식읍)이 길이 전해질 뿐 아니라 그대들의 봉록 또한 종신토록 주어질 것이다. 나의 권속(眷屬)들이 편안한 잠자리를 얻게될 뿐만 아니라 그대들의 처자식 또한 평생을 함께할 것이다.
최귀묵, 『베트남문학의 이해』, 2010 에서 재인용.

결국 쩐 구옥뚜안의 설득에 마음을 다시 굳게 먹은 황제와 태상황은 오히려 군을 이끌고 더 남쪽으로 도주해 버렸다. 결국 화가 난 토곤은 다시 군대를 내어 추격하기 시작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쩐 구옥뚜안은 반끼엡을 떠나 황제를 구하고자 했다. 쩐 구옥뚜안은 우선 거대한 배를 구해 응옥산(玉山) 일대로 휘몰아 원나라 군의 이목을 끌면서 몰래 작은 배를 타고 나아가 두 황제를 구한 뒤 자오하이(交海)를 통과해 바다로 나아갔다가 북상해 치응우옌(雉完)으로 되돌아갔다. 자기 눈앞에서 쩐의 군주들을 놓친 토곤은 화가 났으나 쉬게튀가 보낸 장수들과 만난 뒤 쉬게튀의 군대가 식량이 부족해 굶주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급하게 추격군을 꾸리지 않는 대신 천천히 티엔즈엉으로 진격할 것을 명했다. 한편, 쩐의 황제들이 하이동으로 달아난 것이 확인되자 토곤은 이항, 우마르, 자오키 등을 보내 추격하게 했다.

1285년 4월 7일, 쉬게튀의 군대가 티엔즈엉으로 진격하는 것을 발견한 두 황제는 배를 버린 뒤 남쩌우 강(南兆江)에서 배를 다시 타고 다이방(大旁)으로 돌아가면서 적의 추격을 피했다. 원의 군대는 아직 수군 조달에 미숙했는지 자오키와 탕우타이의 수군은 4월 15일이 되어서야 땀지(三雉)에 도달할 수 있었고 이항도 수군을 몰고 두 황제를 수색했으나 마주치지도 못했다. 이후 원나라 군은 쩐군이 남겨둔 배 몇 척을 찾아냈고 그제서야 쩐 인종과 쩐 성종이 이미 뭍에 배를 정박시켰다는 것을 깨달았다. 원나라 군은 뒤늦게서야 사태를 파악하고 3일 밤낮을 추격했으나 이미 두 황제는 황자들이었던 쩐 롱(陳 弄), 장수 팜 끄디아(范 巨地), 레 지엔(黎 演), 찐 롱(鄭 龍) 등 귀족과 장수들이 흩어져 있던 쩐의 군대를 휘몰아 오고 있던 타인호아 일대로 사라진 뒤였다. 이 소식을 들은 토곤과 우마르는 1,300명의 수병을 데리고 타인호아로 진격해 황제를 추격했지만 잡지 못했다.

쩐 구옥뚜안은 일단 지도자들이 위기에서 벗어나자 타인호아에서 철수한 뒤 병력을 재편성하기 시작했다. 한편, 북부에서 온 토곤의 원나라 군은 맞지 않은 풍토와 더운 날씨, 폭우와 풍토병으로 인해 고생하기 시작했다. 거기다가 쉬게튀가 우마르와 함께 쩐 황제들을 추격했지만 결국은 찾는데 실패한데다 풍토로 인해 사기가 너무 떨어져 추격을 중단하기로 결심했다.

한편 직접 부딪히면서 원나라 군이 풍토로 고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쩐 구옥뚜안은 4월에 북쪽으로 돌아왔고 곧바로 군을 모아 콰이쩌우(快州)를 지나는 홍강 구간의 원나라 군 진지를 공격했다. 이 지역을 점령하면 쩐군은 그 곳을 기점으로 탕롱을 공격할 계획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11. 함뜨 전투

타인호아에는 쉬게튀의 군대가 있었으나 쩐 황제들을 잡지도 못했고 군대가 너무 고생하는 탓에 우마르와 함께 군을 이끌고 북부로 이동했다. 4월부터 북부에서는 연이은 전투가 벌어졌는데 쩐 구옥뚜안은 이미 주둔해 있던 토곤의 군대와 북으로 올라오기 시작한 쉬게튀의 군대가 서로 만나지 못하도록 하는데 집중했다.

쩐 인종은 이번에는 소문왕 쩐 냣두앗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쩐 구옥뚜안과 소성왕(昭城王)[18]을 부사령관으로 삼은 뒤 북으로 진격, 함뜨(咸子)에 주둔해 있던 원나라 군을 공격했다. 쩐 냣두앗의 부대는 우선 올라오고 있던 쉬게튀의 군대를 향해 돌진해 서로 맞붙게 되었다. 두 군대는 제법 비등하게 싸웠고 쩐 냣두앗은 자신의 부대에 옛 남송의 장수들이 제법된다는 것을 십분 활용해 남송의 깃발을 함께 펄럭이며 재차 공격을 시작했다. 의외로 효과는 대단했는데 양양 전투에서 남송 군의 저항에 시달렸던 쉬게튀는 그 때의 트라우마가 되살아 났는지 질색을 했고 남송 출신의 장수들은 옛 고국의 생각이 났는지 열과 성을 다해 원나라 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한술 더떠 한인과 몽골인으로 혼합된 원나라 군대 사이의 유대를 무너뜨리기 위해 "우리는 오직 탓(韃/타타르)놈들만 죽인다!" 고 외치면서 한인 출신의 장수들에게는 맞아도 전혀 무해한 종이로 만든 화살을 날려댔다. 위의 깃발과 종이 화살 작전은 의외로 잘 먹혀서 이미 전투에 지쳐 있던 한인 출신의 장수 및 병사들은 더더욱 전투에 전력을 다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 쉬게튀는 크게 패배해 서쪽으로 달아났고 살아남은 일부 쉬게튀의 병사들은 어찌어찌 티엔막 강 일대를 탈출, 한참 뒤에야 겨우 토곤에게 도달해 쉬게튀가 크게 패해 서쪽으로 달아났다는 소식을 전하게 되었다.

1285년 6월 24일, 쩐 구옥뚜안은 직접 지휘를 맡아 쉬게튀와 우마르가 이끄는 원나라 군을 공격했다. 쉬게튀와 우마르는 서둘러 해안가를 끼고 달아났으나 결국 포위되었고 쉬게튀는 결국 쩐의 장수 부하이(武海)에 의해 참수되었다. 기겁한 우마르는 부지런히 말을 달려 타인호아로 들어갔다. 한편, 쩐 인종은 쉬게튀의 잘린 머리를 받게 되었고 "나를 이렇게 만든 놈이군!" 이라고 감탄하며 자신이 입고 있던 외투를 벗어 쉬게튀의 머리를 감싼 뒤 정중히 매장해 주었다.

3.12. 벤쯔엉드엉 전투

쩐 냣두앗과 쩐 구옥뚜안은 타인호아에서의 승전을 보고했다. 쩐 구옥뚜안은 황제 쩐 인종을 알현해 전군을 이끌고 수도 탕롱을 탈환할 것을 논의했다.

이번에는 응안(乂安) 출신의 쩐 꾸앙하이(陳 光啓)가 총사령관을 맡았고 팜 응우라오(范 五老)와 쩐 구옥뚜안은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쉬게튀 격파에 큰 공을 세웠던 쩐 냣두앗에게는 별도로 죽은 쉬게튀의 병사들이 그들의 사령관 토곤과 합류하지 못하게 막는 임무가 맡겨졌다.

한편 탕롱 일대에 주둔해 있던 토곤의 군대 역시 서서히 식량이 떨어지기 시작했으나 끈질기게도 요충지인 쯔엉드엉(章陽) 만에 함선을 정박시킨 채 버티고 있었다. 쩐 꾸앙하이는 군을 이끌고 북으로 진격했고 원나라 군이 여기저기 지어놓은 소규모 기지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그와 동시에 한인 출신의 병사들이 대거 이탈하기 시작했다. 쉬게튀의 병사들의 합류를 막고 있던 쩐 냣두앗은 병력 일부를 빼어 쩐 꾸앙하이에게 지원군으로 보내주었다. 원나라 군을 피해 흩어져 있던 쩐군은 쩐 꾸앙하이의 진격을 보고는 속속 합류함으로서 군대의 규모는 점점 불어나기 시작했고 나루터에 거의 버려진 채 정박되어 있던 많은 원의 함선을 탈취했다.

쩐군은 마침내 홍강을 거슬러 올라가 원나라 군을 공격했고 쩐 꾸앙하이는 팜 응우라오의 군대와 함께 쯔엉드엉을 공격했다. 원나라 군은 늘 패해서 도망만 다니던 쩐군이 맹렬하게 돌격해오자 놀라서 달아나기 바빴고 그들이 가지고 있던 전함들 대부분은 빼앗기거나 불타게 되었다.

3.13. 탕롱 수복전

홍강 일대에서 성공적인 반격이 이루어지자 이제는 수도 탕롱을 회복하고자 했다. 쩐 꾸앙하이가 정예병을, 응우옌 카라(阮 可拉), 응우옌 쩐퉁(阮 陳松) 등의 장수들이 민병대를 지휘하며 탕롱으로 진격했다. 장수 마 빈(馬 榮)이 이끄는 군대가 탕롱 밖의 원나라 군을 격파하자 이내 모든 쩐군이 탕롱을 포위한 뒤 공격하기 시작했다. 쩐군의 매서운 공격을 피해 원나라 군은 탕롱을 빠져나와 홍강 북쪽 기슭에 주둔했으나 쩐군은 곧바로 추격해 해당 주둔지까지 공격했다.

3.14. 티엔막 강 전투

한편, 원나라의 총사령관 토곤은 아직도 쉬게튀가 서쪽으로 달아났다가 죽었다는 소식을 접하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쩐군의 공격에서 겨우 도망쳐 온 쉬게튀의 병사 중 일부가 도착해 쉬게튀가 서쪽으로 퇴각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뒤늦게 사태가 심각하다는 것을 깨달은 토곤은 결국 통솔하는 군 전체를 서쪽으로 이동시켰다.

1285년 6월 24일, 쩐 인종이 직접 장수들을 이끌고 토곤의 군대를 공격하기로 했다. 쩐군은 적장 장헌(張憲)을 사로잡은 뒤 길잡이로 삼아 서쪽의 원나라 군을 공격했다. 원나라 군은 패배해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우마르와 유규는 작은 배에 몸을 실은 채 바다로 달아났다. 적을 흩어버린 쩐 구옥뚜안은 다시 2만에 가까운 군대를 모은 뒤, 선종불교의 대승이었던 뚜에중뜨엉시(慧中上士)와 함께 쩐군을 이끌고 홍강 북쪽의 원나라 군을 공격했다. 원나라 군을 이끌던 장수 유세영이 병사를 끌고 상대했으나 대패했고 그대로 병력을 이끌고 북으로 달아났다. 원나라 군은 뉴응우옛 강(如月河)까지 퇴각했으나 쩐군이 나타나 막아섰다. 배를 구하지 못한 원나라 군은 결국 강을 건너지 못하고 필사적으로 달려서 탈출해야 했는데 쩐군의 장수 쩐 꾸옥또안(陳 國瓚)이 이 탈출을 저지하는 중에 전사하고 말았다.

북쪽의 원나라 군은 삿강(冊江)으로 이동해 강을 건너려 했으나 쩐 구옥뚜안이 격파해 버렸다. 이항은 배후를 공격해 오는 쩐군을 향해 화살을 퍼부어 쫓아내는데 성공했으나 또 다른 쩐의 부대가 대형을 이루며 다리를 건너고 있었다. 이에 당황한 원나라 군대는 우왕좌왕 하다가 서로 부딪히고 그로 인해 부교가 끊어지면서 무수한 병사들이 강에 빠져 익사하고 말았다. 삿강을 무사히 건넌 원나라 군은 있는 힘껏 달려서 떠민(思明) 지역으로 이동했다. 이항은 쩐군의 추격을 맡기 위해 후위에 배치되었다.

그렇게 도망치다가 빈빈 일대로 도착한 원나라 군은 쩐 황실의 일원인 천서공주(天瑞公主)와 결혼한 사령관 쩐 꾸옥니엔(陳 國巘)이 이끄는 쩐군과 마주치게 되었다. 구전에 의하면 원나라 군을 지휘하던 이항은 쩐 꾸옥니엔의 군대를 상대로 힘껏 싸웠고 쩐군이 쏘는 무수한 독화살을 맞으면서 겨우 토곤이 있던 투민으로 퇴각했으나 결국 독을 이기질 못하고 향년 50세에 전사하고 말았다고 한다. 한편, 나시르 웃 딘이 이끄는 운남의 군대는 원래 위치해 있던 운남을 향해 이동했고 쩐의 장수 하 닷, 하 쯔엉이 별동대를 이끌고 기습을 감행했으나 강한 저항으로 인해 되려 하 닷이 전사하고 말았다.

이후 원나라의 군사들이 다이 비엣에서 완전히 철수함으로서 쩐과 원나라의 두 번째 싸움 역시 쩐의 승리로 돌아갔다.

4. 3차 원정

원나라의 3차 대월 원정
시기 1287년 - 1288년
장소 베트남 북부
원인 쿠빌라이 칸의 남방 정벌 야욕 / 괴뢰국왕 쩐 익탁의 복위[명분]
교전국 원나라 대월 (쩐 왕조)
지휘관 총사령관: 진남왕 토곤
이해†[20]
아이우루이치
반섭
아리크 콰야
나시르 웃 딘
예헤이메이실
콘칵
볼콰다
사타르타이
망쿠다이
자오키
우마르†
나콰이
이궤순
이방헌
손덕
손덕림
유세영
유규
의윤
아바키
알리
아타이
아이로
장옥†
시크투르
장문호
비공신
도대명
정붕비[21]
사우규
베도긱다이
쩐 정닷
석례기
서경
다라키
이천우
호겔줜
레 탁
레 안
안남국왕 쩐 익 탁
쩐 득[22]
총사령관: 쩐 꾸옥 뚜안
쩐 인종
태상황 쩐 성종
쩐 꽝 하이
레 푸 쩐
소문왕 쩐 냣 두앗
쩐 구옥 니엔
쩐 지아
인혜왕 쩐 하인 쯔
팜 응우 라오
응우옌 호아이
쩐 롱
마 빈
응우옌 화이
응우옌 카랍
응우옌 쩐통
부하이
팜 끄 디아
쩐 까오
응우옌 테 록
레 지엔
찐 롱
레 따익†
하 안†
쩐 냑†
병력 약 30만 명 - 50만 명[23] 25만 명(호왈)[24]
피해 약 20만명 - 30만명 사망
(전투보다 풍토병과 기아로 사망)
약 6만 명의 정예군 사망
결과 대월의 승리
영향 쿠빌라이의 의지 여부와 관련없이 원나라의 남방 정벌 실패

4.1. 다시 시작되는 전운

1285년 다이 비엣 정복에 실패한 후에도, 원의 황제인 쿠빌라이는 여전히 다이 비엣 정벌 계획을 포기하지 못했다. 그의 의지가 반영되었는지 거의 곧바로 재정복에 대한 계획이 실시 되었다. 1285년 8월 21일, 추밀원에서 다이 비엣에 대한 재정복을 제안했고 1286년 2월 중순, 쿠빌라이는 2차 침공 때 참전했던 명장 아리크 콰야에게 다이 비엣에 대한 공격 계획을 세우라고 명했으며 3월 초가 되자 참전 사령관들의 최종 명단이 승인되었다. 3월 중순이 되자, 징병과 동시에 300 여척의 군함을 건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286년 6월 경에 남부에 널리 퍼져 있는 한인들의 봉기가 벌어진 탓에 다이 비엣 정복은 미뤄졌다가 결국 1286년 말에야 재개되었다.

원나라 군대의 편성을 보면, 총사령관은 2차 침공 당시 총사령관이었던 토곤이 그대로 이어받았고 부사령관은 이해(李海)가 맡게 되었다. 휘하 제장들을 보면 아이우루이치(奧魯赤), 우마르, 반섭(潘燮), 예헤이메이실(葉黑湄失), 이궤순(李櫃順) 등이었고 1286년 11월에 아바키(阿八尺), 알리, 아이로, 장옥(長玉), 유규, 시크투르(昔都二), 장문호(長文虎), 비공신(丕鞏辰), 도대명(陶大明), 쩐 쩡닷(陳 重達), 사우규(謝右閨), 보비성(菩比成) 등이 선정되었는데 대부분 2차 침공 당시에 참전했던 이들이었다. 하지만 원정 준비가 길어지면서 이해는 1286년 6월 18일에 사망했고 그 자리를 이전에 총사령관이었던 토곤이 거두게 되었다.

쿠빌라이는 단단히 마음을 먹었는지 어마어마한 수의 군대를 동원했는데 우선 2차 공격 때 참전했던 군대에 장수들의 수가 나오진 않았으나 제국 남부의 강소성(江蘇省), 강서성(江西省), 호광성(湖廣省)에서 몽골인과 한인 병사를 약 7만명, 항복한 남송군 1천명, 운남의 군대 6천명, 해남(海南) 일대에서 1만 5천명, 그 밖에 광서족(廣西族) 군대를 포함해 9만 2천의 병사를 추가 동원했다.[25]

해군의 경우 이전의 전투보다 병력은 더 적었으나 훨씬 정예로 모았다. 700여척의 신형 함대와 120여 척의 해남의 전함을 수군 대장 우마르에게 맡겼으며 이번에는 확실한 보급선 구축을 목적으로 했는지 우마르와 장문호가 함께 17만 석의 식량을 실은 운송선 100척을 함께 지휘하기로 했다. 우마르와 장문호의 함대는 운송선의 호위 및 항구 점령 임무를 맡아 쩐군의 해전에서의 우위를 무너뜨리는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

진격 날짜가 코앞으로 다가오자, 쿠빌라이는 제장들을 모아놓고 다음과 같은 언급을 했다.
"캬오지(交趾/교지)[26]는 비록 작은 나라이나 결코 우습게 봐서는 안 된다."

한편, 다이 비엣에서는 총 동원령이 내려졌다. 이번에도 황제 쩐 인종이 직접 참전해 병사들을 독려하기로 했고 총사령관은 흥도왕(興道王) 쩐 구옥뚜안이 맡았으며 정군과 지방군, 그리고 민병대까지 싹싹 긁어모아 32만의 군사를 모았으며 2차례의 공격으로 원나라에 대한 증오가 깊어졌는지 감옥의 죄수들까지 자진해서 입대해 싸우고자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 2번의 전투 모두를 승리했기 때문에 원나라 군에 대해 경험이 많이 쌓여 았었던 쩐 구옥뚜안은 쩐 인종 앞에서 작전을 수립하며 자신있게 "올해에 적들은 쉽게 무너질 것입니다." 라고 단언했다.

4.2. 양측의 대치

원나라 군의 총사령관 토곤은 2차 침공 당시 항복했던 쩐 익탁(陳 益稷)이야말로 안남(安南), 즉 다이 비엣의 통치자이며 그를 귀향시키고자 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드디어 침공을 개시했다. 원나라 군대는 3갈래로 갈라져 진격했는데 제 1군은 아이로가 이끄는 군으로서 운남에서 출발해 타오 강과 노강을 따라 이동했고 제 2군은 토곤, 아이우루이치, 정붕비(程鵬飛) 등이 흠주(钦州)와 염주(廉洲)에서 원나라의 꼭두각시이자 명분상 안남의 국왕이었던 쩐 익탁을 모시고 다이 비엣의 북동쪽 국경으로 향했으며 제 3군은 수군으로서 우마르와 반섭(潘燮)이 500척의 배를 지휘했으며 장문호가 후위에 있었다.

한편, 다이 비엣에서도 대비하고 있었는데 쩐 구옥뚜안은 각지에서 모인 저항군을 나눠서 각 장수들에게 분할한 뒤 각지에 배치했다. 쩐 구옥뚜안의 심복장수인 응우옌 화이(阮蒯)는 3만의 군사를 데리고 낭강 일대에 주둔했고 1차 전쟁 당시 활약했던 레 푸쩐(黎 輔陳)은 3만의 군사를 데리고 탄응헤(乂城)에, 쩐 하인쯔(陳 慶餘)는 반돈(雲屯), 그리고 쩐 구옥뚜안 자신은 꾸앙옌(廣安)에 주둔했다. 재밌는 부분은 쩐 구옥뚜안은 요충지에 군을 배치하는 행보와는 정반대로 적의 보병의 침공을 막기 위해 떠민처우(思明州)와 접해 있는 함사(陷砂), 뜨쭉(徐竹) 기지를 폐쇄하고 장수들은 빈탄(平炭)으로 보냈다.

4.3. 국경에서의 충돌

1287년 12월 18일, 토곤과 아이우루이치는 군을 몰아 떠민(思明)에 집결했다가 12월 25일 마침내 다이 비엣의 국경으로 진입했다. 나흘 뒤인 29일에 록처우(鹿州)에 도달한 토곤은 군을 둘로 나누었고 그 중 한 갈래는 정붕비와 베도긱다이(孛多急搭耳)가 1만명의 한인 군대로서 빈빈(永平)에서 치랑(枝陵)으로 나아갔고 또 하나는 록빈(祿平)에서 손동(山洞)으로 나아갔다. 이들 군대는 각각 2,500명의 병사로 무기와 식량 등을 호송하였다.

한편, 운남 일대에서는 아이로, 아타이(阿太), 망쿠다이 등이 이끄는 군대가 총사령관 토곤의 군대보다 훨씬 먼저 다이 비엣 국경으로 진입했고 12월 11일에 박학(白鶴) 일대에 도착했으며 같은 시각, 우마르와 반섭이 이끄는 해군은 함처우(钦州)에서 출발해 다이 비엣의 동북쪽 해안으로 이동했으며 전투를 준비하기 위해서인지 12월 17일 전투선과 수송선을 분리한 뒤 전투선들은 반닌(萬寜) 하구로 이동, 강을 따라 반끼엡(萬劫)으로 향했다.

원나라 군이 다이 비엣에 진입하자마자 곧바로 쩐의 군대와 전투가 벌어졌다. 아이로가 이끄는 군대는 뚜옌꽝(宣光)에 주둔 중이던 쩐 냣두앗이 이끄는 4만 명의 쩐 군사를 상대로 박학에서 싸워 승리했으며 그걸로는 모자랐는지 쩐군의 배 몇 대를 탈취한 뒤 그대로 공격, 장수인 레 따익(黎 石)과 하안(河 瑛)을 죽여버렸다. 아이로 등이 승전하는 동안 토곤의 군대는 국경의 강을 건너고 있었고 정붕비가 이끄는 한인 군대는 낭강과 투강 방향으로 이동하며 쩐의 군사들과 무려 17번의 교전에서 승리하며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던) 함사(陷砂), 뜨죽(徐竹) 기지를 점령했고 연이어 푸산(浮山)의 쩐군 기지를 공격했다. 쩐군은 숲이 우거진 것을 이용해 숨었다가 기습하는 방법과 밀림에 서식하는 독사를 여기저기 풀어놔 물게 하는 방식으로 원나라 군에 피해를 주었으나 주춤하던 정붕비의 부대에 원나라의 증원군이 추가되자 결국은 퇴각했다.

아이로와 정붕비가 쩐군과 좌충우돌 하는 사이, 토곤의 군대는 다음 이동 예상 지점이던 깔리(可里)까지 별 무리 없이 이동했으며 토곤은 쩐군의 근거지인 반끼엡과 가깝고 방어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찌린(至靈)과 파라이(普徠), 두 산을 점령해 단단한 기지를 세우고자 했다. 1288년 한인으로 구성된 군대는 마오라(毛羅) 운하에 도착해 주둔했다. 하지만 탄응애(乂城)를 공격하던 중 쩐의 군대가 반격을 가하게 되고 적군이 성내 주둔하면서 저항한다는 것을 안 정붕비의 군대는 무리하게 공격하는 대신, 토곤과 합류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다.

한편, 우마르가 이끄는 해군은 꾸앙옌(廣安)으로 진격했고 다모(多某)에서 쩐의 장군인 쩐 지아(陳 加)와 교전을 벌였다. 쩐 지아는 원나라 수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해 적의 함선 일부를 불태우거나 빼앗는 등의 공을 세웠으나 쩐 지아 측 병사들도 수백 명이 죽어나갔기에 결국 숫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퇴각했다. 다이 비엣으로 들어갈수록 소비되는 식량은 늘어만 갔고 결국 보급이 반강제로 중단되는 일이 벌어지자 토곤은 장수들에게 다이 비엣의 마을들을 습격해 식량을 빼앗으라고 지시했다. 쩐군은 이런 원나라의 만행에 치를 떨었지만 어차피 털어 갈 것도 없었을 뿐더러 군대를 보존하기 위해 결국 음력 12월 초, 낭강 일대의 모든 기지를 버린 채 반끼엡으로 철군했으며 쩐 지아 역시 해상에서 작은 승리를 거두긴 했으나 반섭이 이끄는 해군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기 때문에 바익당 강(白藤江)을 건너 박장(北江)으로 올라갔다. 쩐 꾸옥뚜안은 이를 막기 위해 박장에 함대를 배치하긴 했지만 원나라 수군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1288년 1월 초, 토곤과 정붕비의 부대가 합쳐졌는데 두 강을 지나며 17번의 전투와 푸산의 방어선을 뚫고 온 정붕비와는 달리 토곤은 큰 전투 없이 약한 저항군만을 만나며 꽤 순조롭게 내려온 상태였다. 원나라 군은 곧바로 반끼엡으로 진격했으나 그 곳에 쩐군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의 군대는 이미 수도 탕롱으로 후퇴한 직후였다. 토곤은 점거한 반끼엡을 수뇌부로 삼고 그 곳에 2만 여명의 병력을 주둔시킨 뒤, 계획대로 찌린과 파라이에 목책 기지를 세웠다. 그리고 곧장 원나라 군은 토곤이 이끄는 부대와 쩐 냣두앗을 격파한 아이로, 그리고 우마르가 이끄는 해군으로 각각 수도 탕롱을 향해 나아갔다.

4.4. 번외전투: 까오랑 전투

토곤과 안남국왕으로 임명 되었던 쩐 익탁의 주력군이 수도 탕롱 근처에 도달했을 때, 조금 먼 후방에서 다이 비엣 출신의 장군 레 탁(黎 唶), 레 안(黎 安) 등이 5천의 병사로 쩐 익탁의 아들 쩐 득(陳 德)을 호위하고 있었다.[27] 뜻밖에도 레 탁의 군대는 탕롱 방향으로 이동 중에 노이방(內龐) 입새에서 매복하고 있던 따이족(齊族) 출신의 장군인 응우옌 테록(阮 世鹿)의 기습을 받게 되었다. 레 탁이 이끄는 병사들은 부상을 입었고, 응우옌 테록의 군대가 양쪽에 주둔하는 바람에 북쪽의 국경 일대로 이동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레 탁과 레 안은 얼마 안 되는 병사만으로 룩남강(陸南江)을 끼고 달아나야만 했다.

응우예 테록은 곧바로 추격을 실시했고 레 안은 쩐 득을 안고 말을 탔으나 뜻밖에도 말의 체력이 너무 허약해 걸음이 느렸다. 결국 보다 못한 레 탁이 자신의 좋은 말을 쩐 득을 안고 있는 레 안에게 넘겨준 뒤 허약한 말을 자신이 타고 달렸다. 추격군에게 쫓겨 대다수의 병사들이 죽었고 결국 이들이 호위하던 쩐 득을 포함해 반 호닷(萬 戶達), 티엔 호티우(禪 戶小), 응우옌 린(阮 領), 레 옌(梨 燕) 등 약 60여명의 기병만이 살아남을 수 있었고 1288년 설 즈음에 야밤을 틈타 겨우 떠민(思明)으로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4.5. 탕롱 공방전

1월 말, 원나라 군은 탕롱에 도착했고 아루크가 이끌던 운남의 군대는 홍강 근처에서 총사령관 토곤의 군대와 만났으며 1288년 2월 2일이 되자 원나라 군의 본격적으로 탕롱을 공격했다. 쩐 구옥뚜안은 상비군을 배치했고 성 안의 군대는 돌과 화살을 날리며 저항했다. 원나라 군은 여러 번 파상공격을 퍼부었으나 딱히 결실을 얻진 못했다. 쩐 구옥뚜안은 화전양면(和戰兩面)전술을 십분 활용해 낮에는 쩐 까오(陳 暠) 등을 사신으로 삼아 토곤의 진영으로 보내 여러 번 화친을 요구했으나 밤에는 몰래 별동대를 이끌고 진격해 원나라 군의 식량과 물자를 전부 불태운 뒤 퇴각하곤 했다. 토곤은 군대를 보내 이들을 추격했으나 쩐군은 은폐와 엄폐에 능해 찾아내질 못했다. 한편, 쩐 구옥뚜안이 적의 식량을 태우는 작전을 실행하는 동안 원나라 군의 파상공격을 막고 있던 종친 쩐 냑(陳 𩖃)이 적이 발사한 화살에 맞고 죽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방어와 기습을 통해 원나라 군대의 발목을 오랫동안 붙들고 있던 쩐 구옥뚜안은 서둘러 수도로 철수한 뒤, 장수들로 하여금 태상황 쩐 성종과 황제 쩐 인종을 홍강 하류로 호위하도록 하고, 자오투이 강(膠水江)을 따라 탑손(塔山) 일대의 해안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우마르가 이끄는 원나라 수군이 너무 빨리 다가오자 성종과 인종은 타인호아(淸化)로 이동하기 위해 배에 올랐다. 우마르는 수십 척의 배를 띄워 이들을 잡으려 했으나 타인호아에는 명장 레 푸쩐(黎 輔陳)이 있었고 그는 큰 규모의 선박과 수군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섣불리 움직이기 어려웠다. 결국 열받은 우마르는 롱흥(龍興)을 지나면서 부하들에게 시켜 쩐 왕조를 건립했으며 1차 침공 당시 활약했던 쩐 태종의 무덤을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즈음 토곤 역시 쩐의 군주들을 뒤쫓기 시작했다. 우마르는 쩐의 군주들에게 다음과 같은 협박을 했다.
"너희가 하늘로 뛰어오르면 나도 하늘로 올라가고, 너희가 땅 속으로 뛰어 내려가면 나 역시 땅 속으로 갈 것이다. 너희가 산으로 올라 숨는다면 나도 산에 올라 너흴 찾아낼 것이며, 너희가 물로 뛰어든다면 나 역시 뛰어들 것이다."

쩐 성종과 쩐 인종은 타인호아로 함선을 보냈는데 함선의 수가 많고 움직임이 날랬기 때문에 쩐의 군대는 적을 교란할 수 있는 군대와 첩보를 할 수 있는 부대로 쉽게 나눌 수 있었다. 한편, 탕롱에서는 원나라 군이 성 안으로 진입하기는 했으나 쩐 꾸옥뚜안이 이끄는 쩐군의 강한 저항을 받게 되었고 결국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인 후 결국 철수하게 되었는데 그냥은 갈 수 없어서 궁궐과 시가지에 불을 놓아 다 태워버리는 짓을 저질렀다.

4.6. 반돈 전투와 원나라 군의 보급 상실

우마르와 반섭의 수군은 예전에 쩐 지아의 수군을 격파해 장문호와 비공신이 이끄는 보급선이 이동할 해로를 마련해 두었는데 쩐의 군주들이 타인호아로 달아나고 쩐 지아가 이끌던 쩐 수군을 격파한 일로 방심하게 되었는지 스스로 배에서 내려 육지로 이동, 토곤의 군대에 합류해 쩐 군주 추격전에 동참했다. 한편, 인혜왕(仁惠王)이던 쩐 하인쯔(陳 慶餘)는 항로를 지키는 일을 맡았지만 우마르의 수군을 막지 못해 통과시키게끔 했고 그로 인해 쩐 태종의 무덤이 파괴되는 일이 벌어지자 태상황 쩐 성종은 그를 군법으로 처벌해야 한다고 황제에게 주장했다. 쩐 하인쯔는 전쟁 중이었지만 속죄하기 위해 몇 일이고 간청해야 했고 전시였던 탓에 겨우 목숨만은 건져 공을 세울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1288년 초, 장문호의 보급 부대가 반돈에 도착했으나 쩐 하인쯔의 군대에 의해 공격을 받게 되었다. 보급 부대를 보호해야 할 우마르의 수군은 어처구니없게도 토곤의 군대에 합류해 버린 탓에 빠르게 공격을 받고는 220여명이 사망, 11척의 배를 상실하는 큰 패배를 맛보게 되었다. 장문호는 서둘러 육지에 상륙하려고 했으나 눅투이(綠水)에 도착했을 즈음 쩐군의 소형 선박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더 강한 공격을 받게 되었다. 결국 장문호의 부대는 다시 패하게 되었고 쩐의 수군에게 식량 14,300석을 빼앗길까봐 두려워 전부 바다에 던져버린 뒤 서둘러 뀐처우(瓊州)로 달아났다.

한편, 장문호가 탈탈 털리는 동안에 비공신의 보급 부대는 막 후에처우(惠州)에 들어왔으나 그 순간 만난 폭풍에 결국 표류해 뀐처우로 떠내려갔다. 그와 동시에 서경(徐慶)이 이끄는 보급대는 점성(占城)에서 이동했으나 초행이라 그런지 길을 잃는 바람에 한참 해매다가 결국은 광동(廣東)으로 돌아가 버렸다. 이로써 장문호의 보급선은 사실상 전멸, 비공신의 보급선은 폭풍에 의해 좌초, 서경의 보급군은 길을 해매다가 복귀해 버림으로써 전선의 수송로가 전부 증발해버리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다. 이 반돈 전투로 인해 원나라 군이 안전하게 식량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완전히 사라져 버림으로서 향후 있을 전투들에 아주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4.7. 원나라 군의 반끼엡 철수

토곤이 탕롱을 포위하는 동안, 원나라의 장수들은 지시에 따라 점거된 반끼엡의 방비와 시설 등을 강화하였으나 여러 군데에 지어놓은 기지들이 매번 쩐군의 기습에 무너지거나 고립되는 일이 빈번했다. 초조해진 토곤은 1288년 2월 10일에 장문호가 이끄는 보급선이 무사히 도착하기를 기다리며 자신에게 합류한 우마르에게 장문호의 함선이 어디쯤 도착했는지 확인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나 우마르의 별동대는 반욱강(炆墺江)에서 습격을 당했다. 피해를 감수하고선 어찌어찌 탑손 일대까지 나아갔으나 이미 패배해 버린 장문호의 함선을 당연히 볼 수 없었고 결국 아무런 소득 없이 반끼엡으로 복귀했다. 돌아가는 길에 우마르의 부대는 인근을 약탈해서 4만 석의 식량을 얻었고 또 다른 원의 장수 아바키 역시 탑손에서 쩐의 군대와 교전을 치른 뒤 1만석에서 3만석 정도의 식량을 약탈하는데 성공했으나 그것으로 많은 수의 원나라 군사들을 먹이는 것은 택도 없었다.

식량이 바닥나기 시작하자 탈영병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기회를 잡은 쩐군은 거센 반격을 가해 그 주변 지역의 도로를 장악하는데 성공했다. 토곤의 군대와 반끼엡 사이의 연결이 끊어졌고 결국 토곤은 탕롱에서 병력을 철수시킨 뒤, 아바키를 앞장 세워 길을 연 뒤 반끼엡으로 퇴각했다. 원나라 군이 다이 비엣에 진입한 지 약 4개월이 지나는 1288년 3월 말까지 식량은 부족하고 날씨가 봄에서 여름으로 바뀌고 있었던 탓에 풍토병이 발생했다. 그로 인해 기껏 점령한 지역을 전부 버리다보니 원군의 주둔지는 반끼엡과 그 주변지로 축소되었다.

이런 원나라 군의 기운을 더 빼기 위해서 쩐 구옥뚜안은 속임수를 쓰기로 했다. 이전에 사신으로 보냈던 쩐 까오를 다시 보내 '청항(請降)', 즉 항복을 청한다는 뜻을 보냈다. 이미 지쳐 있었던 토곤은 그 말을 믿고는 병력을 요새 안에 주둔시키면서 망가진 시설을 수리하게 했고 쩐 구옥뚜안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28] 이렇게 원나라 군이 지쳐서 방심하고 있을 때 쩐의 군사들이 다시금 야습을 감행하자 토곤은 그제야 자신이 속았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크게 분노해 장수 호겔줜(戶解震)에게 다시 한 번 병력을 모아 공격하고 쩐군의 요새를 불태우며 보이는 족족 모두 죽이라는 명을 내렸다. 하지만 휘하의 장수들은 지금 돌격하면 전부 다 죽자는 것 밖에 안된다는 걸 알았기 때문에 분노로 이성의 끈을 반쯤 놓아버린 총사령관을 진정시키고 지금 내린 명령을 취소하도록 설득했다.

한편, 반끼엡 역시 안전한 목책 뒤에 있었지만 마찬가지로 쩐 군대의 야습에 수시로 시달려야만 했다. 게다가 탕롱을 공격하던 부대와 마찬가지로 이 곳도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다. 결국 원나라의 장수들은 모여서 작전을 논의했다. 이 당시 상황을 묘사한 「신원사(新元史)」에는 "군대가 돌아오더라도 버틸 수 없다","교지에는 지킬 수 있는 요새도 식량도 없었으며 날씨가 더워 식량이 빠르게 상해 오래 머무를 수 없어 얼굴에 병색이 짙은 군대는 결국 돌아왔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결국 원나라가 세 번째로 다이 비엣을 공격한 지 고작 3-4개월 밖에 안 된 1288년 3월 말, 토곤은 다이 비엣에서 철군하기로 결정했다. 철군하는 원나라 군은 두 갈래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우마르와 반섭이 지휘했고 나머지 한 갈래는 토곤이 직접 지휘했다.

4.8. 바익당 강 전투

원나라 군을 지휘하던 정붕비와 타쿠는 토곤을 호위하며 배를 타고 길을 뚫으려 했지만 결국은 지속적으로 방해를 받아 결국 반끼엡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호위함이 없는 우마르의 함대 역시 계속해서 쩐 함대에 의해 요격당했고 1288년 4월 8일이 되어서야 지아강(價江)에 들어갈 수 있는 쭉동(竹洞)에 다다르게 되었다. 하지만 쩐의 함대는 원나라의 함대가 지아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버렸고 결국 우마르의 함대는 바익당 강(白藤江)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곳에는 이미 쩐 군이 말뚝을 잔뚝 박아둔 상태였다. 쩐의 군대는 장껜산(長涇山)에 주둔하고 있었고 수군은 바익당 강과 연결된 다른 강에 숨겨두고 우마르의 함대가 진입해 들어오면, 곧바로 오른쪽 측면을 공격한 뒤, 연이어 다른 병력이 왼편을 공격하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었다.

1288년 4월 9일 오전, 원나라의 함대는 박당강에 진입했고 쩐의 함대가 추격해오는 것을 보았지만 강 바닥에 박힌 말뚝에 걸려 멈춰서고 말았다. 곧바로 쩐의 군대가 사방에서 밀려오기 시작했다. 사령관인 쩐 구옥뚜안은 물론이고 황제인 쩐 인종까지 일군(軍)을 맡아 진격해 왔다. 특히 쩐의 장수 응우옌 호아이(阮 蒯)는 쩐의 금군이던 타인즉(聖翊)을 지휘하며 원나라의 배들을 직접 공격했다. 거기다 원나라 함대에 패배해 달아나는 척 하던 배들은 어느새 원나라 해군이 빠져나갈 길목을 틀어막고 있었다. 쩐의 군사들은 각 강의 지류에서 일렬로 정렬한 뒤 돌과 화살을 퍼부었고 동시에 활활 타오르고 있는 선박들을 보내 원의 함선 사이로 보내버렸다.

원나라 군에서는 반섭, 유규, 우마르, 장옥, 석례기(昔例基) 등의 장수들이 병사들을 독려하면서 반격을 명령했다. 반섭은 서둘러 병사들을 상륙해 장껜산을 점령, 군대가 쉴 수 있는 높은 곳을 확보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반섭의 군대는 산을 확보하기도 전에 반격을 받아 다시 강으로 밀려나게 되었으며 하필이면 물때가 썰물인 시점이라 이 무모한 작전으로 인해 더 많은 함선들이 파손되는 참사가 벌어졌다. 말뚝에 막힌 배들은 기습으로 혼란에 빠져 있었고 말뚝의 범위 안에 없는 배들 역시 도망가는 척하던 쩐의 함선들이 길을 틀어막은 바람에 갇히고 말았다. 결국 원나라의 장수들은 대부분 퇴각하지 못하고 사로잡히게 되었다.

오후가 되자, 원나라 군은 사실상 전멸했고 장수 중 장옥은 결국 혼잡한 상황에서 벌어진 폭동으로 사망했고 우마르, 석례기, 반섭은 부상을 입은 상태였지만 잡히지 않으려 물에 뛰어 들었으며 이천우(李千右)는 사로잡히고 말았다. 원나라의 해군은 거의 궤멸되어 6만의 군사가 죽거나 포로로 잡혔고 수많은 배가 침몰했으며 400척 이상의 전함이 쩐 군대의 손에 넘어갔다. 우마르는 결국 부상이 심해졌는지 붙들리긴 했으나 쩐 성종의 배로 옮겨졌고 직급 높은 대장이라 그런지 나름 융숭한 대접을 받았다.

4.9. 낭산 전투

1288년 4월 8일, 아바키가 기마병, 나머지는 토곤이 이끄는 군대가 낭산 방향으로 탈출하기 위해 출발했다. 장수 시크투르가 한 갈래 군대를 맡아 서쪽으로 빠져나가는 길을 뚫어놓을 계획이었으나 함네(陷泥)에서 쩐의 군사들에 의해 요격되고 말았고 결국 소득 없이 토곤에게 되돌아 갔다. 4월 11일, 원나라의 군대는 노이방으로 진격했으나 그 곳에도 이미 쩐의 매복이 기다리고 있었다. 원의 장수 다라키와 유세영은 목숨을 걸고 맞서며 길을 열었고 토곤은 겨우 노이방을 탈출했으나 3만의 쩐군이 길목을 막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29]

원나라 군은 던키(單紀)를 거쳐 록처우로 향했으나 곧바로 쩐군의 습격을 받았다. 결국 원나라 군은 지독스럽게 시달리다가 1288년 4월 19일이 되어서야 탈출해 투민으로 빠져나갔다. 아이로는 끌고 간 군대를 운남으로 돌려보냈고 아이우루이치는 남은 군을 북쪽으로 데려갔다. 이렇게 원나라의 3차 침공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5. 전쟁 이후

다이 비엣에 대한 3차례의 공격이 모두 실패하자 분노한 쿠빌라이는 토곤이 아비의 얼굴에 먹칠을 했다면서 남방의 양주(扬州)로 쫓아낸 뒤 다시는 얼굴을 보지 않았다. 한편 아이로는 전우인 정붕비와 함께 쿠빌라이의 분노를 피해 도망쳐 먼 시골로 갔으나 3차 원정 당시 걸린 풍토병으로 인한 심한 기침 증상에 시달리다가 결국 사망하고 말았다. 그리고 잡혀갔던 원나라 군은 석방되었으나 일부 장수나 장병들은 그냥 돌아가기를 포기하고 정착해 살기도 했다. 쩐 조정 역시, 승자이기는 했으나 피해가 막심했기 때문에 끊었던 원나라 조정에 대한 공물을 다시 바치며 쿠빌라이를 달랬다.

한편, 살아남은 우마르는 다이 비엣에 있었는데 명장인 덕인지 좋은 대접을 받았고, 원나라와의 화친으로 인해 고국으로 돌려보내질 예정이었다. 하지만 쩐 구옥뚜안은 그가 용맹하면서도 잔인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를 원나라로 돌려보내기보다는 죽이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그는 귀국할 날짜가 되자 우마르에게 배를 돌려주었으나 '약간의 하자'를 낸 채로 돌려주었고 결국 그 배는 밤새 침몰하여 우마르는 결국 바닷속에서 익사하고 말았다. 당연히 쩐 구옥 뚜안은 철수 중이던 토곤에게 서신을 보내 '오마니(우마르)를 배에 태워 돌려보냈으나 배가 침몰해 사망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토곤의 입장에서는 이미 싸움에서 진 입장인데다 우마르의 배가 이미 바닷속에 가라앉은터라 확인할 수도 없어 화도 못 내고 그냥 넘겼다.

쿠빌라이는 이 때의 패배가 너무 치욕스러웠는지 아직도 다이 비엣 정복을 포기하지 못하고 있었다. 1289년 3월 10일에 성도(成都)의 군대를 통솔하는 유덕록(劉德祿)이 사천(四川) 지역에서 곧바로 다이 비엣을 공격할 수 있게 원나라 남서부의 여러 부족들에게서 5,000의 병력을 징집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자 그는 기뻐하며 윤허하고 유덕록을 사령관에 임명한 뒤 사천의 병력 1만 명을 주었다. 3차 원정 당시 해전에서 무참히 깨진 기억 때문인지 쿠빌라이는 사천에서 다이 비엣의 북서부 방향으로 진격해 기병의 우수함을 살리고, 최대한 해전을 피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백성들의 원망이 높았던데다 북방이 안정되지 않았고 특히 원나라와 본격적인 대립각을 세우기 시작한 카이두(海都)가 급부상함으로서 더 이상 남쪽에 집중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포기를 모르는 남자 쿠빌라이는 자신에게 안겨준 패배의 충격이 너무나도 컸는지 1293년에 4차 침공을 계획했다. 당시 바가투르(拔都), 즉 영웅으로 불리던 유국걸(劉國杰)을 총사령관으로 삼고 56,570명의 군대와 35만 섬의 식량, 그리고 70만개의 무기를 포함한 1,000여척의 수송선을 동원하고 다이 비엣의 군대가 다시 집결하지 못하도록 트엉뜨(上思)의 부족장이었던 호앙 탄 흐어(皇 聖許)가 반란을 일으켜 응처우(雍州)를 공격하도록 하는 밑밥작업까지 세웠을 정도. 하지만 결국 그 계획은 쿠빌라이 본인이 사망함으로써 이뤄지지 못했다. 왜냐하면 남방 원정 자체가 국가 재정을 뒤흔들 정도의 일인데다 후계자인 올제이투 칸은 할아버지가 3번이나 실패한 남방 정벌에는 일절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6. 관련 문서


[1] 질병 때문에 후퇴했다는 1차 원정마저도 게릴라전이 한 건 했다. [2] 다만 일본 침공도 1차에만 몽골군에 털렸지 2차에서 잘 싸우다가 태풍이 결정타를 먹인것이다. [3] 물론 이는 대월이 송나라보다 몽골에서 먼 덕도 컸다. 남송 중심지는 지금의 항저우로 당시 원나라 수도인 대도(베이징)으로부터 직선거리로 1120km 정도 떨어졌는데 대월 중심지인 탕롱(하노이)는 2327km로 두 배나 되는 끔찍한 수준이다. 그나마도 기후대가 같은 동서 방향이라면 모를까(실제로 카라코룸에서 3000km나 떨어진 사마르칸트는 정복했는데 위도상 베이징과 비슷하다.) 남북으로 저정도니 몽골초원에서 놀던 몽골족 입장에선 도저히 성공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4] 그 전까지 몽골은 상대보다 더 적은 수로 싸웠으면 싸웠지 상대보다 많은 수로 대외 원정을 시도한 적이 거의 없었다. 또한 수십만 대군을 두 차례나 동원했던 것도 이 때가 유일하다. [5] 사실 이 때부터 몽골 군의 편제는 주로 한족 등 점령지 주민들로 이루어진 혼성군으로 이루어지면서 군사력이 많이 약화되었다. 애초에 몽골인들의 수가 적어서 어쩔 수 없이 점령지에서 징집을 해야했기 때문이었다. [6] 우량카타이의 아들 [7] 꾸이호아의 추장. [8] 이런 무능력한 모습에 후대 레 왕조(黎朝)의 역사가인 응오 씨리엔(吳 士連)은 "적들이 왔는데 무서워하고, 비겁하고, 방어책도 없었으며, 다른 나라의 왕에게 부탁이나 하고, 거기에 황제로 하여금 다른 나라로 망명하도록 강요했으니 그게 무슨 장군이란 말인가?" 라고 시원하게 까버렸다. [9] 쿠빌라이의 9번째 아들. [10] 쿠빌라이와 함께 안남국을 정벌하러 가면서 나시족을 굴복시켜 추장인 아쩡아량(阿琮阿良)을 토사(土司, 지방관)로 임명하기도 했고 안남국 정벌 때도 큰 공을 세웠던 인물이다. [11] 쉬게튀의 아들. 남송 정벌 당시 양양 전투에서 공을 세워 소의대장군(昭毅大將軍)에 임명되었고 베트남 원정 후에 남경선위사(南京宣慰司)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12] 사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 [13] (원문 출처 및 명확한 검증 요망) 역사적으로 베트남이 빈번하게 수십만의 병력을 운용했던 병영국가도 아닐 뿐더러, 당시 베트남의 인구와 국력·경제력을 생각해 봤을 때 25만이나 되는 대병이 사용할 수 있는 병장기를 단기간에 뚝딱 만들어내서 무장을 시킨다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주로 습지대를 이용한 게릴라전 위주로 적을 제압했던 쩐 왕조의 병력이 전략상 25만 명까지 필요한지도 의문이고, 설령 필요했다 한들 병장기 수량의 문제와 더불어 전군의 게릴라화라는 엄청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을 훈련시킬 시간 또한 필요했을 것이다. 이로 보건대 격장사 25만 대군 운운은 쩐흥다오의 격문에 고무되어 "25만 명이나 입대를 지원했다"라는 정도로 보는 게 바람직하며, 따라서 실제 동원 병력에 대한 보다 정밀한 교차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14] 훗날 원나라의 침공에 쐐기를 박아버린 바익당 전투에서 큰 활약을 한 게 말뚝이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오묘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15] 중국 신화에 나오는 명사수. [16] 당시 베트남 원정군의 총대장이 쿠빌라이 칸의 아홉째 아들 토곤(脫歡)이었기 때문에 그를 말한 것인데, 정작 토곤의 작위는 진남왕(鎭男王)이었다. 운남왕에 봉해진 것은 토곤의 동복 형인 우게치(忽哥赤). 여담으로 토곤의 손자인 바이바이(佰伯)나 우게치의 현손자인 바자르오르미(把匝剌瓦爾密)는 명에 항복한 뒤 홍무제에 의해 가족들 모두 제주도로 옮겨졌었다. [17] 고가는 한나라의 수도 장안의 남문에 있던 거리인데 죄인의 목을 베어 효수하는 곳이었다. 그러니까 '토곤을 썰어죽이자'는 뜻. [18]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다. [명분] [20] 원정 직전 사망 [21] 남송 출신의 항장으로, 양라보가 원나라의 군대에 의해 함락되자 악주에서 바얀의 군대에 투항한다. 그의 아버지이자 장각의 부하였던 정총이 부주에서 포로로 잡히고 장덕윤이 정총을 가마에 싣고 정붕비와 다시 만날 수 있을 거라고 하지만, 정총은 정붕비가 항복했다는 이유로 정붕비가 자신의 아들이 아니라고 하였다. [22] 괴뢰국왕 쩐 익탁의 아들. [23] 사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 [24] (원문 출처 및 명확한 검증 요망) 역사적으로 베트남이 빈번하게 수십만의 병력을 운용했던 병영국가도 아닐 뿐더러, 당시 베트남의 인구와 국력·경제력을 생각해 봤을 때 25만이나 되는 대병이 사용할 수 있는 병장기를 단기간에 뚝딱 만들어내서 무장을 시킨다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주로 습지대를 이용한 게릴라전 위주로 적을 제압했던 쩐 왕조의 병력이 전략상 25만 명까지 필요한지도 의문이고, 설령 필요했다 한들 병장기 수량의 문제와 더불어 그들을 훈련시킬 시간 또한 필요했을 것이다. 이로 보건대 격장사 25만 대군 운운은 쩐흥다오의 격문에 고무되어 "25만 명이나 입대를 지원했다"라는 정도로 보는 게 바람직하며, 따라서 실제 동원 병력에 대한 보다 정밀한 교차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25] 사서에 따라 10만, 50만 등 차이가 있다. [26] 캬오지, 즉 교지는 예전 중국이 북베트남에 설치한 교주의 중심지로서 흔히 중국에서 베트남을 부르는 말이다. [27] 쩐 득은 고작 9살의 나이에 아버지가 원나라 군대에 항복한 바람에 원나라 진영으로 끌려갔던 적이 있었다. [28] 평소라면 이런 계책에 넘어가지도 않았겠지만 그만큼 토곤과 원나라 병사들은 굶주림과 풍토병, 그리고 피로에 지쳐있었다. [29] 물론 당시 쩐의 군대 대부분은 해안으로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는 퇴각한 원나라 군을 속이려고 퍼뜨린 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