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순우리말/지명
[clearfix]
1. 개요
철도역들중 역명이 한국 고유어인 역을 정리해놓은 문서다. 대한민국식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2. 순우리말 역명 목록
2.1. 서울, 인천, 경기
- 가재울역(인천2호선)
- 검바위역(黔바위驛)(인천2호선) - ‘黔(검)’자는 훈음차자임.
- 고잔역(古棧驛)(4호선, 수인·분당선) - ‘古棧’은 ‘곶안’을 음차한 것에 불과.
- 구반포역(舊盤浦驛)(9호선) - 과거 역명인 '서릿개'만 해당
- 굽은다리역(5호선)
- 까치울역(7호선)
- 노들역(9호선)
- 독바위역(6호선)
- 돌곶이역(6호선)
- 동막역(東幕驛)(인천1호선) - 인천시청 사이트의 연수구 동춘동 동막(東幕)의 지명유래 참조.
- 동막역(東幕驛)(용산선) - ‘東幕(동막)’은 ‘ 독막’의 음차.
- 뚝섬역(2호선)
- 마들역(7호선)
- 먹골역(7호선)
- 범골역(의정부경전철)
- 새말역(의정부경전철)
- 새절역(6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신사역과 겹친 게 원인.
- 서울역(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서울숲역(수인·분당선)
- 서원역(書院驛)(신림선) - 2021년 2월~6월 역명인 ‘숯고개’만 해당.
- 선바위역(4호선)
- 소래역(蘇萊驛)(수인선) - 수인선 협궤 시절에 존재했던 역. 역명 유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소래포구 문서 참조.
- 솔샘역(우이신설선)
- 숭실대입구역(崇實大入口驛)(7호선) - 부역명인 ‘살피재’만 해당.
- 신금호역(新金湖驛)(5호선) - 1995년 개통 직전의 역명인 ‘무수막’만 해당.
- 애오개역(5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겹친게 원인
- 오금역(梧琴驛)(3호선, 5호선) - 서울지명사전 오금동 문서 참조.
- 오리역(梧里驛)(수인·분당선) - 디지털성남문화대전의 오리뜰 문서를 참조.
- 오목역(梧木驛)(수인선) -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에 존재했던 역. 이 역의 한자 표기는 음차표기.
- 장승배기역(7호선)
- 평촌역(坪村驛)(4호선) - 원역명인 벌말역만 해당. 1996년에 주민들이 지역 홍보를 위해 “벌말역은 촌스럽다.”고 하여 개명됨.
- 한티역(수인·분당선)
2.2. 강원도
2.3. 충북
- 살미역(乷味驛)(중부내륙선) - 乷味(←沙乙未/沙乙味)는 음차자에 불과하다. 살미면 - 디지털충주문화대전
2.4. 대전, 세종, 충남
- 간치역(艮峙驛)(장항선) - ‘간치재’의 음차.
2.5. 전북
- 임실역(任實驛)(전라선) - 위키백과의 임실군 항목 참고.
2.6. 광주, 전남
- 돌고개역(1호선)
2.7. 대구, 경북
- 건들바위역(3호선)
- 고래불역(동해선)
- 담티역(2호선)
- 대실역(2호선)
- 동구청역(東區廳驛)(1호선) - 병기역명이자 개명 이전 주역명인 ‘큰고개’만 해당.
- 반고개역(2호선)
- 안지랑역(1호선)
- 입실역(入室驛)(동해선) - 경주 외동읍 항목 참고.
2.8. 부산, 울산, 경남
- 낫개역(1호선)
- 덕두역(德斗驛)(부산김해경전철) - 부산역사문화대전의 덕두본리 문서 참조.
- 두실역(斗室驛)(1호선) - ‘斗室’은 음차. 「부산역사문화대전」의 두실 문서 참조.
- 모덕역(毛德驛)(2호선)
- 모라역(毛羅驛)(2호선) - 위키백과의 모라동 문서 및 부산역사문화대전의 모라동 문서 참고.
- 못골역(2호선)
- 물만골역(3호선)
- 범내골역(1호선)
- 숙등역(3호선) - 「부산역사문화대전」의 숙등마을 문서 및 국제신문 기사 참조.
- 자갈치역(1호선)
- 지게골역(2호선)
2.9. 미수복지구
- 긴등역(경의선 / 평부선)
- 독골역(고비선)
- 물골역(함북선, 두만강선)
- 붉은별역(평양지하철 천리마선)
- 새길역(무산선)
- 새마을역(청년이천선)
- 솔골역(솔골탄광선)
- 학송역(鶴松驛)(함북선, 회암선) - 1980년대까지의 역명인 아오지역(阿吾地驛)만 해당. 아오지 탄광 항목 참조.
3. 번외 1: 순우리말이 (일부나마) 섞여 있는 역명 목록
관련 문서: 앞역3.1. 서울, 인천, 경기
- 가능역(加能驛)(1호선) - ‘加’는 음차한 지명인 ‘가좌리(加佐里)’의 가임.
- 가락시장역(可樂市場驛)(3호선, 8호선) - 가락동(서울) 항목 참조.
- 가산디지털단지역(加山디지털團地驛)(1호선, 7호선) - 가산동 항목 및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가양역(加陽驛)(9호선) - ‘加’는 ‘가마골’의 ‘가’임.
- 간석오거리역(間石五거리驛)(인천1호선)
- 개포동역(開浦洞驛)(수분) - ‘開浦’는 ‘(양재천의) 개페(갯벌)’의 음훈차.
- 걸포북변역(傑浦北邊驛)(김포골드라인) - 김포시청 지명유래 참조.
- 검단사거리역(黔丹四거리驛)(인천2호선) - 인천시청 홈페이지의 검단동 지명유래 참고.
- 검단오류역(黔丹梧柳驛)(인천2호선) - 인천시청 홈페이지의 검단동 지명유래 참고.
- 검암역(黔岩驛)(인천2호선) - ‘黔岩’은 ‘검바위’의 음훈차.
- 고덕역(高德驛)(5호선) - 차자표기한 지명인 ‘고다지동(古多只洞)’의 축약이기도 함. 고덕1·2동 주민센터, 강일동 주민센터의 홈페이지에 있는 고덕동 지명유래 등을 참조.
- 고촌역(高村驛)(김포골드라인) - 김포시청 지명유래 참조.
- 광나루역(廣나루驛)(5호선)
- 광명사거리역(7호선)
- 구리역(九里驛)(중앙선) - ‘구리’와 ‘구지’의 유래를 다룬 네이버 블로그 참조. 구리시 항목도 참조. ‘구지’는 경기방언임.
- 구일역(九一驛)(1호선) - 구로1동을 축약한 데서 유래. 구로동 항목 및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길동역(吉洞驛)(5호선) - ‘기리울’의 음훈차.
- 까치산역(까치山驛)(2호선, 5호선)
- 논현역(論峴驛)(7호선, 신분당선) - ‘論峴’은 ‘논고개’의 음훈차.
- 단대오거리역(丹臺五거리驛)(8호선)
- 달미역(達미驛)(서해선) - 디지털안산문화대전의 달미 문서 참조.
- 대야미역(大夜味驛)(4호선) - ‘大夜味’는 ‘한(논)빼미’의 훈음차. 컬처 & 비즈 저널의 [이한성의 옛절터 가는 길 (57)]수리산길: 대야미 ~ 수리사 ~ 최경환 성지] 참조.
- 덕정역(德亭驛)(1호선) - 덕정동(양주) 항목 참고.
- 동묘앞역(東墓앞驛)(1호선, 6호선)
- 등촌역(登村驛)(9호선) - 조선총독부 일본인 통역관이 ‘등마루골’을 ‘등 말골’로 오해하여 음훈차한 것임.
- 마곡나루역(麻谷나루驛)(9호선)
- 망포역(網浦驛)(수인·분당선) - ‘방죽머리 망개(맡개)’의 ‘망개’ 부분을 음훈차.
- 매봉역(매峰驛)(3호선)
- 모래내시장역(모래내市場驛)(인천2호선)
- 무악재역(毋岳재驛)(3호선)
- 미아사거리역(彌阿四거리驛)(4호선)
- 방송소앞역([ruby(放,ruby=ハウ)][ruby(送,ruby=ソウ)][ruby(所,ruby=セウ)][ruby(前,ruby=マヘ)][ruby(驛,ruby=エキ)])(용산선)
- 버티고개역(6호선) - ‘버티’는 ‘播盗峙(번도치)’을 축약한 ‘播峙(번치)’가 중국어 북방 방언 발음과 유사하게 변형된 것임.
- 범계역(범溪驛)(4호선) - 동해선 호계역(虎溪驛)과 한자표기까지 겹친 게 원인.
- 별내역(別內驛)(8호선, 경춘선) - ‘별내(別內)’의 ‘별’은 음차.
- 별내별가람역(別內별가람驛)(4호선) - ‘별내(別內)’의 ‘별’은 음차.
- 보라매역(7호선) - ‘보라’는 몽골어 ‘ᠪᠣᠷ(бор)’에서 왔다.
- 보라매공원역(보라매公園驛)(신림선) - ‘보라’는 몽골어 ‘ᠪᠣᠷ(бор)’에서 왔다.
- 보라매병원역(보라매病院驛)(신림선) - ‘보라’는 몽골어 ‘ᠪᠣᠷ(бор)’에서 왔다.
- 부평삼거리역(富平三거리驛)(인천1호선)
- 불암산역(佛巖山驛)(4호선) - 개칭 전 역명인 '당고개(堂고개)'만 해당
- 삼양사거리역(三陽四거리驛)(우이신설선)
- 삼전역(三田驛)(9호선) - 티스토리, 삼전도(三田渡) - 문화기린각(文化麒麟閣) 문서를 참조
- 샛강역(샛江驛)(9호선)
- 서울대입구역(서울大入口驛)(2호선)
- 서울대벤처타운역(신림선)
- 서울지방병무청역(서울地方兵務廳驛)(신림선)
- 서초역(瑞草驛)(2호선) - ‘瑞’는 ‘서리풀’의 ‘서’를 음차한 것임.
- 석남역(石南驛)(7호선, 인천2호선): 부역명인 ‘거북시장(거북市場)’만 해당
- 석바위시장역(石바위市場驛)(인천2호선)
- 석천사거리역(石泉四거리驛)(인천2호선)
- 소새울역(素새울驛)(서해선) - 부천시청 공식 블로그 및 서울신문, 소사~원시선 부천구간 역명 2곳 ‘소사역’, ‘소새울역’으로 확정 기사의 지명유래 참조.
- 소래포구역(蘇萊浦口驛)(수인·분당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소래포구 문서 참조.
- 솔밭공원역(솔밭公園驛)(우이신설선)
- 송도달빛축제공원역(松嶋달빛祝祭公園驛)(인천1호선)
- 송파나루역(松坡나루驛)(9호선)
- 수리산역(修理山驛)(4호선) - 수리산 항목 참조.
- 신논현역(新論峴驛)(9호선, 신분당선) - ‘論峴’은 ‘논고개’의 음훈차.
- 신대방삼거리역(新大方三거리驛)(7)
- 신정네거리역(新亭네거리驛)(2호선)
- 안암역(安岩驛)(6호선) - ‘安岩’은 ‘앉을 바위’의 음훈차. 서울지명사전의 안암동 문서 참조.
- 야목역(野牧驛)(수인·분당선) - ‘들목(들마을)’의 훈음차. 화성문화원의 매송면 지명 유래 참조.
- 양재시민의숲역(良才市民의숲驛)(신분당선)
- 어린이대공원역(어린이大公園驛)(7호선)
- 여의나루역(女矣나루驛)(5호선) - 여의도 항목 참조.
- 연신내역(延신내驛)(3호선, 6호선) - ‘연선(延曙ᆫ)내’의 변형.
- 오목교역(梧木橋驛)(5호선) - ‘梧木’은 음차.
- 오목천역(梧木川驛)(수인·분당선) - ‘梧木’은 음차.
- 오산역(烏山驛)(1호선, 경부선) - 오산시 항목 참고.
- 오산대역(烏山大驛)(1호선) - 오산시 항목 참고.
- 외대앞역(外大앞驛)(1호선)
- 월곶역(月串驛)(수인·분당선) - 「시흥시문화대전」의 월곶동 문서 및 串 항목 참조.
- 월미공원역(月尾公園驛)(월미바다열차)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월미문화의거리역(月尾文化의거리驛)(월미바다열차)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월미바다역(月尾바다驛)(월미바다열차)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을지로3가역(乙支路3街驛)(2호선, 3호선) - 을지문덕 항목 참조.
- 을지로4가역(乙支路4街驛)(2호선, 5호선) - 을지문덕 항목 참조.
- 을지로5가역(乙支路5街驛)(4호선, 5호선) - 을지문덕 항목 참조.
- 을지로입구역(乙支路入口驛)(2호선) - 을지문덕 항목 참조.
- 인천논현역(仁川論峴驛)(수인·분당선) - ‘論峴’은 ‘논고개’의 음훈차.
-
자양역(紫陽驛)(7호선) - 부역명인 '뚝섬한강공원'(뚝섬
漢한江公園) 및 개명 전 역명인 '뚝섬유원지'만 해당 - 잠실나루역(蠶室나루驛)(2호선)
- 잠실새내역(蠶室새내驛)(2호선)
- 장한평역(長漢坪驛)(5호선) - 위키백과의 장안동(서울) 항목 참조.
- 하남검단산역(河南黔冊山驛)(5호선) - 검단산 유래를 다룬 네이버 블로그 참조.
- 학여울역(鶴여울驛)(3호선)
- 한강리역(漢江里驛)(경원선) - 한강 항목 참조.
- 한강진역(漢江津驛)(6호선) - 한강 항목 참조.
- 한남역(漢南驛)(경의·중앙선) - 한강 항목 참조.
- 한대앞역(漢大앞驛)(4호선, 수인·분당선)
- 한성대입구역(漢城大入口驛)(4호선) - 한강, 한성 항목 참조.
- 한성백제역(漢城百濟驛)(9호선) - 한강, 한성 및 백제 항목 참조.
- 한양대역()(2호선) - 한강, 한양 항목 참조.
- 한탄강역(漢灘江驛)(경원선) - ‘漢灘’은 ‘한녀울(큰여울)’의 음훈차.
- 한티역(수인·분당선) - 역명인 영동역(永東驛)에서 같은 대치동에 위치한 수도권 3호선 대치역(大峙驛)과 중복되되어
- 효창공원앞역(孝昌公園앞驛)(6호선, 경의·중앙선)
3.2. 강원도
- 둔내역(屯內驛)(경강선) - 위키백과의 횡성군 둔내면 항목 참조.
- 민둥산역(민둥山驛)(정선선)
- 별어곡역(別於谷驛)(정선선) - 다음 블로그 등산의 ‘벼랑과 관련된 땅이름들~’, 정선군청의 남면 지명유래 참조.
- 이길역(二吉驛)(금강산선) - 이글루스의 마을유래 - 두루미자는 버들골 참조.
-
주문진역(注文津驛)(동해
북부선) - 세종실록 지리지 강릉대도호부의 봉수대 부분 참고.
3.3. 충북
- 달천역(達川驛)(충북선) - 달천 - 한국하천협회, PDF 참조.
3.4. 대전, 세종, 충남
- 논산역(論山驛)(호남선) - ‘놀뫼’, ‘논뫼’의 음훈차.
- 서대전네거리역(西大田네거리驛)(1호선)
3.5. 전북
3.6. 광주, 전남
- 동목포역(東木浦驛)(호남선) - 목포시청의 역사/지명유래 및 위키백과의 목포시 항목 참조.
- 목포역(木浦驛)(호남선) - 목포시청의 역사/지명유래 및 위키백과의 목포시 항목 참조.
- 보성역(寶城驛)(경전선) - 보성군 항목의 역사 문단 및 보성문화원의 보성읍 지명유래 및 역사 문서 참조.
- 안평역(安平驛)(호남선, 장성화물선) - ‘安’은 음차자. 장성읍사무소 홈페이지의 마을 연혁 및 유래 참조.
3.7. 대구, 경북
- 구미역(龜尾驛)(경부선) - '龜尾'는 원래 '仇彌'였고 음차다. 구미시청 사이트의 지명유래
- 두류역(頭流驛)(2호선) - 달서구청 홈페이지의 지명유래 참조.
- 모화역(毛火驛)(동해선) - ‘목벌’, ‘모기벌’의 음훈차.
- 서부정류장역(西部停留場驛(1호선) - 개명 전 역명인 ‘성당못(聖堂못)’만 해당.
- 수성못역(壽城못驛)(3호선)
- 아화역(阿火驛)(중앙선) - ‘아, 불…….’의 음훈차.
- 어린이세상역(어린이世上驛)(3호선)
- 월배역(月背驛)(1호선) - 달서구청 홈페이지의 지명유래 참조.
- 청라언덕역(靑蘿언덕驛)(2호선, 3호선)
3.8. 부산, 울산, 경남
- 거제해맞이역(巨濟해맞이驛)(동해선)
- 고성역(固城驛)(남부내륙선, 임시역명) - 경상남도 고성군 항목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문서 참조.
- 다릿돌전망대정거장(다릿돌全望臺停車場)( 해운대 해변열차)
- 달리신호장(達里信號場)(동해남부선) - 울산제일일보의 남구 달동(達洞), '달(達)'의 의미 기사 참조.
- 달맞이터널정거장(—停車場)( 해운대 해변열차)
- 대티역(大峙驛)(1호선) - 한턱
- 동매역(東매驛)(1호선)
- 덕천역(德川驛)(2호선, 3호선) - 북구향토지 - 지명유래 - 덕천동을 참조할 경우.
- 덕포역(德浦驛)(2호선) - 부산역사문화대전의 덕포동 문서 참조.
- 밀양역(密陽驛)(경부선) - 한남일보 기사, ‘물기 많은 땅’이란 의미가 깃든 밀양(密陽). 및 밀양시청 홈페이지의 지명유래 참조.
- 범일역(凡一驛)(1호선), 범일역(凡一驛)(가야선, 동해선) - ‘凡’은 범, 호랑이를 의미함.
- 북울산역(北蔚山驛)(동해선) - 울산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안평역(安平驛)(4호선) - ‘安’은 훈음차자.
- 야음역(也音驛)(장생포선) - 울산 남구 항목의 야음·장생포동 문단 참고.
- 영산대역(靈山大驛)(4호선) - 부역명인 아랫반송역(아랫盤松驛)만 해당.
- 울산역(蔚山驛)(경부고속선) - 울산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울산신항역(蔚山新港驛)(울산신항선) - 울산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울산항역(蔚山港驛)(울산항선) - 울산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윗반송역(윗盤松驛)(4호선)
- 자갈치역()—峙驛)(1호선) - 자갈치시장 항목 참조
3.9. 미수복지구
- 곤장덕역(棍杖덕驛)(보천선)
- 금바위역(金바위驛)(평라선)
- 늪평역(늪平驛)(북부내륙선)
- 랑림역(狼林驛)(강계선) - 1952년 군면리대폐합 때까지의 이름인, 장진 동문 안팎의 거리의 의미인 ‘동문거리역(東門巨里驛)’만 해당.
- 베개봉역(베개峰驛)(삼지연선)
- 삼지연못가역(三池淵못가驛)(삼지연선) -
- 신포역(新浦驛)(동해선, 함경선) - ‘신포(新浦)’는 ‘씨신개(씻은개)’에서 신개 부분을 따서 음훈차.
- 창골역(倉골驛)(북부내륙선)
- 칠골역(七골驛)(평남선)
4. 번외 2: 한자 음차어(가 포함된) 역명 목록
음차하는 과정에서 원형과 달라지는 것만 기재하기 바람.4.1. 서울, 인천, 경기
- 가좌역(加佐驛)(경의·중앙선) - ‘가재울’, ‘가생이’의 음차.
- 갈매역(葛梅驛)(경춘선) - 갈매동 항목 및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고촌역()(김포철도) - 김포시청 홈페이지의 지명유래 참조.
- 곤지암역(昆池岩驛)(경강선) - 신립의 묘 옆에 있는 ‘곤재바우(고양이바위)’의 음훈차.
- 공덕역(孔德驛))(5호선,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 ‘큰덕’의 음차.
- 공덕리역(孔德里驛)(용산선) - ‘큰덕’의 음차.
- 공릉역(孔陵驛)(7호선) - 공릉의 ‘孔’자는 ‘큰덕’의 음차인 ‘공덕’에서 왔다.
- 광명역(光明驛)(경부고속선, 1호선) - 광명동 항목 참고.
- 광명사거리역(7호선) - 광명동 항목 참고.
- 구로역(九老驛)(1호선) - 구로동 항목 및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구로디지털단지역(九老디지털團地驛)]2호선) - 구로동 항목 및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금정역(衿井驛)(1호선, 4호선) - '큰우물'의 변형을 음훈차 [자료-정진원]안양의 옛 마을 지명 이야기
- 길음역(吉陰驛)(4호선) - ‘질은골’, ‘기레미골’의 음차. 위키백과의 길음동 문서 및 성북문화아카이브의 길음동 참고.
- 남구로역(南九老驛)(7호선) - 구로동 항목 및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노량진역(鷺梁津驛)(1호선, 9호선) - ‘노들나루’의 음훈차.
- 달월역(達月驛)(수인·분당선) - ‘달울’의 음차.
- 대림역(大林驛)(2호선, 7호선) - 위키백과의 서울 도림동 문서 참조.
- 덕소역(德沼驛)(경의·중앙선) - 네이버 블로그, 구리시와 남양주시의 유래와 전설 참조.
- 도곡역(道谷驛)(3호선, 수인·분당선) - ‘독골(돌골)’의 음훈차.
- 도라산역(道羅山驛)(경의선) - ‘도리미’, ‘도라미’를 음차
- 도림천역(道林川驛)(2호선) - 위키백과의 서울 도림동 문서 참조.
- 동작역(銅雀驛)(4호선, 9호선) - ‘銅雀(동작)’은 ‘동재기’의 음차.
- 매교역(梅橋驛)(수인·분당선) - 기호일보의 오피니언, 매홀(買忽)을 아시나요? 및 수원시 항목 참조.
- 매탄권선역(梅灘勸善驛)(수인·분당선) - ‘매여울’을 ‘梅灘(매탄)’으로 음훈차. 기호일보의 오피니언, 매홀(買忽)을 아시나요? 및 수원시 항목 참조.
- 무악재역(毋岳재驛)(3호선) - ‘모아재’의 변형이기도 함.
- 문래역(文來驛)(2호선) - 문래동 항목 참조.)
- 서현역(書峴驛)(수인·분당선) - 위키백과의 서현동 항목 참조.
- 성신여대입구역(誠信女大入口驛)(4호선, 우이신설선) - 부역명인 ‘돈암(潡岩)’만 해당. 돈암동 항목 참조.
- 소사역(素沙驛)(1호선) - ‘소새울’의 ‘소새’를 ‘素沙’로 음차.
- 수내역(藪內驛)(수인·분당선) - 수내동 항목 참조.
- 숙대입구역(淑大入口驛)(4호선) - 부역명인 ‘갈월(葛月)’만 해당. <땅이름의 허와 실> 참조.
- 신공덕역(新孔德驛)(경춘선) - ‘큰덕’의 음차.
- 신도림역(新道林驛)(1호선, 2호선) - 위키백과의 서울 도림동 문서 참조.
- 약대역(若大驛)(김포선) - 위키백과의 약대동 항목, 콩나물신문, ‘큰 마을’인 약대(若大), 그 역사를 찾아서... 참고.
- 여의나루역(女矣나루驛)(5호선) - 여의도 항목 참조.
- 여의도역(汝矣島驛)(5호선, 9호선) - 여의도 항목 참조.
- 오이도역(烏耳島驛)(4/수인·분당선) - ‘烏耳島’는 ‘오시섬’의 음훈차인 ‘吾叱耳島(오질이도)’의 축약.
- 월미공원역(月尾公園驛)(월미바다열차)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월미문화의거리역(月尾文化의거리驛)(월미바다열차)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월미바다역(月尾바다驛)(월미바다열차)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이매역(二梅驛)(수인·분당선)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이매동 문서 참조.
- 인천가좌역(仁川加佐驛)(인천2호선) - ‘가재울’, ‘가생이’의 음차.
- 전곡역(全谷驛)(경원선) - ‘진골’의 음훈차.
- 제물포역(濟物浦驛)(1호선) - 유용원의 군사세계의 제물포라는 지명에 대한 나의 생각 참조.
- 파주역(坡州驛)(경의중앙선) - 파주의 ‘파’는 고구려 시기의 지명을 음차한 ‘파해평사(坡害平史)’에서 왔다.
- 팔당역(八堂驛)(경의·중앙선) - 네이버 블로그, 구리시와 남양주시의 유래와 전설 참조.
- 풍무역(豊舞驛)(김포철도) - 김포시청 지명유래 참조.
4.2. 강원도
- 사요역(四要驛)(금강산선) - 디지털철원문화대전의 사요리 문서 참조.
4.3. 충북
- 감곡장호원역(甘谷長湖院驛)(중부내륙선) - 감곡의 ‘甘(감)’자는 ‘가미실’을 음차한 ‘甘味谷(감미곡)’에서 왔다. 네이버 블로그 <음감골 이야기>의 감곡면은 어떤 곳인가? 참조.
4.4. 대전, 세종, 충남
- 공주역(公州驛)(호남고속선) - 공주시 항목 참조.
- 마미포역(馬尾浦驛)(경부선) - 매포역의 1934년 이전 역명. 세종시청 홈페이지의 지명 유래 참조.
- 매포역(梅浦驛)(경부선) - 세종시청 홈페이지의 지명 유래 참조.
- 삽교역(揷橋驛)(장항선) - 예산군 삽교읍 항목 참조.
- 조치원역(鳥致院驛)(경부선, 충북선) - 위키백과의 조치원읍 항목 참조.
4.5. 전북
4.6. 광주, 전남
4.7. 대구, 경북
- 달성공원역(達城公園驛)(3호선) - 대구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대구역(大邱驛)(경부선, 1호선) - 대구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대구은행역(大邱銀行驛)(2호선) - 대구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동대구역(東大邱驛)(경부선, 1호선) - 대구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서대구역(西大邱驛)(경부선) - 대구광역시/역사 항목 참조.
- 울진역(蔚珍驛)(동해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울진군 문서, 문화콘텐츠닷컴의 강원도 울진군(울진장) 문서 등 참조.
- 팔거역(八居驛)(3호선) - 디지털칠곡문화대전의 팔거현 문서 참조.
- 팔달역(八達驛)(3호선) - 위키백과의 팔달역 항목 참고.
- 팔달시장역(八達市場驛)(3호선) - 위키백과의 팔달역 항목 참고.
4.8. 부산, 울산, 경남
- 가야역(伽倻驛)(2호선), 가야역(伽倻驛)(가야선) - 가야 항목 참조.
- 가야대역(伽倻大驛)(부산김해경전철) - 가야 항목 참조.
- 고촌역(古村驛)(4호선) - 부산역사문화대전의 고촌리 문서 참조.
- 구마산역(舊馬山驛) - 창원시/역사 항목 참조.
- 구서역(久瑞驛)(1호선) - ‘굿세(굿터)’를 뜻이 좋은 한자로 음차. 「부산역사문화대전」의 구서동 문서 및 금정문화지표조사(PDF) 참조.
- 낙동강역(洛東江驛)(경전선, 미전선) - 낙동강 항목 참조.
- 남양산역(南梁山驛)(2호선) - 양산신문 2009.02.23 기사, 양산 옛지명 '삽량주' 유래 찾았다, 양산시민신문 2016.06.14 기사, 양산의 가야국명은 ‘삽라(歃羅)’, 양산신문 2017.12.05 오피니언, 양산의 고지명(古地名) `삽량`에 깃든 금관국과 신라의`혈맹(血盟)`의 맹약(盟約) 및 《우리말연구》에 게재된 이병운의 2014년 논문을 참조.
-
동래역(東萊驛)(동해선) / 동래역(東萊驛)(1호선, 4호선) - 동래 항목 참조. - 마산역(馬山驛) - 창원시/역사 항목 참조.]]
- 물금역(勿禁驛)(경부선) - 《우리말연구》에 게재된 이병운의 2014년 논문을 참조.
- 미남역(美南驛)(3호선, 4호선) - ‘산의 남쪽’ 또는 ‘산 너머’의 음차.
- 부산대양산캠퍼스역(釜山大梁山캠퍼스驛)(2호선) - 양산신문 2009.02.23 기사, 양산 옛지명 '삽량주' 유래 찾았다, 양산시민신문 2016.06.14 기사, 양산의 가야국명은 ‘삽라(歃羅)’, 양산신문 2017.12.05 오피니언, 양산의 고지명(古地名) `삽량`에 깃든 금관국과 신라의`혈맹(血盟)`의 맹약(盟約) 및 《우리말연구》에 게재된 이병운의 2014년 논문을 참조.
- 북마산역(北馬山驛) - 창원시/역사 항목 참조.
- 서생역(西生驛)(동해선) - 신라 상대시기 지명의 음차인 ‘생서랑(生西良)’을 뒤집은 것임. 「울산역사문화대전」의 서생면 문서 및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생서랑 문서 참조.
- 신마산역(新馬山驛) - 창원시/역사 항목 참조.
- 양산역(梁山驛)(2호선) - 양산신문 2009.02.23 기사, 양산 옛지명 '삽량주' 유래 찾았다, 양산시민신문 2016.06.14 기사, 양산의 가야국명은 ‘삽라(歃羅)’, 양산신문 2017.12.05 오피니언, 양산의 고지명(古地名) `삽량`에 깃든 금관국과 신라의`혈맹(血盟)`의 맹약(盟約) 및 《우리말연구》에 게재된 이병운의 2014년 논문을 참조.
- 양산화물역(선)
- 월내역(月內驛)(동해선) - 《부산역사문화대전》의 월내(月內)마을 문서 및 월내리(月內里) 문서 참조.
- 좌천역(佐川驛)(1호선) - ‘佐川’은 ‘자전내’의 음훈차인 ‘자자천(佐自川; 좌자천)’의 축약.
- 좌천역(佐川驛)(동해선) - ‘佐川’은 기장구읍성 밖에 있어서 붙여진 ‘잣빗내)’의 음훈차인 ‘자강천(佐光川; 좌광천)’의 축약.
- 장생포역(長生浦驛)(장생포선) - 장승이 세워졌던 곳 또는 장승 모양의 곶에서 유래.
4.9. 미수복지구
- 서평양역(西平壤驛)() - 북한지역정보 평양시 문서 및 평양시(平壤市) 항목 참조.
- 서함흥역(西咸興驛)(서호선) - ‘함흥(咸興)’은 ‘한벌(큰벌)’을 음훈차한 ‘함평(咸平)’의 변형.
- 창도역(昌道驛)(금강산선) - 창도면 항목 참조
- 평양역(平壤驛)(경의선) - 북한지역정보 평양시 문서 및 평양시(平壤市) 항목 참조.
- 함흥역(咸興驛)(동해선) - ‘함흥(咸興)’은 ‘한벌(큰벌)’을 음훈차한 ‘함평(咸平)’의 변형.
- 함흥조차장역(咸興調車場驛)(동해선) - ‘함흥(咸興)’은 ‘한벌(큰벌)’을 음훈차한 ‘함평(咸平)’의 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