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6:21:02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에서 넘어옴
오리엔트 정교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알렉산드리아 전례 <colbgcolor=#FFF,#1c1d1f> 콥트 정교회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 전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서시리아 전례 시리아 정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같이 보기: 기독교의 종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1px"
칼케돈 공의회 후의 펜타르키아
Πενταρχία
로마
교황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예루살렘
총대주교
베드로 안드레아 마르코 베드로 야고보
가톨릭 정교회 콥트 정교회 마론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콥트 가톨릭 정교회 정교회
라틴*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라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라틴* 시리아 가톨릭
라틴*

정교회의 독립 총대주교좌
모스크바*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조지아
정교회

오리엔트 지역의 총대주교좌
아르메니아 킬리키아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아시리아의 총대주교좌 말랑카라의 카톨리코스좌
아시리아 말랑카라
아시리아 동방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칼데아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동방 고대교회
}}}}}}}}}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የኢትዮጵያ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ቤተ ክርስቲያን
Yäityop'ya ortodoks täwahedo bétäkrestyan
파일:ethiopia orthodox cross.jpg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십자가
유형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오리엔트 정교회
창시 <colbgcolor=#535353>창시자 아부나 설라마 1세 케사티 비르한
(성 프루멘시오)
창시 시기 4세기 악숨 왕국
지역
주요
신앙 지역
에티오피아
종교
중앙기관
명칭 성 삼위일체 성당
아부나 마티아스
소재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규모 신도 3,600만 명 ~ 4,980만 명 (추산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한국어 <colcolor=#000,#ddd>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흐도 정교회
영어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Ethiopian Orthodox Church
중국어 埃塞俄比亞正統合性教會
일본어 エチオピア正教会
프랑스어 Église orthodoxe éthiopienne
독일어 Äthiopisch-Orthodoxe Tewahedo-Kirche
러시아어 Эфиоп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스페인어 Iglesia ortodoxa de Etiopía
이탈리아어 Chiesa ortodossa etiope
라틴어 Ecclesia Orthodoxa Aethiopica
암하라어 የኢትዮጵያ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ቤተ ክርስቲያን[1]
}}}}}}}}} ||
1. 개요2. 상세3. 정경 목록4. 관련 예술5. 한국에서6.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Relegious.jpg
에티오피아 정교회 수도자들의 모자. 모자는 품급을 나타낸다.

기독교 오리엔트 정교회 소속 종파 중 하나로 5세기 칼케돈파 교회와 분리된 합성론(合聖論) 계열 교회다. 전승에 따르면 사도행전 8장에서 사도 필리포스에게 세례받았다고 하는 에티오피아의 환관이 교회의 시초라고 한다. 콥트 정교회에서 나온 분파로, 콥트 정교회를 수좌 교회로 여긴다. 1959년 이전에는 총대주교도 알렉산드리아 측에서 파견했고 자체 선출하는 지금도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는 콥트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에서 승인을 받아야 착좌할 수 있다.[2]

에티오피아 북부에 위치한 타나 호 주변과 타나 호의 섬들에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수도원이 존재해서 순례지에 속해 있다.

2. 상세

유럽과 교리는 다르지만 역시 초대 교회부터 직접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유구한 역사가 있다.

교회의 정식 명칭에서 "테와히도( 암하라어 발음으로는 터와흐도)"란 "통합된"이라는 뜻으로,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완전히 통합되어 하나의 본성을 가진다는 교리를 나타낸다. 에티오피아의 오랜 국교였으며 현대에 들어서도 에티오피아에서는 신자 수가 이슬람보다 많다. 2007년 인구조사 결과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는 전체 인구의 43.5%, 무슬림은 34%로 나타나며 특히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는 인구의 75%가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믿는다. 일부에서는 인구 수로 에티오피아 정교회 인구를 무슬림 인구가 역전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하지만 개신교 등의 다른 그리스도교 종파 인구도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그리스도교인이 더 많다.[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ddis_Abeba_church.jpg

에티오피아의 수도인 아디스아바바에 있는 에티오피아 정교회(베타 크리스티안 메드하니 알렘) 성당

에티오피아는 그으즈력이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달력을 사용하는데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서양력의 기원전 7년으로 보기 때문에 달력도 서양력보다 7년 8개월 정도 느리고 1년이 13개월이다. 예를 들어서 서기 2022년이라면 에티오피아에서는 2015년이 되는 것이다. 사실 서양에서도 예수가 기원전 4년 무렵에 태어났다고 보지만 그렇다고 이제 와서 서력기원의 원년을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라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구약 시대의 전통을 매우 중요시하고 안식일을 토요일과 일요일 모두 지키는 관습이 있다.[4] 심지어 신자들에게는 세례성사, 견진성사와 함께 할례도 철저히 시행한다! 사순시기와 대림시기 동안 단식도 철저히 지키고 가톨릭에서는 재의 수요일과 금요일에 고기를 먹지 않는 금육재를 지키는 데 비해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는 금요일뿐만 아니라 수요일도 금육재를 지키는 날이다.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사제들은 신학을 몰라도 서품될 수 있는데 이는 정교회와 같다. 수도인 아디스아바바와 하레르에 신학교가 있고 수도원 제도가 발달한 편이다. 수도자들이 신학이나 교회 음악을 가르치기도 하며 지역공동체마다 교회학교가 있다.

초기 교회에서는 거의 정경으로 취급했으나 이후 타 종파에서는 대부분 위경으로 취급한 에녹서, 희년서, 바룩의 나머지 편지(바룩 4서) 등을 아직도 정경으로 인정한다. # 그야말로 1세기부터 5세기까지 통용되었던 그리스도교계의 관습이나 관점 중 일부가 화석처럼 남은 종파다.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콥트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칼케돈 공의회 이전의 모든 공의회를 인정한다. 따라서 삼위일체[5]를 인정하며 성모 마리아를 포함해 성인들도 공경하고 있지만 이들은 비 칼케돈파 교회로서 예수를 "강생하신 하나의 본성"으로 보는 일성론/합성론(Miaphysitism)을 받아들인다. 다만 신성 하나뿐이고 인성은 아예 없다고 한 에우티케스의 단성론(Monophysitism)은 이단이라고 하며 본인들을 단성론파라고 부르는 걸 거부한다.

아프리카에서 늘어나는 인구 수로 인해 영향력이 큰 거의 유일한 (칼케돈파와 비칼케돈파를 가리지 않고) 동방 교회 교파이기도 하다. 교회 통계 예측에 따르면 2050년에는 이러한 합성론 교파를 포함한 동방 교회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1 정도를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가 차지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4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가 에티오피아 정교회 교인 30여 명을 납치해서 공개처형하는 막장 사태가 일어났다. 이에 에티오피아는 사흘간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했고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에 반대하는 에티오피아 그리스도교인들의 대규모 행진이 일어나기도 했다.

2.1. 데브데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브데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은수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히타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정경 목록

정경 목록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홈페이지) ( 관련 문서 (영어 위키백과))
관련 논문 PDF ( 구글 웹캐시)
관련 링크 (에티오피아 정교회 성경 프로젝트) 관련 링크 (앤더슨 신학)
암하라어 구약 일부 읽기 암하라어 신약 일부 읽기

독특하게도 에녹서, 희년서 등을 정경으로 인정하는데 이는 초기 기독교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구약성경 46권, 신약성경 35권으로 모두 81권을 정경으로 인정한다. 가톨릭이 73권, 정교회가 76권, 개신교가 66권을 정경으로 인정하는 것과 비교하면 테와히도 정교회의 정경이 권수가 훨씬 많다. 다만 에즈라 느헤미야를 한 권으로 보는 등 분류법이 다른 교회와 조금 다름을 유념해야 한다.

에티오피아에서 받아들여지는 신약성경 35권 중 일반적인 정경에 속하는 27권을 제외한 나머지 8권, 그리고 요시폰은 '넓은 의미의 정경(broader canon)'으로 취급되어 나머지 정경(좁은 의미의 정경)과 동일하게 대우받지는 않는다. 에티오피아의 옛 법률인 Fetha Negest에 정경이 81권으로 구성된다는 구절이 있는데 해당 숫자를 맞추기 위해 에티오피아 학자들에 의해 추가된 것으로 여겨진다. 에티오피아 정경을 영어로 번역하는 'The Ethiopian Orthodox Bible Project'에 따르면 넓은 의미의 정경은 20세기가 시작된 후 에티오피아에서 출판된 적조차 없다고 한다.[6]

구약성경 46권
신약성경 35권(좁은 의미의 정경 27권, 넓은 의미의 정경 8권)

4. 관련 예술

파일:attachment/e0116729_4fee8fab501c7.jpg

이콘 콥트 정교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위는 성부, 성자, 성령을 똑같은 모습의 백발 노인으로 그려 놓은 이콘이다.[34] 다른 사도 전승 교회와 마찬가지로 성호를 긋는 전통이 있다. 싱어송라이터 폴 사이먼의 명작 Graceland의 앨범 커버가 1500년대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성화에서 따 온 것이라고 한다.

십자가를 매우 아름답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그리스도교 공예가 발달한 종파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부활절 성찬예배 장면.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성가. 모르고 들으면 그냥 아프리카 부족 음악 같지만 사실 유럽이나 한국의 성가도 토착화되어 원형이 달라졌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9ab431a648a2785dc939ca3cdd7503a3.jpg
파일:DeCnT7aW0AEopq8(1).jpg

에티오피아 교회 특유의 암굴교회 건축. 암굴교회는 에티오피아 북부와 중부 전역에서 발견되며 이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이 랄리벨라 암굴교회군이다.

5. 한국에서



2019년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콥트 정교회에 이어 오리엔트 정교회로서는 두 번째로 한국에 진출했다. 그동안 한국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인들은 한국 정교회 성당을 빌려 성찬예배에 참례하고 정기적인 모임을 열다가 사목 공동체를 설립하고 선교 사제를 파견했다. 현재 교회는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한 건물 3층에 위치해 있다.[35]

6. 외부 링크



[1] ye’ītiyop’iya oritodokisi tewaḥido bēte kirisitīyani [2] 이는 콥트 정교회의 총대주교가 엄밀하게는 오리엔트 정교회의 수장이자 아프리카 전역의 총대주교이기 때문이다. [3] 이슬람과 에티오피아의 관계는 생각보다 깊다. 7세기 중엽 무함마드와 그 일족이 처음에는 이슬람을 창시해서 메카 일대에 전도하러 나갔을 때 적대 부족들이 무함마드와 그 일가를 참살하려고 했다. 이 때문에 무함마드를 따르던 신도 중 일부가 적대부족들의 박해를 피해 에티오피아로 도피했는데 이들은 무함마드가 박해를 극복하고 세를 확장하여 아라비아반도를 통일하면서 다시 아라비아반도로 되돌아왔다. 무함마드의 후계자들이 주축이 된 이슬람 제국이 힘을 떨치기 시작하면서 에티오피아와 이슬람은 적이 되었다. [4] 서방 교회에서도 초창기에는 토요일은 안식일로, 일요일은 예수가 부활한 날, 주일로서 기념하는 전통이 있었으나 이미 2세기에 들어서는 일요일 주일만 지키게 되었다. [5] 암하라어로 '슬라세(ሥላሴ)'라고 한다. 에티오피아의 마지막 황제인 ' 하일레 셀라시에(ኃይለ ሥላሴ, Ḫayle Śəllase)'의 이름은 바로 삼위일체의 힘이라는 의미다. [6] # [7] 에즈라 2서(2nd Ezra)는 에스드라스 1서를 말하며 에즈라 스투엘(Ezra Sutuel)은 에스드라스 2서 3장~14장을 말한다. [8]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잠언 1장~24장에 해당한다. 'መጽሐፈ ምሳሌ(Metshihafe Messalë, 비유의 책)'이라고도 부른다. [9] 'ተግሳጽ(Tegsats, Tägsas, 한국어: 규율·훈육·꾸짖음·징계, 영어: Reproof).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잠언 25장~31장에 해당한다. 아쉽게도 영어 번역판은 나온 게 없다고 한다. 관련 레딧 [10] '규율'은 여러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성 세례 요한의 규율이 있는데 이 중 돈에 관해서는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교인이 유튜브에 올린 ተግሳጽ ዘቅዱስ ዮውሓንስ ኣፍወርቅ : ገንዘብ (성 세례 요한의 규율 : 돈) 영상이 있으니 참고. [11] Metsihafe Tibeb (the books of wisdom). 'Metsihafe'가 '책'이고 'Tibeb'가 '지혜'다. [12] Ecclesiastes. 집회서는 'Book of Joshua the son of Sirac(시라의 아들 예수의 책)'이라고 따로 부른다. [13] the Remainder of Jeremiah. 바룩서 6장이다. [14] '바룩 4서'라고도 한다. [15] Book of Joshua the son of Sirac. [시가서] 시가서 [17]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서 넓은 의미로 구약 정경으로 보는 유일한 책이기도 하다. 즉, 나머지 구약 책들은 모두 좁은 의미로 구약 정경이다. # [역사서] 역사서 [19] 'ሥርዓተ — (Sirate Tsion, Ser`atä Seyon).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the book of order'으로 의역해 두었으며 'The Order of Zion'이라고도 한다. 30장 분량. [시노도스] '시노도스(Sinodos)'라는 책의 4가지 부분. 각각 사도적 권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정교회 포럼 시노도스는 앞의 4가지 부분을 포함하여 사도와 초대교회의 공의회(apostles and early church councils)에서 나온 자료의 모음집으로 교회의 질서에 대해 다룬다. # [21] Tizaz, Te'ezaz.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the book of Herald'으로 의역해 두었으며 '계명(Commandments)'이라고도 한다. 그으즈 문자로는 ተአዛዝ, ትእዛዝ 정도로 쓸 수 있다. 71장 분량. [시노도스] [23] Gitsew, Gessew. 56장 분량. [시노도스] [25] Abtilis, Abtelis. 81장 분량. [시노도스] [27] The I book of Dominos. [도미노스] '언약서(Metsehafe kidan, Book of the Covenant)'라고도 한다. 예수가 부활한 뒤부터 승천하기 전까지 약 40일 동안 사도들에게 가르친 내용이 들어있다. 이 책은 마지막 부분에서 사도들이 기록했다고 쓰여 있어서 사실상의 사도적 권위를 갖는다. 1서는 주로 기도·전례와 같은 교회의 질서·명령을 다룬다. 2서는 예수의 재림과 가짜 그리스도를 다룬다. 정교회 포럼 [29] The II book of Dominos. [도미노스] [31] The (Ethiopic) book of Clement. 사도 베드로가 로마의 클레멘트에게 전한 것으로 알려진 책이다. 클레멘스가 고린토 교회에 보낸 것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클레멘스서와는 전혀 다르다. [32] Didascalia. 디다스칼리아는 3세기경에 시리아에서 저술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티오피아 디다스칼리아는 다른 판본과 내용이 다른 면도 있다. [33] 디다케의 영향은 받았지만 다른 문헌이다. [34] 삼위일체 하느님의 네 귀퉁이에 있는 날개 달린 사람, 사자, 황소, 독수리는 각각 마태오, 마르코, 루가, 요한 복음서의 상징물이다. [35] 경기 광명시 영당로22번길 23 [36] 테와히도 정교회에서 쓰이는 정경 목록. 초기 그리스도교의 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37] 페이스북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