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9:40:40

라틴 총대주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1px"
칼케돈 공의회 후의 펜타르키아
Πενταρχία
로마
교황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예루살렘
총대주교
베드로 안드레아 마르코 베드로 야고보
가톨릭 정교회 콥트 정교회 마론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콥트 가톨릭 정교회 정교회
라틴*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라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라틴* 시리아 가톨릭
라틴*

정교회의 독립 총대주교좌
모스크바*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조지아
정교회

오리엔트 지역의 총대주교좌
아르메니아 킬리키아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아시리아의 총대주교좌 말랑카라의 카톨리코스좌
아시리아 말랑카라
아시리아 동방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칼데아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동방 고대교회
}}}}}}}}} ||

영어 Latin Patriarch

1. 개요2. 역사
2.1. 폐지
3. 목록
3.1. 초대교회 5대 관구의 라틴 총대주교3.2. 이외의 라틴 총대주교

1. 개요

동서 대분열 이후 서방 가톨릭 라틴 교회에서 동방의 교구에 자체적으로 임명한 총대주교.

2. 역사

1054년 교회의 대분열로 인해 5대 총대주교구 중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4개 관구가 서방교회(라틴교회)와의 단절을 선언했다. 이후 십자군 전쟁을 통해 다시금 중근동 지역에 발을 딛은 서방교회는 십자군 왕국들과 십자군으로 파견된 서방교회 신자인 병사들을 사목하기 위해 이들 4개 관구에 자체적으로 총대주교를 임명하기로 하고, 교황의 권한으로 안티오키아를 시작으로 예루살렘·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에 차례로 라틴 총대주교를 임명하였다.

그러나 십자군 전쟁이 실패로 끝나고, 십자군 국가들이 이슬람 세력들에게 정복당함에 따라 영향력을 소멸했다. 이후 주교좌를 잃어버린 대주교들은 로마에 상주하는 명예직으로 남았다. 이후 잦은 공석 등 불안한 상태가 지속되다가 1950년대 들어 임명이 중단되었다. 결국 1965년을 끝으로 교황청에서 예루살렘 총대주교를 제외한 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 3개 라틴 총대주교좌를 폐지하였다.

2.1. 폐지

교황청이 라틴 총대주교좌를 폐지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먼저 가톨릭 정교회의 관계가 20세기 들어 크게 호전되었다는 점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거쳐 1965년에 당시 교황 성 바오로 6세와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아티나고라스가 만나서 역사적인 화해를 이루고 상호 파문을 철회하였다. 정교회를 정통교회로 인정을 했으니 이제 저 관구들에 라틴 총대주교를 별도로 임명해 정교회의 어그로를 끌 이유가 없다.

두번째로는,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로부터 독립한 일부 지역 교회들 상당수가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며 동방 가톨릭 교회란 형태로 가톨릭 교회의 일원으로 귀순한 것이다. 실제로 교황과 일치를 이룬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한 명,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무려 세 명이나 존재한다. 이 상황에서 라틴 총대주교까지 또 있을 필요가 없다.

다만 예루살렘은 그 위상도 위상일뿐더러 성지 관리, 그리고 남부 레반트에 있는 상당한 규모의 가톨릭 교회의 관리를 위해 라틴 총대주교좌가 존속하고 있다. 적절(?)하게 예루살렘 총대주교좌를 둔 동방 가톨릭 교회도 없고.

3. 목록

3.1. 초대교회 5대 관구의 라틴 총대주교

현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좌는 프란치스코회 출신의 이탈리아 사람인 피에르바티스타 피자발라(Pierbattista Pizzaballa) 추기경이다. 예루살렘 교구의 성지관리원장이던 피에르바티스타 피자발라 신부는 전임자 트왈의 은퇴로 대주교로 임명되어 예루살렘 교구장 서리를 맡고 있었다. 다른 지역 총대교구와 달리 지역적으로 두드러지는 동방 정교회 또는 오리엔트 정교회도 없고, 동방 가톨릭교회 내에도 예루살렘 총대주교를 칭하는 주교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4년 가까이 공석은 이례적인 상황이었다. 게다가 임명된 피자발라는 34년만에 외방 교구인이 임명된 경우이다. 참고로 피자발라는 아랍어는 물론 모국어 이탈리아어와 영어· 히브리어, 심지어 아람어까지 구사 할 수 있는 먼치킨이다. 1965년을 끝으로 콘스탄티노플·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의 라틴 총대주교좌는 폐지되었으나 예루살렘의 경우는 성지 관리와 팔레스타인 지역 일대의 사목을 위해 총대주교좌를 존속시켰다. 현재는 관구 관할 없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요르단·키프로스 4개국의 라틴 교회 신자를 관할하고 있다.

3.2. 이외의 라틴 총대주교

한편, 이들 5대 관구의 총대주교 이외에도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서방교회에서 신설한 총대주교좌가 몇 군데 있다. 그러나 이들 총대주교좌는 가톨릭에서만 인정하고 타 교회의 총대주교좌와 겹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라틴 총대주교라고 구별하여 부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들 총대주교들도 기존 총대주교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

[1] 한편 아퀼레이아를 정복한 랑고바르드 왕국은 별개의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를 자체적으로 선임함으로써, 삼장서 분열은 698년까지 계속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