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4:16:38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1px"
칼케돈 공의회 후의 펜타르키아
Πενταρχία
로마
교황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예루살렘
총대주교
베드로 안드레아 마르코 베드로 야고보
가톨릭 정교회 콥트 정교회 마론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콥트 가톨릭 정교회 정교회
라틴*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라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라틴* 시리아 가톨릭
라틴*

정교회의 독립 총대주교좌
모스크바*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조지아
정교회

오리엔트 지역의 총대주교좌
아르메니아 킬리키아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아시리아의 총대주교좌 말랑카라의 카톨리코스좌
아시리아 말랑카라
아시리아 동방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칼데아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동방 고대교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cf0921 11%,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올리브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 파타-하마스 분쟁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팔레스타인/행정구역 · 하마스 · 파타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 팔레스타인 인민당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 팔레스타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경제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요르단 디나르 · 이집트 파운드
군사 팔레스타인 보안군
문화 문화 전반( 케피예) · 요리 · 후무스 · 쿠나파 · 마클루바 · 무삭칸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
인물 아민 알후세이니 · 야세르 아라파트 · 마흐무드 압바스 · 쉬린 아부 아클레
지리 가자 지구 · 요르단강 서안 지구( 베들레헴)
민족 팔레스타인인( 아르메니아계) · 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파일:external/www.jp-newsgate.net/jp_logo.jpg
예루살렘 총대주교의 문장

1. 개요2. 현황3. 관할 교구

1. 개요

정교회 예루살렘 총대주교. 공식 직함은 '거룩한 도시 예루살렘 팔레스타인, 시리아, 요르단 강 너머 갈릴래아의 카나와 거룩한 시온의 총대주교'. 일반적으로 '거룩한 도시 예루살렘과 전 팔레스타인의 총대주교' 정도로 일컫는다.

2. 현황

상징적인 의미로만 설치된 총대주교는 아니고 현재도 그리스 정교회에 소속된 아랍계 기독교인 인구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과 시리아를 중심으로 많이 남아있다. 1922년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시행한 인구조사에서 팔레스타인 내 기독교인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말고 비잔틴 예법을 따르는 정교회만) 신도로 나왔다. 다른 아랍계 기독교인들이 여타 아랍 무슬림들과 자신들을 차별화하는데서 정체성을 찾는 것과 다르게 다르게,[1] 그리스 정교회를 믿는 아랍인들은 자신들이 아랍인(정확히는 아랍계 기독교인)이라는 정체성이 더 강한 편이다.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조지 하바쉬나 시리아 바트당 사상가 중 미셸 아플라크도 정교회 신도였다.

십자군 전쟁 기간 동안 상징적으로 운영되었던 적도 있다. 1099년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예루살렘 왕국이 들어서면서 정교회 측 총대주교를 추방하면서, 1백여 년간 정교회 측 예루살렘 총대주교가 콘스탄티노플에 체류하기도 했다. 1187년 예루살렘 왕국이 멸망하면서 다시 라틴 총대주교가 로마 교황청에 체류하게 되고, 정교회 측의 예루살렘 총대주교가 예루살렘으로 복구하게 된다.

파일:external/america.pink/1-patriarch-theophilos-iii-jerusalem.jpg

현 총대주교는 그리스 태생의 142대 총대주교 테오필로스 3세(재임 2005–)이다. 전임 총대주교 이레나이오스가 예루살렘 내 정교회 소유 부지를 유대인 투자자들에게 팔아넘긴 혐의로(...) 교구의회 투표로 파면당한 뒤 새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 전임 총대주교 이레나이오스 총대주교는 평사제로 강등당했는데, 결백을 주장하며 매매계약에 동의한 적이 없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계약 당시 측근이 그를 대신해 계약서에 서명했다고 밝혀졌다. 총대주교좌는 이스라엘 예루살렘 부활 기념 성당에 있다. 예루살렘 총대주교 관하의 신자는 13만 명 정도로 추정한다.

3. 관할 교구

파일:2000px-Canonical_territories_of_autocephalous_and_autonomous_Eastern_Orthodox_jurisdictions_(2020).svg.png
전 세계의 정교회 관구들
예루살렘 총대교구

파일:external/ohmygodtv.ca/7832348850_d29145a513_o1.jpg

이 문서에서는 구분을 위해 Metropolis를 관구로, Archdiocese를 대교구로 번역했으나, 한국 정교회에서는 Metropolis 또한 대교구로 번역한다. 교구명은 예루살렘 총대주교청 홈페이지 위키백과에서 발췌했다.

[1] 레바논을 중심으로 한 마론파는 자신들을 아랍인으로 간주하는 것보다는 고대 페니키아인의 자랑스러운 직계 후예로 생각하는 것을 더 선호하며, 이라크의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을 고대 아시리아인의 후손으로 정의하는 편이다. [2] 구약성서에 '셰켐'이라는 이름으로 나와 있다. 현재의 나블루스. [3] 미국의 필라델피아와는 전혀 다른 지명이다. 현재의 암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