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19:55:23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colbgcolor=#272727><colcolor=#fff>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Heitor Villa-Lobos
파일:1000004453.jpg
본명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Heitor Villa-Lobos
출생 1887년 3월 5일
브라질 제국 리우데자네이루
사망 1959년 11월 17일 (향년 72세)
브라질 합중국 리우데자네이루
국적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작곡가, 클래식 기타리스트
사이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소개2. 생애3. 음악세계4. 업적5. 주요 작품
5.1. 빌라로부스 연습곡5.2. 야만적인 시
[clearfix]

1. 소개

빌라-로부스의 삶은 삶 그 이상이었다. 그는 보통 작곡가 같지 않았다. 큰 체크무늬 셔츠를 입고, 시가를 피우며 언제나 라디오를 켜 놓고, 뉴스든 가벼운 음악이든 뭐든지 들었다. 빌라-로부스는 지적으로 잘 다듬어지지는 않았지만, 위대한 영혼을 가졌다.
줄리안 브림
브라질에도 진정한 천재가 살고 있으며 내 생각에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일한 존재.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브라질의 작곡가.

2. 생애

1887년 리우데자네이루 출생으로, 아마추어 음악가이자 국립 도서관 사서인 아버지 라울 빌라-로부스에게 음악을 배웠다. 라울은 신문에 정부를 겨냥하는 비판적인 칼럼을 여러 차례 쓰기도 했는데, 이 때문에 정부의 체포를 피해 브라질 여러 지역을 돌아다녀야 했다. 하지만 빌라-로부스는 이 시간이 자신이 브라질의 여러 자연환경을 접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불과 15살에는 여러 카페에서 첼로, 클라리넷을 연주하기까지 했다. 빌라-로부스는 뿐만 아니라 뛰어난 기타리스트이기도 했고, 1929년 작곡한 에튀드에서 요구하는 여러 기타 테크닉은, 빌라-로부스가 어떤 기타리스트였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하지만 아버지는 빌라-로부스가 12살 이던 1899년 세상을 뜨고 만다. 1909년부터는 리우데자네이루 시립극장에서 첼로 주자로 활동한다.

18세인 1905년부터는 브라질의 민속 음악을 수집하기 위해 브라질 북동쪽 지역으로 여행했고, 그 후 리우데자네이루 국립 음악원에서 작곡 공부를 했다. 이렇듯 여러차례 브라질을 여행한 그는 20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는 학문적인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나 개성있는 작품들을 썼고, 본인은 자신의 음악을 '폭포처럼 자연스럽다'고 평했다고 한다. 1913년에는 피아니스트인 루실리아와 결혼하면서, 피아노와 실내악 작품들을 본격적으로 작곡하고, 아내와 실내악단을 꾸리기도 했다. 1917년에 브라질을 방문한 프랑스 작곡가 다리우스 미요는 빌라 로부스의 음악을 접한 뒤 유럽으로 돌아가 빌라 로부스와 그의 민족주의 음악을 '대담함을 갖추고 있으며 활달한 기질의 젊은이' '생생하며 독창적'이라고 소개하며, 서서히 명성을 얻게 된다. 특히 1918년에는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루빈스타인과 만나기도 하며, 루빈스타인은 젊은 빌라-로부스에게 여러 후원자들을 주선해 주기도 한다. 1928년에는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빌라 로부스의 음악이 미국에서도 알려지게 된다.

아마존을 여행하고 돌아온 1915년 11월 13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자신의 새로운 음악을 선보였다. 1923년까지 많은 지지를 받은 빌라-로부스는 정부로부터 장학금 지원을 받아 1930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유학했다. 귀국후에는 브라질 음악 교육의 지도자로 변신하게 되며, 대규모 합창 운동을 이끌게 되었다. 당시 대통령은 그를 음악과 예술교육 감독으로 임명하게 된다. 브라질 내에 바흐 음악 보급에도 힘을 들여서, 바흐 탄생 250주년이던 1935년에는 미사 b단조를 직접 지휘한다. 1939년 독립 기념일에는 3만 명의 어린이들을 모집하여 국가를 부르는 대규모 합창 대회를 조직, 합창 교사를 양성하는 국립 음악원을 창설한다. 이 음악원의 젊은 음악 교사였던 아르민다는 훗날 빌라-로부스의 두 번째 아내가 된다.

1944년 빌라-로부스는 미국 여행에서 자신의 작품을 직접 지휘해 선보였는데 이때 많은 대중들과 비평가들로부터 갈채를 받았다. 이후 미국의 많은 오케스트라에서 여러 작품을 의뢰받기도 했다. 1940년대에는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봉을 잡기도 했다. 이듬해인 1945년에는 할리우드 영화 <녹색 장원Green Mansions>의 OST를 작곡하기도 했다. 빌라-로부스는 작곡가이자 자신의 곡을 직접 지휘하는 지휘자로서 여러 곳에서 큰 환호를 받았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1959년 11월 17일 향년 7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3. 음악세계

그의 작품에 선명히 배어나오는 다채로운 색과 라틴 리듬의 이국적 정취, 기쁨 때문에 오래오래 사랑받고 있다. 남미 음악을 감상과 탐구의 대상으로 격상 시킨 점도 높게 평가 받으며, 상류층과 하류층, 백인과 흑인 사이에 철저히 갈라져 있던 브라질 음악을 하나로 통합시켰던 업적 역시 크다.
빌라-로부스가 직접 연주한 전주곡 1번이다. 그가 작곡한 5개의 전주곡은 후술할 빌라-로부스 연습곡과 함께 클래식 기타의 대표작품이다.
▲브라질풍의 바흐(Bachianas Brasileiras) 5번 중 1번 아리아.

4. 업적

그는 음악가뿐 아니라 교육가로써 업적도 이루었다. 빌라-로부스는 브라질 문화에 기초한 음악 교육의 체계를 세웠다고 평가받는다. 빌라-로부스의 덕에 브라질 민족 전체가 음악을 통해 조국에 대한 강한 자부심과 애국심을 가졌다는 점이다. 상술했던 빌라-로부스가 이끄는 합창 운동은 정치적 인민주의와 음악 교육의 결합으로써, 엘 시스테마를 비롯한 여러 남미 음악 운동의 효시로 꼽히고 있다.

5. 주요 작품

5.1. 빌라로부스 연습곡

Douze études, W235 (Villa-Lobos, Heitor)

기타 전공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 이상 무조건 거쳐가는 코스로, 화려한 아르페지오, 스케일과 질주하는 듯한 속도[1], 각종 기교들로 무장한 연습곡으로서, 12개의 곡들 하나하나가 서로 다른 개성과 주옥같은 난도를 품고 있어, 아마추어 연주자들에게는 바흐의 샤콘느와 같은 중압감, 프로 연주자들에게도 만만치 않은 고역을 안겨준다.

가장 잘 알려진 곡들로는 1번, 2번, 7번, 11번이 있다. 일반적으로 2번을 최고난도 곡을 꼽는데, 종횡무진 하는 스케일과 현간 이동이 그 이유다. 마디 하나 하나 마다 헤드쪽 프렛과 바디쪽 프렛을 넘나들다 보면 모골이 절로 송연해질 것이다.
▲에튀드 W235 중 1번
▲에튀드 W235 중 2번
▲에튀드 W235 중 11번 a단조. 줄리안 브림 연주

5.2. 야만적인 시

Rudepoêma, W184(피아노 원곡), 310(오케스트라 편곡)

기타 전공생들에게만 빌라로부스가 알려진 것은 아니다. 그는 의외로 피아노를 위한 곡들도 썼는데,[2] 그 중 "야만적인 시"는 기교적 난이도와 음악적 난해함 모두 최상급에 위치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1921년부터 1926년까지 긴 시간 동안 작곡되었고, 연주 시간 또한 연주자에 따라 17분 20여 초에서 20분 정도가 걸리는 대곡이다.

이 곡은 20세기 피아노 거장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에게 헌정되었는데, 본격적으로 악보에 돌입하기 전 짧은 헌정사를 프랑스어로 적어두었다.
Mon sincère Ami, je ne sais pas si j'ai pu tout à fait assimiler ton âme avec ce Rudepoêma, mais je le jure de tout mon cœur que j'ai l'impression, dans mon esprit, d'avoir gravé tou tempérament et que machinalement je l'ai écrit sur le papier, comme un kodak intime. Par conséquent, si je réussis, ce sera toujours toi le véritable auteur de cette œurve.
Dédicace de l'Auteur à A. Rubinstein
My dear friend, I don’t know if I have succeeded in assimilating your soul with this “Rudepoêma,” but I swear, with all my heart, that I have the impression of having recorded your temperament in my mind and that I transcribed it to paper mechanically, as an intimate Kodak. Consequently, if I should succeed, you will be the true author of this work.
Dedication of the Author to A. Rubinstein
사랑하는 친구여, 당신의 영혼을 이 "야만적인 시"에 동화시키는 데 성공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 마음 속에 당신의 기질을 기록하고, 그것을 친밀한 '코닥'과 같이 기계적으로 오선지에 필사했음을 온 마음을 다해 맹새합니다. 따라서, 제가 성공하려면 당신이 이 곡의 진정한 작곡가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에게 헌정

그 후 악보를 받은 루빈스타인은 이듬해인 1927년 10월 24일 파리에서 초연을 했다고 한다.

IMSLP에서 악보를 받아 본 사람은 알겠지만 악보 상태만 봐도 박자가 자주 바뀌는 것은 양반이고, 4단 악보까지 필요할 정도로 화성적, 대위적으로 매우 복잡하다. 게다가 100년 전 작곡된 근·현대음악인 만큼 기괴한 불협화음을 때려박아[3] 아마존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의 생활상을 문화상대주의를 무시하고 '야만적'으로 해석할 정도로 독보부터 상당히 난해하다. 고도프스키의 쇼팽의 에튀드에 대한 연습곡에서 제시되었던 흑건에서 백건으로 쓸어내리는 글리산도가 대놓고 등장하기도 한다. Animé (M: 114=𝅘𝅥𝅮)부터 곡이 끝날 때까지 생지옥이 펼쳐지는데 첫 부분은 오른손은 화음 연타, 왼손은 교대로 저음과 고음에 분배된 선율을 처리해야 하며 이후에는 그 역할이 교대되며 점점 피아노 저음부로 이동한 뒤 마침내 오른손 주먹(a coups de poing)으로 피아노의 최저음부(A0, B0, C1)를 네 번 최대한 세게 때려야 한다. 특히 마지막은 피아노가 부서질 정도로 최대한 세고 길게 때려야 한다. 그 외의 전문적인 설명은 "야만적인 시"에 드러난 Pitch Organization 분석이라는 논문을 참고하자.

이 곡이 대한민국 인터넷에서 크게 화제가 된 것은 슈퍼 비르투오소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이 17분 20여 초라는 평균에서 한참 벗어난 속주를 보여준 리사이틀 영상에서 비롯된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악보 상태가 말도 안 되게 복잡하고 난해해 NWC를 다루는 커뮤니티에서는 "미니 오클"[4]이라고 부르며 NWC 사보 난도 끝판왕 Top 3 안에 든다는 말도 들었다. 그렇지만 오브젝트가 자주 사용되는 2020년대와는 달리 2012년에는 어떠한 것도 없었던 척박한 환경에서 기어코 성공한 사람이 등장했다.

한편 그는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도 진행했으나, 안타깝게도 IMSLP에는 총보가 없고 유튜브에서는 그가 직접 편곡을 진행한 것인지 밝히지 않은 영상과 다른 사람이 편곡한 영상이 검색된다.
▲1940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의 라디오 녹음 기록[5]
▲2002년 7월 20일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의 Domaine Forget에서의 실황 연주 영상[6]


[1] 특히 1번곡은 약 140의 템포를 요구하는데, 클래식 기타 곡으로서는 가공할 만한 속도이다. 개중에는 한층 더 끌어올려 180정도로 연주한다는 사람도 있다고. [2]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의 음반 수록곡 참고. [3] 이와 비슷하게 레오 온스테인(1895?–2002)의 "야만적인 춤 (Fr.: Danse Sauvage, Eng.: Wild Men's Dance)" 역시 톤 클러스터를 곡 전체에 도배시켜 날것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 여기서 '오클'은 카이코스루 소랍지 1–2기 과도기 작품의 대표작 "오푸스 클라비쳄발리스티쿰(Opus Clavicembalisticum)"의 축약어에서 비롯되었다. 비슷한 시기 두 작품이 알려지면서 그러한 별칭이 붙어진 듯하다. [5] 아쉽게도 방송 시간을 넘겨버린 탓에 나머지 부분은 잘렸다. [6] 음질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라 1999년 8월 27일 녹음하고 2000년 6월 발매된 음반 연주을 듣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