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9:05:28

심창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심창민'인 가수에 대한 내용은 최강창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 김유영 · 1 임찬규 · 11 함덕주 · 12 김대현
· 16 정우영 · 18 백승현 · 21 이우찬 · 25 배재준
· 26 이상영 (1) · 29 손주영 · 30 에르난데스 · 35 김영준
· 37 이믿음 · 39 박명근 · 40 이종준 · 42 김진성
· 45 김진수 · 48 진우영 · 49 정지헌 · 50 이지강
· 52 김주온 · 54 유영찬 · 58 성동현 · 59 임준형
· 60 최용하 · 61 우강훈 · 100 강민 · 101 조건희
· 102 김형욱 · 103 김종우 · 104 강석현 · 111 허용주
· 114 백선기 · 115 김의준 · 119 하영진 · 120 김지용
· # 장현식 · # 송승기 · # 허준혁 · # 치리노스
· # 심창민 · # 김강률 · # 최채흥 · # 김영우
· # 추세현 · # 박시원 · # 김종운 · # 안시후
· # 고영웅 · # 성준서
최종 편집: 2024년 12월 13일
(1) 음주운전으로 인한 1년 실격 처분
프런트 코칭스태프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육성선수 1군 엔트리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심창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번
임동규
(2010)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심창민
(2011)
안지만
(2012~2012.5.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5번
이동걸
(2011)
심창민
(2012~2015)
권정웅
(2016~201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8번
박석민
(2011~2015)
심창민
(2016~2018)
결번
결번 심창민
(2020~2021)
원태인
(2022~)
NC 다이노스 등번호 20번
정범모
(2019~2021)
심창민
(2022)
최성영
(2023)
NC 다이노스 등번호 1번
강동연
(2022)
심창민
(2023)
안중열
(2024~)
NC 다이노스 등번호 18번
박석민
(2016~2023)
심창민
(2024)
결번
LG 트윈스 등번호 번
심창민
(2025~)
현역
}}} ||
파일:심창민엘지입단오피셜.jp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
심창민
沈昌玟 | Sim Chang-Min
출생 1993년 2월 1일 ([age(1993-02-01)]세)
경상북도 포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동삼초[1] - 경남중 - 경남고
신체 185cm, 86kg, O형[2]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우사우타
프로 입단 2011년 1라운드 (전체 4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1~2021)
NC 다이노스 (2022~2024)
LG 트윈스 (2025~)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9년 1월 21일~2020년 8월 27일)
연봉 2025 / 0,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이전 등장곡 [ 펼치기 · 접기 ]
삼성 시절: Kygo - 〈Firestone〉
NC 시절: Matoma - 〈Find Love〉(feat. DBoy)
Lorne Balfe, Lady Gaga, Hans Zimmer - 〈Top Gun Anthem〉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30452><colcolor=#fff>
가족
<colbgcolor=#c30452><colcolor=#ffffff> 배우자 아내(2020년 12월 결혼-현재)
자녀 장남 심인준 차남 심우주
부모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형, 누나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
}}}}}}}}}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우완 투수.

어린 나이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주축 불펜으로 활약하며 삼성 왕조에 기여하였고 오승환의 뒤를 이을 프랜차이즈 후보로 꼽히기도 했으나[3] 이후 부상과 부진을 거듭하며 과거의 유망하던 폼과 멀어졌고 결국 NC 이적 후인 2024년 방출되었다. 이후 입단 테스트를 통해 LG 트윈스에 입단했다.

2. 선수 경력

심창민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심창민/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군 복무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15년 2017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심창민 직구.gif
<colbgcolor=#c30452><colcolor=#ffffff> 145km/h 패스트볼
파일:심창민 슬라이더.gif
123km/h 슬라이더

공 끝이 구속에 비해 가볍다는 이야기도 나오지만 사이드암 투수임에도 최대 153km/h의 강속구를 구사하며 빠른 패스트볼과 변화구를 섞어 많은 탈삼진을 솎아내는 파이어볼러. 구속을 올리려 할 때는 임창용처럼 팔각도를 높이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2021년 현재는 살이 찌기도 했고, 최근의 혹사 때문에 구속이 많이 줄었다. 평균 패스트볼 구속 143km/h.

프로 초창기에는 슬라이더 외에 이렇다 할 서드 피치를 확보하지 못했고 특히 싱커성 구질을 구사하지 못했다. 이후 권오준, 신용운, 이영욱, 임창용까지 걸출한 베테랑 사이드암 투수들 옆에서 20대 초반을 보낸 만큼 구종 습득에 있어 도움이 되지 않겠나 하는 의견이 있었고, 심지어 고등학교 선배이자 같은 언더핸드 투수인 임경완과 함께 훈련하기도 하면서 본인도 부단히 노력했지만 안타깝게도 그들의 주력 구질을 이어받지는 못했다. 권오준에게 체인지업을 배우려 했으나 그립이 본인에게 맞지 않아 포기한 것이 그 예. 2016년부터는 자신에게 맞는 그립을 찾아냈는지 체인지업을 종종 던지고 있고 데뷔 때부터 던져오던 커브는 2017년부터 실질적 서드 피치라고 볼 수 있게 되었다. 실제 이 시기 심창민의 삼진 장면을 보면 사이드암 폼에서 나오는 특유의 커브 궤적으로 타이밍을 완전히 빼앗아 삼진을 솎아 내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피안타율이 매우 낮고 탈삼진을 얻어내는 능력이 뛰어나다. K/9가 2014 시즌을 제외하고 9 밑으로 내려갔던 적이 없고, 2022 시즌 기준 통산 300이닝 이상 투수 중 오승환(10.47) 다음인 2위(10.34)를 기록하고 있다.

NC 다이노스 시절부터는 구속, 제구력이 크게 하락해 고전하고 있다. 구속은 평균 140 중반을 찍던 모습에서 평균 130 후반까지 떨어졌으며, 제구도 기복이 심해 입스가 의심되고 있다. 사실 삼성 시절 마지막 2년부터 좋지 못하기는 했다. 여러모로 어린 나이부터 활약했는데 정작 최전성기 나이인 2020-2023년에 부진한 것이 안타까운 선수.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심창민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1 삼성 1군 기록 없음
2012 37 2 2 1 5 39⅓ 1.83 26 0 17 2 41 1.09 208.6 1.52
2013 50 1 0 2 14 50⅓ 2.68 35 3 19 4 57 1.07 159.7 1.77
2014 52 5 2 0 8 38⅓ 6.81 42 7 26 4 38 1.77 77.7 0.09
2015 61 6 3 0 9 67⅓ 4.28 54 7 24 5 91 1.16 115.4 1.17
2016 62 2 6 25
(5위)
4 72⅔ 2.97 59 6 26 4 76 1.17 177.4 2.79
2017 66 4 7 6 16 75⅓ 4.18 55 12 44 7 103 1.31 121.3 2.08
2018 59 5 2 17 5 66⅓ 4.07 57 12 22 9 68 1.19 130.3 1.86
2019 군 복무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0 23 2 2 0 3 20⅓ 7.52 18 3 18 2 21 1.77 65.2 -0.54
2021 59 3 2 0 16 51⅓ 5.08 47 8 32 6 58 1.54 88.8 0.16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2 NC 11 1 2 0 0 6⅓ 14.21 9 0 7 3 6 2.53 28.7 -0.53
2023 5 0 1 0 0 3⅓ 2.70 2 0 5 1 5 2.10 154.2 0.02
2024 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11시즌)
485 31 29 51 80 491 4.22 404 58 240 47 564 1.31 111.8 10.39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태한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황성관
{{{#!folding (고졸)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권혁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김동명
김상걸
우동균 김상수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정현 (2)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심창민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eiwjnFKre1sqk8veo7_r1_540_2.jpg 2010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MVP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6.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7.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8.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2 2013 2014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우승반지
2015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2015 프리미어 12
김인식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1 이대은 · 19 이태양 · 22 우규민 · 23 차우찬
28 장원준 · 29 김광현 · 38 정대현
42 조상우 · 45 임창민 · 48 이현승
55 심창민 · 57 정우람 · 67 조무근
포수 25 양의지 · 47 강민호
내야수 3 박병호 · 7 김상수 · 8 정근우 · 10 이대호
14 허경민 · 16 황재균 · 24 오재원 · 52 김재호
외야수 15 이용규 · 17 나성범 · 31 손아섭
49 민병헌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인식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동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평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4 송진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김인식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우규민 · 11 이대은 · 12 임창용 · 19 심창민
21 박희수 · 23 차우찬 · 26 오승환
28 장원준 · 29 장시환 · 45 임창민
46 원종현 · 48 이현승 · 54 양현종
포수 25 양의지 · 42 김태군
내야수 3 김재호 · 7 김하성 · 10 이대호 · 13 허경민
14 서건창 · 18 박석민 · 24 오재원 · 52 김태균
외야수 15 이용규 · 31 손아섭 · 34 최형우
37 박건우 · 49 민병헌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인식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동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평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4 송진우
}}}}}}}}} ||

[1] 포항초등학교에서 전학. [2] 다음 프로필 기준 [3] 오승환과 같은 영구 결번급의 레전드 선수까진 안되더라도 안지만 등 팀 불펜 선배들의 모습을 이어줄 선수가 되길 기대받았다. 유망주 연차에 왕조 시기 1군에 자리잡아 왕조에 기여했으며, 이후 삼성의 암흑기 시절 혹사당하면서도 꾸준히 불펜진의 핵심으로 활약했다. 통상 유망주로 불리는 고졸 7년차까지 불펜투수로만 출전하였음에도 통산 WAR 10에 가까운 수치를 남겼고, 20승-30세이브-50홀드와 300경기 300이닝 이상을 기록하였다. 이후 군 복무를 앞두고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5승-17세이브-5홀드를 추가하며, 통산 25승-50세이브-60홀드 400이닝까지 달성하였다. 프랜차이즈 선수라는 표현이 전혀 부족하지 않은 선수였으나 군 전역 이후 부진을 거듭하다 트레이드되었다. [4] 머리가 커서. [5] 임창용의 별명인 '창드'와 심창민의 합성어. [6] 무사만루의 사나이 조 스미스를 빗댄 별명. [7] 경기 당일 조폭으로 추정되는 사람들과 짬뽕을 먹으면서 인방을 찍었다가 경기에서 이대호에게 동점 쓰리런을 맞고 역전패의 빌미를 마련하면서 붙여졌다. [8] 잘 던지다가도 갑자기 불을 지르거나 블론을 한다며 못하는 날 까이는 별명이다. 2021년 6월 27일 7회초 1:5로 팀이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채은성에게 동점 그랜드슬램을 맞아 데이비드 뷰캐넌의 승리를 단번에 말아먹고 8회초에는 이영빈에게 데뷔 첫 홈런을 퍼주고 팀이 역전당해 패배의 빌미를 제공한 날이 대표적이다. [9] 옆구리 투수와 에스마일린 카리대를 합친 별명이다. 심창민 본인은 심리대라는 별명을 알고 있다. [10] 이 인터뷰가 뜬 후 스탯티즈 메인화면에 접속할 때마다 "심창민 선수 스탯티즈 이용을 환영합니다!"라는 팝업창이 대문짝 만하게 뜬 적이 있다. [11] 심창민이 상무로 군입대한 이후 약 2년동안 아무도 이 번호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구단 측에서 18번을 임시결번으로 처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2021년 12월 심창민이 트레이드되자 18번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던 원태인이 냉큼 이 번호를 낚아챘다. [12] 이렇게 되며 박석민의 번호를 2번이나 이어 받았다. [13] 원래는 동갑이지만 심창민이 빠른 93년생이라서 선배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