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20:26:07

송해(전연)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생애3. 기타

1. 개요

宋該
생몰연도 미상

전연의 인물. 자는 홍선(弘宣). 기주(冀州) 평원군(平原郡) 평원현(平原縣) 출신.

2. 생애

영가의 난을 피해 동향 출신의 두군(杜群), 유상(劉翔) 등과 함께 처음에는 유주자사 왕준을 섬기다가 단부를 섬겼는데, 이들 모두 역량이 부족하다고 여겨 여러 유민 무리를 이끌고 모용외에게 귀부해 황보급, 황보진, 무개, 유빈, 봉유와 함께 기밀 사항을 관장했다.

대흥 원년(318년) 3월, 동진의 원제 사마예가 모용외를 용양장군, 대선우로 삼자, 모용외는 송해와 유상을 나란히 용양장군 주부로 임명하였다.

대흥 2년(319년) 12월, 모용외가 요동군을 다스리던 평주자사 최비(崔毖)[1]를 무찌르고, 그를 섬기던 고첨을 여러 번 등용하려 하였으나, 고첨은 매번 병을 핑계로 사양하였다. 모용외가 이를 기분 나쁘게 생각하니, 송해는 그를 죽이라고 했지만 모용외는 듣지 않았다. 모용외는 오히려 송해를 동진에 사자로 보내 요동군을 평정한 일을 보고하고 극성 전투에서 우문부로부터 노획한 옥새의 인끈 3개를 전달케 하였고, 송해는 배억과 함께 동진으로 가 임무를 마치고 돌아왔다.

함화 6년(331년) 겨울, 송해는 여러 신하들과 공동으로 모용외에게 대장군, 연왕(燕王)을 관작을 동진에 요구할 것을 주청하였다. 모용외는 신하들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승작 요구에 반대하던 참군사 한항을 좌천시키고, 봉추(封抽)를 동진에 사자로 보내 연왕으로 승작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태위 도간에 의해 작위는 조정의 전권이라는 말로 단칼에 거절당했다.

함강 3년(337년) 9월, 모용외의 뒤를 이어 요동공에 즉위한 모용황이 연왕을 자칭하자, 송해는 상백(常伯)에 임명되었다가 우장사로 옮겨졌다.

영화 원년(345년) 정월, 모용황이 가난한 백성들에게 소와 황실의 땅인 원중(苑中)을 빌려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하였다. 대신 소를 빌린 자는 수확량의 7할, 땅을 비린 자는 수확량의 8할을 세금을 내게 하니, 기실참군 봉유(封裕)가 무거운 세금에 대해 간언하는 동시에, 송해를 가리켜 군주에게 아부하기 좋아하여 간언하는 선비를 탄핵하면서 정작 그 자신은 뼈대가 없고, 이것을 가진 다른 사람을 시기해 귀, 눈을 덮어 가리므로 대단히 충성스럽지 못하다는 비판을 하였다.

함강 3년(347년) 10월, 송해는 성격이 탐욕스러워 모용황이 승건전(承乾殿)에서 연회를 열었을 때 비단 100필을 하사받았다. 송해는 집으로 가다가 그것들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넘어지는 바람에 모두 가지고 갈 수 없어 이를 수치로 여겼다고 한다.

이후 요동내사로 승진하여 지역을 다스리던 송해는 시랑 한편(韓偏)에게 뇌물을 받아 그를 효렴으로 천거하였다. 그리고 얼마 뒤에 한편이 반란에 가담하자, 모용황은 반란을 토벌한 후에 명하였다.
"무릇 효렴이란 도덕적이고, 차분하며, 기민하여 왕정(王庭)에 천거받는 자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은 반란한 무리를 도와 미혹되게 한 죄가 있고, 그를 토벌하기 위해 왕의 위세가 이르렀을 때는 성에 기대어 추잡한 욕을 하였다. 이토록 심히 패역한 자를 천거한 사람을 조정이 어찌 믿을 수 있겠는가? 송해는 가히 4년의 형이 적합하다 할 수 있으나, 한편에게 뇌물을 받아 그를 승진시켜 왕의 법률을 어지럽혔으니, 그를 면직시키고 종신금고에 처하도록 하겠다."
결국 이로 인해 송해는 투옥되면서 더이상 사서에 등장하지 않는다.

3. 기타

소설 고구려에서는 배억, 봉추, 황보급, 봉혁과 함께 목환진, 소희련을 격파한 일로 모용외에게 복속한 인물로 언급된다.


[1] 조조를 섬겼다가 비참한 최후를 당한 최염(崔琰)의 증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