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07:35:54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북경 아시안게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1951
뉴델리
1954
마닐라
1958
도쿄
1962
자카르타
1966
방콕
<rowcolor=#373a3c>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70
방콕
1974
테헤란
1978
방콕
1982
뉴델리
1986
서울
<rowcolor=#373a3c>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0
베이징
1994
히로시마
1998
방콕
2002
부산
2006
도하
<rowcolor=#373a3c>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10
광저우
2014
인천
2018
자카르타·팔렘방
2022
항저우
(연기)
2026
아이치·나고야
<rowcolor=#373a3c>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2030
도하
2034
리야드
2038
미정
2042
미정
2046
미정
}}}}}}}}}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제11회 아시안 게임
第十一届亚洲运动会™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XI Asian Games
Beijing 1990
파일: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로고.svg
대회 기간 1990년 9월 22일 ~ 1990년 10월 7일
개최국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베이징시
참가국 36개국
참가 인원 6,122명
경기 종목 27개 종목 - 308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양상쿤
중국 주석
선수 선서 천룽찬
성화점화 쉬하이펑, 가오민, 장룽팡
개·폐회식장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1. 개요2. 경기3. 메달 순위4. 대한민국 메달 현황
4.1. 메달 현황
4.1.1. 금메달4.1.2. 은메달4.1.3. 동메달
5. 엠블럼6. 마스코트7. 한국측 중계진8. 한국측 공식 스폰서9. 여담

[clearfix]

1. 개요

중국 베이징시에서 개최된 제11회 하계 아시안 게임. 이 시기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중국의 지명이나 인명을 한국식 한자로 발음하는 편이 많았기 때문에[1] 거의 북경 아시안게임이라고 일컬었다.

2. 경기

1986 서울 아시안 게임때까지만 해도 중국이 앞서기는 했지만 압도하지 못했던 종합 성적이었다.[2] 그런데 중국은 이 대회에서부터 우수한 성적으로 종합 1위를 싹쓸이하게 된다. 중국은 자그마치 금메달 183개, 은메달 107개, 동메달 51개를 받으며 2위인 한국(금 54, 은 54, 동 73)을 크게 앞질렀다.

일본은 3위 (금 38, 은 60, 동 76), 북한은 4위 (금 12 , 은 31, 동 39) 였다. 이 기록은 중국의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계속 깨지지 않다가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금 199개, 은 119개, 동 98개)에서 깨지게 된다.[3] 하지만 금메달 수 자체가 310개에서 477개로 1.5배 늘어난 것을 생각하면, 개최국이 금 메달의 60%를 싹쓸이 하는 아시안 게임은 전무후무했다.

대만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아시안 게임에 복귀하게 되었다. 대만은 은메달 10개, 동메달 21개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노골드라서 순위가 크게 떨어졌다 (16위). 메달 갯수로 치면 5위인 31개. 인도 역시 은메달 8개, 동메달 14개에 비해 금메달은 1개에 그쳤다.

그리고 지난 대회와는 달리 보이코트가 없어 참가국이 늘어났다. 하지만 이라크 쿠웨이트 침공했다는 이유로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4][5] 당시 OCA 회원국 38개국중 유일한 불참국이었다.

3. 메달 순위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최종 집계
<rowcolor=#087647,#ffffff> 순위 국가 메달 합계
1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183 107 51 341
2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 대한민국
54 54 73 181
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38 60 76 174
4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
12 31 39 82
5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 이란
4 6 8 18
6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파키스탄
4 1 7 12
7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3 6 21 30
8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 카타르
3 2 1 6
9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태국
2 7 8 17
10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말레이시아
2 2 4 8
11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1 8 14 23
12 [[몽골|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 몽골
1 7 19 17
13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 필리핀
1 2 7 10
14 [[시리아|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 시리아
1 0 2 3
15 [[오만|
파일:오만 국기.svg
]] 오만
1 0 0 1
16 [[중화 타이베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 중화 타이베이
0 10 21 31
17 [[영국령 홍콩|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 영국령 홍콩
0 2 5 7
18 [[스리랑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 스리랑카
0 2 1 3
19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싱가포르
0 1 4 5
20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방글라데시
0 1 0 1
21 [[라오스|
파일:라오스 국기.svg
]] 라오스
0 0 1 1
[[포르투갈령 마카오|
파일:포르투갈령 마카오기.png
]] 포르투갈령 마카오
0 0 1 1
[[네팔|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0 0 1 1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사우디아라비아
0 0 1 1

4. 대한민국 메달 현황

4.1. 메달 현황

종목 합계
양궁 4 1 2 7
육상 2 6 5 13
배드민턴 1 3 2 6
복싱 5 2 2 9
볼링 2 0 2 4
사이클 2 1 4 7
승마 3 1 2 6
축구 0 0 1 1
펜싱 3 6 2 11
골프 2 1 1 4
체조 1 2 3 6
핸드볼 2 0 0 2
하키 1 0 0 1
유도 2 5 9 16
조정 0 4 5 8
카누 3 2 3 8
요트 1 1 3 5
사격 5 10 8 23
수영 1 1 5 7
테니스 4 4 4 12
탁구 2 3 3 8
배구 0 2 0 2
역도 5 2 3 10
레슬링 11 2 4 17
수구 0 0 1 1
농구 1 0 1 2
합계 54 54 73 181

4.1.1. 금메달

메달 종목 세부종목 이름
골프 여자개인 원재숙
골프 여자단체 신소라 엄정미 원재숙 이종임
농구 여자대표팀 서경화 성정아 유정애 이강희 이형숙 임애경 정미경 정은순 조문주 천은숙 최경희 하숙례
레슬링 100kg급(F) 김태우
레슬링 48kg급(F) 김종신
레슬링 48kg급(G) 권덕용
레슬링 52kg급(G) 안한봉
레슬링 57kg급(G) 시진철
레슬링 68kg급(F) 박장순
레슬링 68kg급(G) 문충식
레슬링 74kg급(G) 한치호
레슬링 82kg급(G) 김상규
레슬링 90kg급(G) 오효철
레슬링 68kg급(F) 엄진한
배드민턴 혼합복식 박주봉 정명희
복싱 +91kg급 백현만
복싱 48kg급 양석진
복싱 51kg급 이창환
복싱 60kg급 이재권
복싱 91kg급 채성배
사격 센타파이어권총 박병택
사격 소구경소총3자세 이은철
사격 소구경소총3자세단체 이시홍 이은철 차영철
사격 속사권총단체 박병택 이종임 임장수
사이클 4km개인추발 박민수
사이클 50km득점경기 박민수
수영 남자배영200m 지상준
양궁 남자개인 양창훈
양궁 남자단체 김선빈 박재표 양창훈
양궁 여자개인 이장미
양궁 여자단체 김수녕 이은경 이장미
역도 100kg급 황우원
역도 110kg급 김태현
역도 56kg급 전병관
역도 82.5kg급 염동철
역도 90kg급 김병찬
요트 레이저급 박길철
유도 71kg급 정훈
유도 78kg급 김병주
육상 남자800m 김봉유
육상 남자마라톤 김원탁
체조 남자평행봉 이주형
카누 남자1,000k-1 천인식
카누 남자1,000k-2 박차근 천인식
카누 남자500k-2 박차근 천인식
탁구 남자단체 강희찬 김택수 문규민 박지현 유남규
탁구 여자복식 현정화 홍차옥
펜싱 남자에빼개인 양달식
펜싱 남자에빼단체 양달식 윤남진 이상기 장태식 조희제
펜싱 여자플러레개인 탁정임
하키 여자대표팀 권창숙 김경애 김국희 김순덕 김형순 노영미 손정임 유제숙
이경희 이선영 이옥희 임계숙 장은정 전원심 조규순 한금실
핸드볼 남자대표팀 강재원 김재환 문병욱 박도현 성선용 심재홍 윤경신
이기호 이상섭 이석형 이학면 조영신 조치효 최석재
핸드볼 여자대표팀 강선경 공주 김태영 박영선 박정림 백인숙 석민희 오성옥 이미영
이임숙 이종심 임미경 장리라 조범연 조은희 진미숙 허영선 홍지현

4.1.2. 은메달

메달 종목 세부종목 이름
골프 여자개인 이종임
배구 남자대표팀 노진수 마낙길 박삼용 신영철 윤종일 이경석 이상열 장윤창 정의탁 하종화 한장석 홍해철
배구 여자대표팀 강주희 김경희 김귀순 남순옥 문효숙 박미희 엄정미 유연수 장경희 장윤희 주선진 지경희
배드민턴 남자복식 김문수 박주봉
배드민턴 여자단식 이영숙
배드민턴 여자복식 길영아 정소영
복싱 61kg급 진명돌
복싱 81kg급 황경섭
사격 공기소총단체 김종길 배성덕 안병균
사격 남자50m런닝타켓 홍승표
사격 남자속사권총개인 임장수
사격 센타파이어권총단체 박병택 이상학 임장수
사격 소구경자유소총단체 이시홍 이은철 차영철
사격 스키트단체 김하연 임동기 전찬식
사격 스텐다드권총단체 박병택 이상학 임장수
사격 여자공기권총단체 부순희 이선복 홍연옥
사격 여자공기소총단체 윤순남 이은주 진순영
사이클 여자3km개인추발 김정신
수영 계영400m 김은정 명경현 이문희 이은주
양궁 여자개인 이은경
역도 110kg급 전상석
역도 90kg급 이형근
요트 옵티미스트급 최정연
유도 남자60kg급 김종만
유도 남자65kg급 김종수
유도 남자86kg급 김승규
유도 남자무제한급 김건수
유도 여자무제한급 문지윤
육상 남자1,500m 김봉유
육상 남자10,000m 김재홍
육상 남자400m허들 황홍철
육상 남자800m 유태경
육상 남자투창 김기훈
육상 여자높이뛰기 김희선
조정 남자무타페어 이기현 조준형
조정 남자무타포어 윤남호 이형기 하진식 황희택
조정 남자싱글스칼 임경석
조정 여자무타페어 김성옥 이재남
체조 남자도마 이주형
체조 여자마루 이희경
카누 남자1,000k-4 김동수 김병천 박기정 정종환
카누 여자500k-1 이용철
탁구 여자단체 이태조 현정화 홍순화 홍차옥
탁구 혼합복식 유남규 현정화
테니스 남자단체 김봉수 김재식 배남주 유진선
테니스 여자복식 김일순 이정명
테니스 혼합복식 김일순 유진선
펜싱 남자사브르단체 김상욱 유상주 이욱재 이현수 이효근
펜싱 남자에빼개인 장태석
펜싱 남자플러레개인 김승표
펜싱 남자플러레단체 김승표 이용국 이호성 홍영승 황준석
펜싱 여자에뻬단체 김명자 박수미 이순이 전순미 정명수
펜싱 여자플러레단체 신성자 이전희 정채구 탁정임

4.1.3. 동메달

메달 종목 세부종목 이름
골프 남자단체 민혜식 안주환 오진근 한영근
농구 남자대표팀 강동희 김유택 김진 김현준 서대성 이민형 이원우 이충희 정재근 최병식 표필상 허재
레슬링 130kg급(F) 조병은
레슬링 62kg급(F) 신상규
레슬링 74kg급(F) 박영진
레슬링 82kg급(F) 이동우
배드민턴 남자단체 김문수 김학균 박주봉 성한국 손진한 안재창 이광진 최상범
배드민턴 여자단체 길영아 심은정 이영숙 이정미 이흥순 정명희 정소영 황혜영
배드민턴 여자단식 이영숙
배드민턴 여자복식 길영아 정소영
복싱 61kg급 전진철
복싱 81kg급 홍기호
사격 50m런닝타켓혼합개인 홍승표
사격 50m런닝타켓혼합단체 이용철 허대경 홍승표
사격 남자50m런닝타켓단체 김운진 이용열 홍승표
사격 소구경자유소총개인 차영철
사격 여자공기권총개인 이선복
사격 여자소구경스탠다드소총복사단체 강영아 김미향 이혜경
사격 여자소구경스탠다트소총단체 공현아 김미향 이혜경
사이클 남자100km단체도로 권정호 박명순 정래진 조덕행
사이클 남자1km독주 엄영섭
사이클 남자4km단체추발 김용규 박민수 이경환 정점식
사이클 여자70.03km도로 경미옥
수구 남자대표팀 권오길 박문선 박석범 박중길 안상훈 유승훈 이상원
이상현 이정석 장시영 정동섭 정보근 정영식
수영 남자개인계영400m 김성태
수영 남자계영800m 권상원 이윤안 임철성 지상준
수영 남자접영200m 이윤안
수영 남자혼계영400m 김동현 윤주일 이윤안 지상준
수영 여자혼계영400m 김수진 박성원 유홍미 이창하
양궁 남자개인 김선빈
양궁 여자개인 김수녕
역도 +110kg급 손성국
역도 여자60kg급 원순이
역도 여자67.5kg급 정명숙
요트 남자디비젼II 서용근
요트 여자470급 김혜숙 정은숙
요트 여자디비젼II 주순안
유도 남자+95kg급 김건수
유도 남자-95kg급 백장기
유도 여자+72kg급 문지윤
유도 여자-48kg급 옥경숙
유도 여자-52kg급 박미희
유도 여자-56kg급 조민선
유도 여자-61kg급 김성혜
유도 여자-66kg급 박지영
유도 여자-72kg급 김미정
육상 남자높이뛰기 조현욱
육상 남자봉고도 김철균
육상 남자세단뛰기 유재근
육상 여자100m 이영숙
육상 여자마라톤 이미옥
조정 경량급무타포어 이인기 장현철 조춘영 최경욱
조정 경량급싱글스컬 김연희
조정 남자에이트 김성수 김욱학 안상진 윤남오 이기현 이형기 하진식 홍성균 황희택
조정 여자무타포어 강민홍 국인숙 김성옥 이재남
조정 여자싱글스컬 강신숙
체조 남자단체 강병의 김종수 유옥렬 윤창선 이주형 정진수
체조 여자단체 민아영 박지숙 배은미 이희경 조은진 한나정
체조 여자도마 박지숙
축구 남자대표팀 고정운 구상범 김상호 김주성 김판근 김풍주 노정윤 박경훈 변병주 서정원
윤덕여 이영진 정광석 정용환 정종수 최순호 최인영 홍명보 황보관 황선홍
카누 남자500c-1 박창규
카누 남자500k-4 김동수 김병천 박기정 정종환
카누 여자500k-1 윤미정
탁구 남자단식 유남규
탁구 남자복식 김택수 유남규
탁구 혼합복식 강희찬 홍차옥
테니스 남자단식 김봉수 김재식
테니스 남자복식 이진호 지승호
테니스 여자단식 김일순 박말심
테니스 여자단체 김일순 박말심 이정명 임숙자
펜싱 남자사브르개인 유상주
펜싱 남자에빼개인 이상기

5. 엠블럼

중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인 만리장성을 모티브로 했다.

6. 마스코트

파일:PanPan(1990_asian_games).jpg

판다 캐릭터로 이름은 판판(盼盼, Pànpàn)이다. 디자이너는 중국 국가1급 미술사 류중런(刘忠仁). 다만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때는 따로 이름이 없었는지 폐막식에 차기 대회 개최지 마스코트로 등장할 때 슝마오(Xiong Mao) 라고 불렀다. 슝마오는 중국어로 웅묘(熊猫), 즉 이름 그대로 판다란 뜻이다.[6]

7. 한국측 중계진

8. 한국측 공식 스폰서

9. 여담



[1] 근현대 중국의 권력자였던 쑨원, 장제스, 마오쩌둥, 덩샤오핑, 장쩌민 등을 각각 손문, 장개석, 모택동, 등소평, 강택민 등으로 불렀던 시절이다. 장쩌민의 경우 집권 초기에는 한국 뉴스에서 강택민이라고 부르다가, 집권 후반기에 갑자기 장쩌민으로 바뀌었다. 중국 정치나 중국 뉴스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은 강택민과 장쩌민이 똑같은 사람인줄도 모르는 경우가 있었을 정도였다. [2] 서울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을 금메달 1개 차로 제치고 종합 1위를 했다. [3] 이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 201개로 다시 경신한다. [4] 쿠웨이트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 본부가 있는 곳이며, 셰이크 파하드 알 아메드 알 자베르 알 사바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의장이 이라크군과의 교전 중 전사했다. [5] 이후 이라크는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에 복귀한다. [6] 다만 중국 본토 이외의 대만 등에서는 저걸 뒤집어서 '묘웅(마오슝)'이라고 부른다. [7] <KBS 저널> 1990년 9월호 p22~23, <KBS 연지 1991> p54 참고. [8] <생방송 전국은 지금>의 베이징 아시안게임 특집판으로, 당시 서울-베이징 간 2원 생방송. [9] <MBC 가이드> 1990년 10월호 기사, <문화방송 삼십년사(1992)> p493 등지 참고. [10] 당시 중국 정부는 천안문 광장에 TV 스크린을 설치했을 정도로 기대감이 컸다. 실제로 1, 2, 3차 투표에서 베이징이 모두 1위를 했으니까. 그러나 결국 45대 43 이라는 근소한 표차로 시드니에게 패했다. 이 당시 자료영상을 보면 만리장성 팔달령에 중국 오성홍기 깃발을 들고 빽빽하게 올라가 있는 응원단들의 망연자실한 표정이 실시간으로 시드니의 환호하는 관중과 교차편집되어 방송을 타는 것을 볼 수 있다. [11] 중국 입장에서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고히 하기 위해 대만을 압박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때문에 대만이 덜컥 불참해버리면 모양새가 안 좋아서 선택의 여지가 사실상 없었다. 어차피 '중화'라는 명칭을 쓴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대만이 중국과 한 핏줄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기도 하고. 중국과 중화의 어감상 차이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 [12] 사실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이라는 훌륭한 선례(?)가 있기는 했다. 이때 경찰이 학생들을 상대로 학살을 벌이는 일이 벌어졌지만 올림픽 하루 전에 일어난 일이었기 때문에 대규모 보이콧은 일어나지 않았다. [13] 서울올림픽 당시에는 건국대학교 재학생 신분이었다. 다른 두 명은 당시 서울예술고등학교 무용과 재학생이던 손미정과 흑산중학교 소흑산분교(현 가거도분교)의 체육교사였던 정선만. [14] 물론 당시는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이 각각 10체급씩이었고, 구 소련에서 독립한 중앙아시아 5개국이 참가하기 전 마지막 대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