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3:18:52

분서왕

부여분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법왕 무왕 의자왕
}}}}}}}}}}}}

분서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백제의 왕자
[[틀:백제의 왕자/온조왕 ~ 진사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006666;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AB2D, #4CCB3B 20%, #4CCB3B 80%, #3DAB2D);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태자
왕자 : 온조왕 ~ 진사왕 · 아신왕 ~ 의자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1대 2대 3대 4대
고이왕 책계왕 분서왕 계왕
왕권 장악 실패
고이왕계 몰락 }}}}}}}}}
백제 제10대 국왕
분서왕 | 汾西王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연대 미상[1]
백제
사망
(음력)
304년 10월 (향년 불명)
백제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백제 제10대 국왕
298년 9월 ~ 304년 10월 (7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부여(扶餘) / 우(優)(?)
분서(汾西)
부모 부왕 책계왕
모후 보과부인[2]
왕후 의 모후
왕자
왕호 분서왕(汾西王) }}}}}}}}}

1. 개요2. 생애3. 《 삼국사기》 기록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제10대 군주이자 건길지. 제9대 책계왕의 장남.

2. 생애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의표(儀表)가 뛰어나 아버지인 책계왕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한군현(漢郡縣) 세력의 침입을 막다가 책계왕이 전사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즉위한 298년 10월 대규모 사면령을 내려 민심을 다잡았으며 299년 동명왕묘에 참배했다. 302년 4월 혜성이 대낮에 떨어지는 기상 이변이 있었다. 304년 2월 낙랑군(樂浪郡)의 서쪽 현(西縣)을 공격하여 점령한 것이 사실상 유일한 업적인데 이 사건이 분서왕의 죽음을 재촉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백제와 낙랑군 사이에는 대방군(帶方郡)이 있었으므로 수군을 이용해서 중국과 이어지는 무역로의 거점을 점령하고 한군현을 통한 중계 무역이 아닌 중국 대륙과의 직접 무역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분서왕은 책계왕과 마찬가지로 낙랑 등 한군현 세력에 대하여 강경책을 폈던 것으로 보이나 304년 2월의 낙랑 공격에 대한 보복이었는지 304년 10월 낙랑 태수가 보낸 자객에 의해 목숨을 잃고 말았다. 이에 대해서는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는 비류왕이 분서왕을 암살하도록 낙랑군에 사주했다는 설도 있으나 어디까지나 추정일 뿐 알 수 없다. 일단 비류왕 즉위 기록을 보면 분서왕이 아들이 여럿 있었는데도 모두 어려서 비류왕이 추대를 받아 즉위했다고 써 있어서 더욱 비류왕 배후설에 설득력이 생긴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책계왕에 이어 분서왕까지 한군현의 세력에 살해당할 정도이니 그만큼 백제의 위용이 한군현에 크게 압박을 줄 정도로 성장했다고도 볼 수 있다.

황창랑(黃昌郞)이라는 이름의 신라 출신 소년 자객에게 암살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황창랑이 바로 《 삼국사기》에 언급되는 낙랑군에서 보내 분서왕을 죽인 자객이라고 서술하는 경우도 있는데 확실한 이야기는 아니다. 《삼국사기》나 《 삼국유사》에서는 황창랑이라는 인물을 전혀 찾아볼 수 없고 조선 시대의 문집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 조선왕조실록》에도 언급되는 인물이다. 조선 시대에는 황창랑이라는 소년 검객이 백제 을 찔러 죽였다는 이야기가 돌았던 모양인데 어느 기록에서도 황창랑이 찔러 죽인 왕이 분서왕이라고 콕 찍어 명시하고 있지 않다. 애당초 백제 왕 중에 살해당했거나 정황상 살해당했을 가능성이 높은 왕들이 분서왕 말고도 너무 많아서 어느 시대 사람인지도 모른다고 하는 황창랑이 암살한 백제 왕이 누구라고 특정할 수 없다.
黃昌郞 不知何代人 諺相傳 八歲童子 爲新羅王 謀釋憾於百濟 往百濟市 以劍舞 市人觀者如堵墻 百濟王聞之 召入宮令舞 昌郞於座 揕殺之
황창랑은 어느 시대의 사람인지 모르나 속설(俗說)에 전하기를 “그가 8살 난 어린아이로서 신라 왕과 꾀하여 백제에게 분풀이를 하려고 백제 저잣거리에 가서 검춤을 추니 저잣거리의 사람들이 담처럼 둘러서서 구경하였다. 백제 왕이 듣고 궁중에 불러들여 춤추라 하니 창랑이 그 자리에서 왕을 찔러 죽였다.” 한다.
《속동문선》 권 제4, <칠언고시>

도승지 남용익이 아뢰기를,
효종대왕께서도 후원(後苑)에서 기예를 시험하셨는데, 그때에 이상진(李尙眞)이 백제(百濟) 황창랑(黃昌郞)의 검무(劍舞)의 일을 끌어대기까지 하면서 간쟁하였습니다.”
현종개수실록》 현종 5년(1661년) 6월 11일

3.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분서왕 본기>
一年秋九月 분서왕이 즉위하다
一年冬十月 죄수를 사면하다
二年春一月 동명왕의 사당에 배알하다
五年夏四月 낮에 혜성이 나타나다
七年春二月 낙랑의 서현을 기습하여 점령하다
七年冬十月 분서왕이 살해되다

4. 기타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1] 장남인 계왕의 출생년도가 290년에서 304년 사이로 추정되고 할아버지인 고이왕의 출생년도가 개루왕의 아들이었다는 기록상으로는 166년 전후이나 비현실적이라 확신이 안되며 아버지인 책계왕 또한 출생년도가 불확실한 고이왕의 아들이기에 출생년도가 불확실하기에 분서왕 또한 불확실하다. 굳이 추정하자면 280년대 이전에 태어난건 확실하다. [2] 대방왕(帶方王)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