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6:31

부랴티야 공화국

부랴티야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63180>
러시아 연방
구성 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3180, #263180 20%, #263180 80%, #26318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극동 연방관구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기.svg
부랴티야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남부 연방관구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기.svg
칼미키야 공화국
파일:아디게야 공화국 국기.svg
아디게야 공화국
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크림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볼가 연방관구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파일:우드무르티야 공화국 국기.svg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파일:추바시야 공화국 국기.svg
추바시야 공화국
파일:모르도비야 공화국 국기.svg
모르도비야 공화국
파일:마리 엘 공화국 국기.svg
마리 엘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북서 연방관구
파일:코미 공화국 국기.svg
코미 공화국
파일:카렐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렐리야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북캅카스 연방관구
파일:다게스탄 공화국 국기.svg
다게스탄 공화국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체첸 공화국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파일: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svg
인구셰티야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시베리아 연방관구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연방관구 미정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6318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3180, #263180 20%, #263180 80%, #26318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
파일:사하 공화국 국장.svg
사하 공화국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장.svg
부랴티야 공화국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rowcolor=#fff> 주 (Область)
파일:사할린 주장.svg
사할린주
파일:마가단 주장.svg
마가단주
파일:아무르 주장.svg
아무르주
<rowcolor=#fff> 지방 (Край)
파일:프리모리예 지방 문장.svg
프리모리예 지방
파일:하바롭스크 지방 문장.svg
하바롭스크 지방
파일:자바이칼 지방 문장.svg
자바이칼 지방
파일:캄차카 지방 문장.svg
캄차카 지방
<rowcolor=#fff> 자치주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파일:유대인 자치주 주장.svg
유대인 자치주
<rowcolor=#fff> 자치구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파일:추코트카 자치구 문장.svg
추코트카 자치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91e31> 민족
산융·동호† <colcolor=#000,#fff> 산융† | 동호
선비&오환·거란† 선비( 모용부 | 단부 | 우문부 | 탁발부 | 독발부 | 걸복부 | 하란부 | 철불부 | 독고부 | 유연)† | 오환족† | 해족† | 습족† | 오락후† | 거란
몽골족 실위 (여러 부족들)† | 모골 | 둥샹족 | 다고르족 | 오이라트( 준가르 | 칼미크 | 상몽골인) | 부랴트 | 몽구오르인 | 몽골인( 차하르 | 할하)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자치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중국 국기.svg 내몽골 자치구 | 중가리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기.svg 부랴티야 공화국 |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기.svg 칼미키야 공화국
해당 지리적 인종 동아시아인 | 시베리아 원주민
문화 및 언어
신화 텡그리 신앙, 거란 신화, 몽골 신화, 부랴트 신화
언어 몽골어족 }}}}}}}}}

부랴티야 공화국
Буряад Улас
Республика Бурятия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기.svg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장.svg
국기 국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da00> 국가 <colbgcolor=#fff,#1f2023>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수도 울란우데
시간대 UTC+8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da00> 인구 <colbgcolor=#fff,#1f2023>985,431명 (2021년)
인구 밀도 2.8명/km²
종교 기독교 33.4%
- 러시아 정교회 27.4%
- 기타 정교회 1.2%
- 개신교 0.6%
- 기타 기독교 4.2%
불교 19.8%
샤머니즘 텡그리교 1.8%
무종교 38.2%
기타 6.8%
공용어 러시아어, 부랴트어
면적 351,334km²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da00> 국가원수 <colbgcolor=#fff,#1f202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수반 알렉세이 치데노프
지방의회
39석 / 66석

13석 / 66석

6석 / 66석

5석 / 66석


[[무소속(정치)|
무소속
]]
3석 / 66석
}}}}}}}}} ||
<colbgcolor=#ffda00> ISO 3166-2 RU-BU
공식 사이트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자연4. 인구5. 행정구역6. 경제7. 국가8. 여담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Бурятия (Respúblika Buryátiya)
부랴트어: Буряад Улас (Buryaad Ulas)
영어: Republic of Buryatia

시베리아 바이칼호 동쪽에 위치한 러시아의 공화국. 면적은 351,300km²이며[1] 인구는 2022년 기준으로 989,537명. 주도는 울란우데(Улан-Удэ / Улаан Үдэ)이다. 이름은 부랴티아 공화국이지만 몽골 계열의 황인인 부랴트인은 인구의 30% 정도에 불과하다.

2018년 11월 3일 대통령령 제632호로 자바이칼 지방과 함께 시베리아 연방관구에서 극동 연방관구로 이관되었다.

티베트 불교를 믿는 부랴트인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인구의 20% 정도가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중앙아시아와 달리 이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2. 역사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흉노 동호
선비 · 오환
철륵 선비
유연 북위 서위 ·동위
돌궐 제국 북주· 북제
동돌궐
돌궐 2제국
위구르 카간국
중세
요나라
서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CC; background: #376c95; font-size: 0.9em" 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일 칸국 | 차가타이 칸국 원나라
오이라트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잘라이르 왕조 | 추판 왕조 북원
준가르 칸국 | 크림 칸국 청나라 치하 몽골
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 복드 칸국 중화민국
몽골 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몽골국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


사실상 몽골의 역사와 궤를 같이했다. 북원이 소멸한 이후 1727년 청나라 루스 차르국간의 캬흐타 조약 체결로 국경이 조정되어 바이칼호 인근 지역이 러시아 측에 공식적으로 귀속되었고, 몽골의 역사와 갈라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파일:부랴트 자치지역 (1922년).jpg
▲부랴트-몽골 자치주 영토(공화국 수립 전: 1922년)

1차 세계대전 와중에 러시아 제국이 패망하고 뒤이은 혼란 끝에 1920년에 붉은 군대가 부랴티야를 점령했다. 1921년 4월 27일 극동공화국의 바이칼 호 동쪽에 부랴트-몽골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1922년 1월 9일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측에도 바이칼 호수 서쪽 및 남쪽의 부랴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몽골-부랴트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인 1922년 11월 15일에 극동공화국이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에 합병되면서 자치주도 함께 이관되었다. 1923년 5월 30일,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간부회에서 두 자치주를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하고 자치공화국으로 격상시키는 내용의 결의가 채택되었다. 공화국의 수도는 베르흐네우딘스크(울란우데)로 결정되었다. 이것이 부랴티야 공화국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러시아 혁명의 혼란기서부터 소련 수립 이후 스탈린의 철권통치가 행해지던 1930년대까지, 많은 부랴트인들이 고향을 떠나 인접한 몽골과 만주로 이주했다.

1958년에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의 결정으로 공화국명에서 몽골이 탈락하고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국명이 변경되었다. 공화국 내 부랴트-몽골 민족의 사회주의화 및 소비에트화가 완료되어 부랴트 민족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더 이상 몽골 민족과는 관련성이 없어졌다는 것이 이유였다. 실질적으로는 몽골지역과의 민족적, 역사적 공유점을 제거하여 부랴트인[2] 및 몽골인이 다수 거주하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분쟁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로 평가 된다.[3]

소련이 붕괴되어 갈 무렵인 1990년 10월 8일, 부랴티야 공화국도 러시아 연방 내 다른 여러 자치공화국들과 마찬가지로 주권선언을 했다. 부랴티야를 러시아 산하 자치공화국에서 소련의 구성국인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의 격상을 담은 내용이었다. 주권선언에 따라 국명에서 자치가 삭제되고 부랴티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대혼란 와중에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소련과 러시아 측 모두 부랴티야의 주권 선언에 대해 딱히 뭔가 구체적인 조치나 반응을 내보일 겨를이 없었다. 1991년 3월 27일에는 국명에서 정체를 의미하는 '소비에트'와 '사회주의'까지 삭제되면서 부랴티야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 1992년 러시아 연방과 조약체결로 부랴티야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구성주체가 되었다. 1994년 2월 22일에는 공화국의 신헌법이 채택되었다.

3. 자연

바이칼 호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바르구진 강을 비롯하여 이르쿠트 강, 셀렝가 강, 우다 강 등이 존재한다. 특히 부랴티야의 50%가 바이칼 유역에 속하고 있다. 또한 영토의 73% 이상이 산림지대이며 농경지가 11%를 구성하고 있다.
지형적 특성은 전반적으로 높은 산맥과 고원 지대로 구성되어 산맥 사이 사이에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남쪽은 몽골과 국경을 이루고 있다. 북쪽 지역은 타이가와 툰드라 지대이지만 몽골과 접한 남쪽에는 목축이 가능한 산간 스텝지대와 일부 준사막지대가 존재한다.

천연 자원으로는 , 텅스텐, 아연, 우라늄 등이 산재한다.

4. 인구

2022년 기준 인구는 989,537명. 2022년 기준으로 인구 구성은 러시아인 64.91%, 부랴트인 29.51%, 우크라이나인 0.58%, 타타르인 0.70%로 다른 러시아의 시베리아 자치 구역들처럼 부랴티아도 러시아인 인구가 줄어들면서 인구에서 부랴트인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이다.[4]

부랴트인 이외에도 튀르크 및 퉁구스 계통 민족이 소수나마 전통적으로 거주해 왔다. 투바 공화국과 접한 서남부 지역에는 튀르크 계통인 소요트인이 거주하고 공화국 북동쪽 지역을 중심으로는 퉁구스 계통의 에벤키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인구 자체는 1991년 1,052,038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08년까지 꾸준히 감소했으나 다른 극동 연방 관구 지역에 비하면 인구 감소가 그리 심하지는 않았고 출생아수의 증가와 함께 2009년부터 인구가 느리게나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2017년 전년 대비 출생아수가 11% 감소하고 2018년에도 전년 대비 출생아수가 3% 감소하는 등 출생아수가 다시 감소하고 있다.

하플로그룹 C-M217 비중이 6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난다. 반면 한반도에서는 10~20% 수준으로 비중이 낮다. 하플로그룹 C-M217 지도.

5.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36a7>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6a7, #0036a7 20%, #0036a7 80%, #0036a7);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파일:울란우데.png
울란우데
파일:세베로바이칼스크.gif
세베로바이칼스크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rowcolor=#fff>
파일:호린스키군.png
호린스크
파일:프리바이칼스키군.png
프리바이칼스크
파일:툰킨스키군.png
툰킨스크
파일:타르바가타이스키군.png
타르바가타이스크
파일:키진긴스키군.png
키진긴스크
파일:쿠룸칸스키군.png
쿠룸칸스크
파일:캬흐틴스키군.png
캬흐틴스크
파일:카반스키군.png
카반스크
파일:지딘스키군.png
지딘스크
파일:자카멘스키군.png
자카멘스크
파일:자이그라옙스키군.png
자이그라옙스크
파일:이볼긴스키군.png
이볼긴스크
파일:오킨스키군.png
오킨스크
파일:예바닌스키군.png
예바닌스크
파일:셀렌긴스키군.png
셀렌긴스크
파일:세베로바이칼스키군.gif
세베로바이칼스크
파일:비추르스키군.png
비추르스크
파일:바운톱스키군.gif
바운톱스크
파일:바르구진스키군.png
바르구진스크
파일:무호르시비르스키군.png
무호르시비르스크
파일:무이스키군.jpg
무이스크
}}}}}}}}}


하위행정구역은 2시 21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6. 경제

밀, 감자와 같은 농산물이나 목재, 가죽, 흑연 및 섬유 등이 주요 생산품이다. 어업, 사냥, 농업, 축산업, 광업 등이 주요 산업이고 도시화율은 60% 정도로 개발이 덜 된 시골 지역이 많다.

7.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리가 태어난 땅에 대한 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른 러시아의 공화국들처럼 국가가 있는데, 이름은 '국토의 노래'이다. 작사는 부랴트어의 경우 담다 잘사라예브,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올레그 드미트리예브가 하였으며, 작곡은 아나톨리 안드레예브가 하였다.

8. 여담

9. 관련 문서



[1] 한국의 3.5배에 달하며 일본 전체 면적에서 시코쿠를 뺀 정도와 비슷하다. [2] 중화인민공화국 내 부랴트인은 몽고족으로 분류되었다. [3] 특히 중국의 경우 1955년 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 운동을 한 이래 중소관계 본격적으로 엇나가기 시작했다. (부랴트 공화국의 국명 변경 바로 다음 해인) 1959년에는 중소합작 사업들이 전면 파기 되었다. 이 같은 험악한 분위기는 얼마 뒤 양국 간의 본격적인 무력분쟁으로 이어졌다. [4] 동러시아 쪽 자치공화국들 중에 지금까지도 유일하게 러시아인 비중이 낮아지고 있지 않은 나라는 하카시야 공화국 뿐이다. 하카시야는 사실 처음 구획된 것부터 조금 논란이 있다. 자세한 건 하카시야 공화국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9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9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