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5 23:07:03

미셸 앙리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셸러 · 레비나스 · 앙리
하이데거
실존주의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야스퍼스 · 마르셀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서구 마르크스주의: 루카치 · 블로흐 · 그람시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기타 공산주의: 바디우 · 지젝 · 네그리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라클라우 · 무페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아감벤 · 버틀러
21세기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굿맨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20세기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핸슨 ·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엘륄 · 라투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매클루언
정치철학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랜드 · 아롱 · 크리스톨 · 스트라우스 · 푀겔린 · 커크
윤리학 슈바이처 ·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레건 · 싱어 · 블랙번
인식론 게티어
법철학 드워킨
종교철학 부버 · 슈타인 · 니부어 · 지라르 ·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탈식민주의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나딩스 · 길리건 · 해러웨이 · 오킨 · 프레이저
생태주의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북친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미셸 앙리
Michel Henry
파일:michel-henry.jpg
출생 1922년 1월 10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하이퐁
사망 2002년 7월 3일 (향년 80세)
프랑스 알비
국적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직업 철학자
모교 파리 고등사범학교
파리 대학교
경력 몽펠리에 대학교 교수
분야 현상학, 윤리학

1. 개요2. 특징3. 주요저서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현상학자.

2. 특징

베트남 하이퐁에서 태어났다. 그의 철학은 대표적으로 에마뉘엘 레비나스, 자크 데리다 등으로 구분되는 '세계 밖의 현상학'으로 구분된다. 그는 에드문트 후설과 같은 의식이 지향이 되는 현상학을 하기보단, 후설의 내재적인 초월성이 아닌 나타남에서의 자기자신이 되는 초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의 철학은 마치 자기자신이 나타남 그 자체가 되기 때문에 후설이 만들어논 현상학의 의미를(사물이 '어떻게?'라고 의식으로 판단하는) 그저 완전히 '나타남'의 의미로 재해석하였고 덕분에 그는 선험적 조건이 아닌 자기자신의 실재적인 것을 파악하였기에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이론과 현상학을 잘 결합한 학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철학은 세계를 거부하고 자기자신과의 관계, 삶의 내재성 등을 이야기하기 때문에 삶의 현상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만 그렇기에 현상학의 의미를 완전히 다르게 해석시켰기 때문에 현상을 그것만으로 바꾸기엔 너무 신향적인 면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하다. 물론 거의 다 하이데거주의자들이겠지만서도.

3. 주요저서

주요 저서 중 한국에서 번역된 것으로는《야만》, 《물질현상학》, 《육화:살의 철학》 등이 있다. 한국에도 많은 저술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물질현상학》과 《육화: 살의 철학》은 번역이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