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6 23:24:55

무대예술전문인


국가전문자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법률 / 경제 법무부 ( 변호사) | 법원행정처 ( 법무사) | 특허청( 변리사) | 고용노동부 ( 공인노무사) | 행정안전부( 행정사)
관세청( 관세사 · 보세사) | 기획재정부 ( 세무사) | 금융위원회 ( 공인회계사) | 금융감독원 ( 보험계리사 · 보험중개사 · 손해사정사)
공정거래위원회 ( 가맹거래사) | 산업통상자원부 ( 유통관리사) | 중소벤처기업부 ( 경영지도사) | 국토교통부 ( 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물류관리사 · 주택관리사)
의료 / 복지 보건복지부 (장애인재활상담사 · 간호사 · 간호조무사 · 물리치료사 · 방사선사 · 보건교육사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 보조공학사 · 사회복지사 · 안경사 · 안마사 · 약사 · 언어재활사 · 영양사 · 요양보호사 · 위생사 · 응급구조사 · 의사 · 의지보조기기사 · 임상병리사 · 작업치료사 · 장례지도사 · 정신건강간호사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조산사 · 치과기공사 · 치과위생사 · 치과의사 · 한약사 · 한약조제사 · 한의사)
교육 교육부 (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실기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정교사 · 준교사 · 평생교육사)
보건복지부 ( 보육교사) | 여성가족부 ( 청소년상담사 · 청소년지도사)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문화체육관광부 ( 스포츠지도사 · 건강운동관리사 · 문화예술교육사 · 한국어교원) | 환경부 (환경교육사)
문화 문화체육관광부 ( 관광통역안내사 · 국내여행안내사 · 준학예사 · 호텔경영사 · 호텔관리사 · 호텔서비스사 · 경주심판 · 사서 · 무대예술전문인)
행정안전부 (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수리기술자)
운전 경찰청 (자동차운전기능검정원 · 자동차운전면허 · 자동차운전전문강사) | 해양경찰청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국토교통부 ( 버스운전자 · 조종사(사업용/운송용/자가용) · 경량항공기 조종사 · 철도차량 운전면허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 택시운전자격 · 항공교통관제사 · 항공기관사 · 항공사 · 항공운전관리사 · 항공정비사 · 화물운송종사자)
해양수산부 (고속구조정조종사 · 구명정조종사 · 기관사 · 도선사 · 소형선박조종사 · 수면비행선박조종사 · 운항사 · 통신사 · 항해사)
안전 / 환경 국방부 (국방무인기조작사 · 국방보안관리사 · 국방사업관리사 · 낙하산전문포장사 · 수중무인기조종사 · 수중발파사 · 심해잠수사 · 영상판독사 · 폭발물처리사 · 함정손상통제사 · 항공장구관리사 · 헬기정비사)
경찰청 ( (일반/기계/특수)경비지도사) | 국토교통부 ( 교통안전관리자) | 소방청 ( 소방안전관리자 · 소방시설관리사 · 소방안전교육사) | 해양경찰청 (수상구조사)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 원자로조종면허(감독자/취급자) · 핵연료물질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지도사)
고용노동부 (산업보건지도사 · 산업안전지도사 · 기업재난관리사) |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사 · 환경측정분석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무선통신사 · 아마추어무선기사) | 국토교통부 (건축물에너지평가사 · 건축사)
농업 / 식품 농림축산식품부 (경매사 · 농산물품질관리사 · 손해평가사 · 가축인공수정사 · 농산물검사원 · 말조련사 · 수의사 · 장제사 · 재활승마지도사)
산림청 (산림치유지도사 · 나무의사 · 목구조관리기술자 · 목구조시공관리자 · 목재교육전문가 · 산림교육전문가 · 수목치료기술자)
해양수산부 ( 수산질병관리사 · 감정사 · 검량사 · 검수사 · 수산물품질관리사) | 환경부 (정수시설운영관리사)
}}}}}}}}} ||

1. 개요2. 설명3. 제도 도입 배경4. 제도 시행 목적5. 제도 개요

1. 개요

문화 체육 관광부에서 실시하는 국가자격 검정 시험을 통하여 무대 기계ㆍ무대 조명ㆍ무대 음향 분야에서 공연을 위한 기술적 능력을 인정받은 사람.

2. 설명

무대예술전문인이란 문화관광부에서 1999년 5월 무대예술전문인 양성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무대음향, 무대조명, 무대기계 분야에 국가자격인증제를 도입하면서 생겨난 전문 인력을 의미한다.
무대예술전문인 국가자격증은 문화관광부 소속의 무대예술전문인 자격검정위원회에서 주관하며, 무대기계[1]전문인, 무대조명전문인, 무대음향전문인 분야로 각각 3급에서 1급까지 3단계로 발급된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실무경력이 최소 2년[2] 이상이어야 하므로 매우 까다롭다.
시험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실기시험이 있는데, 실기시험의 중점 평가사항으로 장치 및 설비의 운영 및 조작능력, 실기시험 문제에 대한 판독능력 및 조처능력, 조작능력의 수월성 및 완벽성, 장비에 관한 지식과 그 응용 능력, 장비 및 장비 운용상의 문제 해결능력이 있다.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증 취득 후의 진출분야와 전망으로는 각종 이벤트 업체나 공연에 관계된 공연스텝이나 공연장 근무를 할 수 있다. 또한 정부가 무대예술분야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취지에서 지난해 공연법을 개정하여 2002년부터 500석 이상의 국, 공립 공연장은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증 소지자 3명[3]을 의무 채용하도록 하여 진출분야가 확대될 전망이다.
무대예술전문인 자격검정위원회 홈페이지는 https://www.staff.or.kr이며, 한국예술종합학교를 거쳐 국립중앙극장이 자격검정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하고 있다.

3. 제도 도입 배경

1999년 5월 무대기계 . 무대조명 . 무대음향분야의 무대예술전문인 국가자격제 도입을 통하여 무대예술분야 전문인력 확충과 저변확대를 기하고자 공연법 제14조에서 동 자격제 도입

4. 제도 시행 목적

무대예술전문인 제도를 통하여 무대예술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무대예술의 부문간 지역간 균형 발전을 증진
무대예술전문인들 간의 활발한 교류와 경쟁을 통하여 무대예술분야의 기술향상 지향
무대예술종사자의 사기양양 및 자긍심을 고취하며, 우수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공연 예술의 완성도 제고 및 전국 국 . 공립 공연장에 무대예술전문인을 의무 배치하여 극장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 증진

5. 제도 개요

검정기관 : 국립중앙극장(2004.1.1지정)
자격명칭 : 무대예술전문인
자격분야 : 무대기계 . 무대조명 . 무대음향
자격등급 : 자격분야별 1급, 2급, 3급
자격부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명의의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증 부여
무대예술전문인 의무배치 : 객석 500석 이상의 공공 공연장
관련법령 : 공연법 제13조, 제1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1조~제18조
[1] 무대장치 포함 [2] 2급기준 [3] 기계, 음향, 조명 분야별 1인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