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茶)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종류 | <colbgcolor=#b5be83> 녹차 | 우전차 · 세작 · 호지 · 아타이 |
청차 | 우롱차 | ||
홍차 | 다즐링 · 밀크티 · 버블티 · 아삼 · 일월담 · 짜이 · 차옌 · 차이 ( 리제) | ||
흑차 | 보이차 · 청태전 | ||
탄산발효 | 콤부차 | ||
제조 | 제법 | 말차 · 엽차 | |
다구 | 다관 ( 사모바르 · 자사호 · 탕관) · 찻잔 ( 개완 · 다완) · 스트레이너 · 티백 | ||
차 문화 | 다과 · 다과회 · 다례 · 다방 · 티타임 | ||
대용차 | |||
<colbgcolor=#e3e6d0><colcolor=#5f6732>ㄱ | <colcolor=#000,#fff> 가지차 · 감잎차 · 감초차 · 강죽차 · 개암차 · 결명자차 · 계지차 · 계화차 · 고삼차 · 곽향차 · 구기자차 · 국화차 · 귤피차 · 귤화차 · 길경차 · 꿀물 | ||
ㄴ~ㄷ | 냉이차 · 냉차 · 노각차 · 녹두차 · 누룽지차 · 당귀차 · 당근차 · 대나무차 · 대추차 · 대파차 · 더덕차 · 도화차 · 돌배차 · 동백차 · 동아차 · 돼지감자차 · 두충차 · 두향차 · 둥굴레차 · 들깨차 · 딸기차 · 땅콩차 | ||
ㄹ~ㅂ | 레몬차 · 루이보스차 · 마늘차 · 마름차 · 매실차 · 매화차 · 머위차 · 메밀차 · 모과차 · 목련차 · 목향차 · 무잎차 · 민들레차 · 방풍차 · 버섯차 · 벚꽃차 · 보리차 · 복령차 · 복숭아차 · 비트차 · 비파차 | ||
ㅅ | 사과차 · 산약차 · 삽주차 · 상지차 · 새삼차 · 생강차 · 석류차 · 설차 · 소태차 · 속단차 · 솔잎차 · 송담차 · 송화차 · 수박차 · 수수차 · 수유차 · 시호차 · 쌍화차 · 쑥차 | ||
ㅇ | 아욱차 · 앵두차 · 양파차 · 여주차 · 연근차 · 연잎차 · 영지차 · 예르바 마떼 · 오디차 · 오미자차 · 오이차 · 옥수수수염차 · 옥수수차 · 와송차 · 우슬차 · 우엉차 · 울금차 · 원지차 · 유자차 · 율무차 · 으름차 · 은행차 · 인동차 · 인삼차 · 잇꽃차 | ||
ㅈ~ㅊ | 자두차 · 자몽차 · 자색옥수수차 · 자소차 · 작두콩차 · 작약차 · 잔대차 · 장미차 · 재스민차 · 지황차 · 참깨차 · 참외차 · 창포차 · 치자차 · 치커리차 | ||
ㅌ~ㅎ | 탱자차 · 토란차 · 파인애플차 · 팥차 · 포도차 · 한라봉차 · 해바라기차 · 허브차 · 헛개나무차 · 현미차 · 형개차 · 호두차 · 호박차 · 홍삼차 · 황기차 · 후박차 · 후추차 · 히비스커스차 | }}}}}}}}} |
1. 개요
모과로 만든 차.2. 상세
모과차를 만들 때에는 유자차와 비슷한 방법으로 만드는데, 모과 열매를 2mm 두께로 얇게 썰어 말려두었다가 생강 1쪽과 함께 끓이거나, 살짝 삶아낸 뒤 꿀이나 설탕에 재었다가 뜨거운 물에 넣어 마시면 된다. 또 말린 모과를 깨끗하게 씻은 후 대추와 함께 끓여서 건더기는 걸러내고 물 대용으로 마시면 모과의 효능을 톡톡히 경험할 수 있다.다른 방법으로는 유자 청을 만드는 것처럼 잘 씻은 모과를 얇고 납작하게 썰거나 채를 쳐서 설탕과 1:1의 비율로 번갈아서 습기를 제거한 깨끗한 유리병에 쟁여놓았다가 즙과 모과를 함께 떠서 기호에 따라 찬 물이나 따뜻한 물에 넣어 마셔도 된다. 참고로 모과청을 만들 때는 절대 벌꿀을 써서는 안되는데, 모과에 있는 타닌 성분이 꿀의 철분과 결합해 바닥에 가라앉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과청을 만들 때는 넣지 말고, 나중에 물에 탈 때 기호에 따라 적정량의 꿀을 더하자. 사실 꿀은 모과에 있는 타닌으로 인한 떫은 맛의 중화를 위해 넣기 때문에 꿀을 넣지 않고 먹는 사람도 많다.
어떤 방법으로 만들더라도 일단 모과를 얇게 썰어야 하는데 모과는 독특한 목질의 과육을 가지고 있어 과일 중에서도 가장 썰기 힘든 축에 들기 때문에[1] 만들고 나면 진이 빠진다. 보존식에 가깝기 때문에 모과차는 한 번에 많이 만드는 것이 보통인데 한 바구니 정도의 모과를 채썰고 나면 손에 물집이 잡히고 손목이 남아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모과차의 경우 유자차랑 다르게 향이 없는 맹탕이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설탕물 맛이 나면서 모과의 특유의 맛이 미세하게 나기도 한다.
3. 쓰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모과차는 소화 촉진 기능이 있어 식후에 마시면 좋은 음료이며, 또한 음식을 잘못 먹고 설사가 났을 때 이를 멈추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앞서 설명했듯, 모과는 기관지 질환에 탁월해서, 감기약이나 가래를 제거하는 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신경통에 좋다고 알려진 한약재인 우슬과 궁합이 좋다고 한다.
유자차처럼 마멀레이드 대용으로 쓸 수도 있다. 사실 마멀레이드란 단어 자체가 유럽모과[2]로도 불리는 마르멜로(Marmelo)에서 온 말이다.
[1]
야자열매 등에 비해서는 자르기 쉽겠지만 애초에 이쪽은 자를 때 도끼에 가까운 마체테를 쓰거나, 아예 도끼나 공구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2]
Cydonia oblonga이며 모과와는 속 단위에서부터 갈리는 완전히 다른 과일임에도 풍미와 용도가 동아시아 모과랑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