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1:15:49

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명조: 워더링 웨이브
파일:명조_이펙트_long_left.png 파일:명조로고kr.png 파일:명조_이펙트_long_right.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명조_음성 아이콘(crop).png
세계관

스토리 • 등장인물 설정 지역

이벤트 • 상점 • 선약 방송국 튜닝 ( 캐릭터 이벤트 무기 이벤트) 공명자 • 파티 편성 • 데이터 스테이션 • 솔라리스 가이드 • 임무 ( 조수 • 얽힌 별) • 업적 • 지도 • 탐색 모듈
파일:명조_음성 아이콘(crop).png
콘텐츠

전투 • 탐사 • 사운드 박스 • 응소의 영역 • 시뮬레이션 영역 • 강적 토벌 • 무음 소탕 • 군가의 중주 • 역경의 탑 신비한 경지 홀로그램 전략 ( 강습)

무기 ( 대검 직검 권총 권갑 증폭기) 에코 보급 자원 재료 • 임무 • 특수
파일:명조_음성 아이콘(crop).png
기타

출시 전 정보 트레일러 컨셉아트 OST 업데이트 평가 흥행 논란 및 사건 사고 갤러리 채널
}}}}}}}}} ||


1. 개요2. 종류
2.1. 잔상2.2. 인간
3. 해일급
3.1. 무망자3.2. 타종 거북이3.3. 스카3.4. 용의 별자리
4. 노도급
4.1. 크라운리스4.2. 천둥의 비늘4.3. 뇌운의 비늘4.4. 지옥불 기사4.5. 폭주의 고릴라4.6. 애곡하는 아익스4.7. 음험한 백로4.8. 반디의 군세4.9. 조립식 로봇
5. 거랑급
5.1. 거암 투사5.2. 보라색 왜가리5.3. 초록색 왜가리5.4. 마접의 악사5.5. 초혼의 악사5.6. 불굴의 호위5.7. 심연의 위병5.8. 그린멜팅카멜레온5.9. 가시장미버섯(성체)5.10. 갈기늑대·암흑5.11. 시끄러운 원숭이5.12. 화살곰5.13. 트랜스카5.14. 추방자 두목5.15. 추방자 장인5.16. 처형자5.17. 조급한 까부는 원숭이5.18. 경전차 로봇
6. 경파급
6.1. 선봉 암괴6.2. 분열 암괴6.3. 경칩의 사냥꾼6.4. 상강의 사냥꾼6.5. 부메랑 사냥꾼6.6. 오열하는 전사6.7. 심판하는 전사6.8. 칵찰찰6.9. 아즈즈6.10. 후슈슈6.11. 우글글6.12. 꾹꾹복어6.13. 쮸쮸복어6.14. 응결 프리즘6.15. 용융 프리즘6.16. 회절 프리즘6.17. 인멸 프리즘6.18. 순회나비6.19. 쇄아멧돼지6.20. 두더지6.21. 그린멜팅카멜레온(유체)6.22. 가시장미버섯(유체)6.23. 추방자6.24. 돌 투척한 원숭이6.25. 결정화 전갈6.26. 서릿땅거북6.27. 갈기늑대·불꽃6.28. 잔성·사이보그 해머링맨6.29. 날카로운 발톱의 어린 원숭이6.30. 잔성·사이보그 마스크맨6.31. 잔성·사이보그 건맨6.32. 신호등 로봇

[clearfix]

1. 개요

명조: 워더링 웨이브》의 적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적의 위험 등급은 총 4단계로 나뉘며, 경파급/거랑급/노도급/해일급 순서로 강해진다. 이 중 거랑급 이하는 필드에 널리 분포되어있는 몬스터이며 노도급은 특정 구역의 필드 보스, 해일급은 주간 보스이다.

등급에 따른 에코 정보는 데이터 스테이션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

2. 종류

2.1. 잔상

파일:명조_정보_잔상.jpg
Tacet Discord
잔상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비명 이후에 탄생해 인류의 적이 된 미증유의 존재들. 혼란스러운 주파수 에너지로 구성된 유사 생명체로서 특수 구조인 「성핵」을 가지고 있다. 잔상의 본능은 다른 주파수를 흡수 병합함으로써 자신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심지어는 진화하려는 것으로 사냥과 포식에 집착하는 행동 패턴을 보인다. 그들의 능력, 외형, 행동은 주파수 구성의 차이로 인해 달라지며, 형태가 매우 다양하긴 하지만 대부분은 사람과 비슷한 형태다.||

사실상 인류의 적이지만, 그래도 일부는 통제하거나 길들이는게 가능한 건지 퀘스트 중에 한 npc가 원숭이와 함께 연구를 하는 모습이 나온다. 물론 그 원숭이가 특별한 거일 수도 있고 설령 다른 잔상들도 가능하다 해도 인간형의 경우 잔상회를 제외하면 잔상을 이용하거나 함께하는 건 공명자가 에코로 써먹는 것 외엔 드러난 바가 없다.

간혹 특수몬스터로 붉은 잔상(엘리트)이 존재한다. 이들은 솔라리스 랭크에 상관없이 고정된 레벨로 나온다 트랜스카같이 레벨 25로 나오는 약한 것들도 있지만 레벨 100을 넘는 강력한 잔상들도 나온다. 다만 이들은 다행히도 랭크에 따라 레벨이 오르지 않으니 충분히 성장하고 잡아보자.

에코의 형태로 흡수하여 각 공명자에게 장착할 수 있다.

잔상도 생태계가 있단걸 보여주려는 건지, 필드를 돌아다니다 보면 간혹 잔상들끼리 싸우는 모습이 나온다. 이 경우 잔상이 다른 잔상을 죽여도 플레이어한테 전리품이 들어온다.

2.2. 인간

주로 추방자와 잔상회가 나온다.
이 외에도 아군 전용으로 금주의 병사들이 있으며 간혹 병사들과 추방자, 병사들과 잔상들, 추방자들과 잔상들끼리 싸우는 모습이 나온다. 흩어져서 1대1로 싸우는 상황이 아니고서야 대개 총을 든 병사들이 승리한다.

당연하지만 잔상이 아닌 인간이니 에코가 나오지 않으며 추방자들은 간혹 중립 혹은 우호적인 때도 있어 npc로 나오거나 아군으로 등장한다.

3. 해일급

해일급들은 전부 주간보스로 나온다.

3.1. 무망자

파일:명조 무망자 공식.jp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무망자,
중국명칭=无妄者,
영어명칭=Dreamless,

등급=해일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쌍월 이상 현상과 함께 북락 광야에 나타난 의음종 잔상이다. 체내에 전장에 남겨진 대량의 주파수 에너지가 융합되어 있으며\, 지금도 계속해서 집어삼키며 진화하고 있다. 곧 완전체로 부화하려는 적은 이를 최강의 칼날로 여기고\, 북락 광야에 아무런 연민도 없이 파멸의 씨앗을 뿌리며 인류가 전쟁에 대한 가장 원초적인 공포를 다시금 일깨워줬다.<br>그는은 여기에서 자신의 왕의 강림을 기다리고 있다,

표시=무망자,
HP=929169,
공격력=5528,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54107897,
폭주최대치=79519593,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4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무망의 깃털,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무망자,
코드=H81,
코스트=4,
빛을삼키는해=,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무망자로 변신한 후 전방의 목표를 6회 연속 공격한다. 처음 1~5회까지 매회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38.87%/43.94%/49.01%/54.08%</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히고 마지막 1회는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194.35%/219.70%/245.05%/270.40%</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힌다.<br>방랑자 · 인멸은 공명 해방 · 임연사적을 발동한 후 5초 이내에\, 해당 에코 어빌리티 발동으로 인한 피해가 50.00% 증가한다.,
쿨타임=20초,
)]

3.2. 타종 거북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타종 거북이,
중국명칭=鸣钟之龟,
영어명칭=Bell-Borne Geochelone,

등급=해일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차가운 못에 칩거한 거대한 거북이가 고종을 싣고 잠들었다.<br>거북이 등의 고종에 새겨진 명문을 필사하려는 연구자가 있었는데\, 그들의 행동은 뜻밖에도 거대한 거북이의 수면을 방해하였다.<br>이로 인해 거북이가 깨어날 때마다 운릉 협곡에는 긴 종소리가 울려 퍼졌다,

표시= 타종 거북이 · 과거의 찬송,
HP=548267,
공격력=4020,
방어력=1568,
공진최대치=68065400,
폭주최대치=54844036,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4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비문 고종,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타종 거북이,
코드=H91,
코스트=4,
떠오르는구름=,
찬란한광휘=,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타종 거북이의 가호를 발동하며 근처의 적에게 자신의 방어력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104.88%/118.56%/132.24%/145.92%</span>의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를 가하고 타종의 실드를 획득한다. (지속 시간: 15초\)<br>타종의 실드는 파티 내 캐릭터에게 50.00%의 피해 감소와 10.00%의 피해 증가를 제공하며\, 3회 공격을 받은 후 사라진다.,
쿨타임=20초,
)]
해일급 적 중에서 유일하게 메인 스토리와 관련이 없으며 고유 던전 없이 필드에 리젠되는 형식의 보스이다.

에코 세트 옵션이 1개 뿐인 다른 보스 에코와 다르게 타종 거북이는 떠오르는 구름 세트와 찬란한 광휘 세트의 두 가지 세트 옵션이 나올 수 있다. 각 세트 채용시 요구되는 능력치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1] 원하는 세트의 원하는 주옵이 안나오기로 악명이 높은 보스이다.

3.3. 스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스카,
중국명칭=伤痕,
영어명칭=Scar,
등급=해일급,

저항여부=,
설명=잔성회 회감의 일원.<br>오버클럭을 즐기는 이류로\, 모든 아름다움과 질서를 아무것도 없는 "무(無)”로 여기고\, 세상 사람들이 고통스럽게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는 것을 인생의 낙으로 삼으며\, 폭발하는 혼란 속의 피비린내 나는 난장판을 광적으로 열광한다.<br>규칙을 지키지 않으며\, 명리를 추구하지도 않으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도 않는다.<br>그의 마음속 깊은 곳에는 전무후무한 세계적인 대공황이라는 뚜렷한 목표가 자리 잡고 있다.<br>그에게 있어 진정한 세계란 초토화 즉\, 세상의 멸망이 바로 새로운 생명이다,

표시= 스카 · 얽혀진 암흑,
HP=755868,
공격력=4054,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35870251,
폭주최대치=68052781,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4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끊임없는 파괴,
)]

유일한 인간 보스. 당연하지만 잔상이 아니니 에코로 흡수할 수 없다.

3.4. 용의 별자리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용의 별자리,
중국명칭=角,
영어명칭=Jué,

등급=해일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br>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황룡 수호신 중 하나로\, 금주 문명의 선도자이다.<br>위엄 있고 의심의 여지가 없는 「신」으로\, 금주의 과거\, 현재\, 미래를 꿰뚫고 있다. 「용의 별자리」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시간의 흐름은 항상 그의 곁에 있으며\, 세월은 그에게 그저 창해일속일 따름이다. 하루아침에 구름을 타고 하늘로 승천하면\, 한순간만에 세월이 많이 흘려 만물을 변하도다.<br>「사계절이 질서가 있고\, 만물이 규칙이 있느니라\, 이는 하늘의 도리이다.」,

표시=???,
HP=890274,
공격력=3551,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54107897,
폭주최대치=86434340,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4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4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사계의 각사,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용의 별자리,
코드=Z01,
코스트=4,
빛나는별=,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용의 별자리」를 소환해 하늘로 하늘로 날아올라 목표에게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34.96%/39.52%/44.08%/48.64%</span>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힌다. 동시에 벼락을 방출하며\, 벼락은 주변 목표에게 1단마다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13.98%/15.81%/17.63%/19.46%</span>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힌다. 이어 「용의 별자리」는 아래쪽으로 빙빙 돌며 주변 적을 공격하여 두 번 연속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34.96%/39.52%/44.08%/48.64%</span>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힌다.<br>이 에코 어빌리티를 장착한 캐릭터는 6초마다 「세월의 축복」 1층을 획득하며\, 최대 3층 중첩이 가능하다. 캐릭터가 공명 스킬 발동 시\, 「세월의 축복」 1층을 소모하여 주변 적에게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46.00%/52.00%/58.00%/64.00%</span>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1회 입히고\, 명중된 목표가 1초마다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11.50%/13.00%/14.50%/16.00%</span>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1회 입히며\, 6초 간 지속되고\, 3층까지 중첩이 가능하다. 발동 중첩 시 지속 시간을 연장하게 된다. 「세월의 축복」 소모로 가한 피해가 공명 스킬 피해로 적용된다.,
쿨타임=20초,
)]

4. 노도급

노도급들은 전부 필드보스로 나온다. 또한 헤일급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속성에는 높은 저항 수치를 가져 딜러와 노도급의 속성이 겹친다면 잡는 시간이 늘어지기 때문에 빠른 파밍을 위해선 속성이 다른 2명 이상의 메인 딜러가 요구되는 이유가 된다.

4.1. 크라운리스

파일:명조 크라운리스 공식.jp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크라운리스,
중국명칭=无冠者,
영어명칭=Crownless,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갑자기 나타난 신비로운 무음구역와 함께 운릉 협곡 밖에서 태어난 의음종 잔상이다. 체내에 수많은 인간 주파수가 융합되어 있음을 감지하고\, 승리에 대한 흥분과 갈망\, 전장에서의 죽음에 대한 공포와 원망… 뼈와 피 속에 억눌려 있던 인류의 투혼은 자신에 대한 시련으로 변모했다. 이것의 존재는 어두운 곳에 칩거하는 적으로부터 파견된 병졸이며\, 끝없는 전화의 전조이기도 하다,

표시=크라운리스 · 초생의 욕망,
HP=298198,
공격력=2010,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56182321,
폭주최대치=27982253,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4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분쟁의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크라운리스,
코드=H80,
코스트=4,
빛을삼키는해=,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크라운리스로 변신한 후 최대 4회 연속 사용 가능하다. 처음 1~2회차에는 1단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96.37%/108.94%/121.51%/134.08%</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히며\, 3회차는 2단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72.28%/81.71%/91.13%/100.56%</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히고\, 4회차에는 3단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48.19%/54.47%/60.76%/67.04%</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힌다.<br>변신 후 자신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 보너스</span>가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12.00%</span> 증가하며\, 공명 스킬 피해 보너스가 12.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 펼치기 · 접기 ]
* 1.탐색
크라운리스는 망토를 두른 모습으로 등장하여, 근접 격투술을 활용해 첫 페이즈를 진행합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1.gif
첫 페이즈에서 보여 주는 각종 공격들은 속도가 느린 편으로, 주먹을 지르기 전과 후의 딜레이가 비교적 긴 탓에 헛점이 많아
반격의 타이밍을 잡기가 수월합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2.gif
또한 회피 동작도 느긋한 편이라서, 오히려 방랑자를 탐색하며 도발하고 있다는 느낌에 가까운 인상을 줍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3.gif
그러나 이것이 크라운리스가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자세를 웅크린 크라운리스는 자신의 주먹을 중심으로 하여
지면에 넓은 범위의 충격파를 터뜨릴 수 있습니다. 해당 기술은 전조가 명확하여 미리 대비할 수는 있지만, 범위가 넓은 편에
속하여 한 순간의 방심으로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4.gif
크라운리스는 방랑자가 깨어난 뒤 처음으로 조우하는 강적이기 때문에 적응 시간이 다소 필요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상대의
움직임에 익숙해지고, 공격과 회피 타이밍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게 해 줍니다. 해당 페이즈를 진행한 방랑자는 전투 감각을 보다
수월히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2.고조
앞서 워밍업을 거친 크라운리스는 실력 있는 호적수에게 관심이 동하여 피가 끓어오르고, 전투 또한 두 번째 페이즈로 접어들게
됩니다. 그리고 전투 방식에도 여러가지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대기 동작은 이전의 교과서와 같던 자세에서
복서와 비슷한 포즈로 변하며, 언제든 공격과 회피를 해낼 수 있도록 더욱 날카로우면서도 진지한 자세로 전투에 임하게 됩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5.gif
끝없는 전쟁 속에서 연마된 그의 무술은, 끊임없이 발전하여 더더욱 능수능란해졌습니다.
전쟁 기계로서의 크라운리스가 사용하는 기술은, 하나하나가 군더더기 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살인 기술입니다.
치고 들어오는 움직임은 더더욱 민첩해지고 회피하기 어려워졌으며, 연계되는 공격 또한 늘어났습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6.gif
힘을 모은 뒤 전방을 향해 파괴적인 일격을 날리는 기술은 비록 위력은 강력하나, 제자리에 있는 시간이 긴 탓에 타이밍을 잘
잡으면 방랑자가 반격하기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7.gif
해당 페이즈에서의 크라운리스는 인류의 전투 방식을 더욱 많이 활용합니다. 크라운리스가 활용하는 복싱 스타일의 포즈와 각종의
근접 박투술을 통해, 우리는 해당 개체가 지닌 인류에 대한 빠른 학습 및 모방 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광폭
전투로 인해 파손된 망토가 완전히 사라지면, 한 쌍의 거대한 날개가 그 자리를 대체합니다. 이때부터 크라운리스는 랜스를
불러내어, 진정한 기사와도 같은 자세로 방랑자와 최후의 사투를 벌이게 됩니다. 해당 페이즈에서는 전투 방식이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손발을 사용하던 근접 박투술 대신 훨씬 위협적인 창술을 사용하게 되며, 솟아난 날개를 이용해 공중에서도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크라운리스가 랜스를 가로로 크게 휘두르면, 방랑자들은 보통 첫 공격은 깔끔하게 피해내지만 곧바로
뒤따라오는 두 차례의 공격에 큰 피해를 입게 되곤 합니다. 또한 공격 범위는 도합 세 차례의 공격 중 점점 늘어나며, 이에 따라
방랑자의 회피 타이밍 또한 더욱 빠듯해지게 됩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8.gif
랜스를 이용한 공격 외에도, 크라운리스는 가끔 날카로운 깃털을 빠르게 쏘아내 방랑자를 기습하곤 합니다. 비록 기사다운 행위는
아니나, 광폭한 상태의 크라운리스는 승리를 위해서라면 수단을 가리지 않습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9.gif
공중으로부터의 공격은 지면에서의 공격보다 더욱 위협적입니다. 공격의 방향도 유연하며, 그 범위와 속도 또한 현저히 상승하여
극도로 치명적으로 변합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10.gif
파일:크라운리스 모션11.gif
이때부터는 창을 가로로 휩쓰는 횟수가 늘어나는 데다가 칼날처럼 날카로운 날개까지 활용하여 몰아치듯 공격하게 되므로,
방랑자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계속해서 쉴 새 없이 움직여야만 할 것입니다. 또한 공중으로 날아오른 날개는 랜스의 공격을 도울
뿐만 아니라, 기존의 깃털 대신 그보다 더욱 넓은 범위의 폭풍을 일으켜 방랑자를 공격하기도 합니다.
파일:크라운리스 모션12.gif
힘겨운 전투가 끝나고 나면, 크라운리스는 방랑자의 검 아래에 쓰러집니다. 크라운리스는 결국 자신의 '왕관'을 되찾지 못했습니다.
그 왕관이란 아이에게 있어선 성인이 되기 위해 진행하는 '관례'이자, 인류에 대한 크라운리스의 첫 흉내이기도 합니다.
크라운리스가 인류의 것을 모방한 것이 아닌 자신만의 '왕관'을 가지게 되는 날은, 어쩌면 인류를 진정으로 이해한 뒤에야
찾아오지 않을까요. 이번 전투는, 방랑자와 크라운리스의 첫 만남에 불과할 뿐입니다.

4.2. 천둥의 비늘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천둥의 비늘,
중국명칭=朔雷之鳞,
영어명칭=Tempest Mephis,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잡석 고지를 거점으로 한 강력한 잔상\, 번개의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크라운리스의 선봉장 중 하나로 간주한다,

표시= 천둥의 비늘 · 천둥의 비통,
HP=608066,
공격력=502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44471764,
폭주최대치=54881052,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4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벼락의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천둥의 비늘,
코드=W75,
코스트=4,
울려퍼지는뇌음=,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천둥의 비늘로 변신한다. (최대 연속 사용 가능 횟수: 2회) 꼬리 흔들기로 소환한 번개 공격은 각 단마다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73.66%/83.27%/92.87%/102.48%</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발톱 공격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126.27%/142.74%/159.21%/175.68%</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힌다.<br>발톱 공격 명중 후 캐릭터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 보너스</span>는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12.00%</span>\, 강공격 피해 보너스는 12.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뇌운의 비늘과 함께 플레이어의 패리실력을 평가하는 보스다
대부분의 공격에 패리 가능 판정이 있으며 이 공격들을 자주 사용한다 따라서 패리 성능이 좋은 캐릭터들로 파티를 구성하여 도전하는 것이 좋으며, 전도 저항이 높아 카카루, 음림과 같은 전도 딜러들은 불리하다

4.3. 뇌운의 비늘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뇌운의 비늘,
중국명칭=云闪之鳞,
영어명칭=Thundering Mephis,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잡석 고지에 있는 강력한 잔상\, 번개를 제어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으며\, 크라운리스의 선봉 중 하나로 간주된다,

표시= 뇌운의 비늘 · 천둥의 비통,
HP=755868,
공격력=6600,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55145109,
폭주최대치=68052781,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4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번개의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뇌운의 비늘,
코드=W76,
코스트=4,
울려퍼지는뇌음=,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뇌운의 비늘로 변신한 후 최대 6회 연속 공격이 가능하다. 처음 5회는 각각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95.31%/107.74%/120.18%/132.61%</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히고\, 마무리 한방으로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136.16%/153.92%/171.68%/189.44%</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히며\, 낙뢰는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22.69%/25.65%/28.61%/31.57%</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힌다.<br>마무리 한방으로 목표 명중 시\, 캐릭터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 보너스</span>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12.00%</span> 증가하고\, 공명 해방 피해 보너스가 12.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4.4. 지옥불 기사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지옥불 기사,
중국명칭=燎照之骑,
영어명칭=Inferno Rider,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용융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귀허항시에서 탄생한 기사는 멈추지 않는 불길로 침입자들의 용기를 시험한다.<br>긴 세월 동안 역사의 진실은 불타 없어지고\, 죽음을 향해 힘차게 나아갔던 기사들은 점차 인간의 입에서 공포를 주는 사자로 변해갔다.<br>「그것은 두려움을 연료로 만드는 재난을 가져오는 기사이다.」<br>하지만 잃어버린 땅에 남겨진 원주민들의 잡담 사이에 또 다른 소문이 슬그머니 퍼져나갔다.<br>「그 기사와 마주한다면 두려움을 거두고\, 가장 숭고한 경의를 표하며 죽음을 향한 당신이 용기를 그에게 증명하시오.」,

표시= 지옥불 기사 · 화염의 화신,
HP=770994,
공격력=445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48230362,
폭주최대치=34697769,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4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분노의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지옥불 기사,
코드=W77,
코스트=4,
솟구치는용암=,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지옥불 기사로 변신한 후 참격을 발동한다. (최대 연속 사용 가능 횟수: 3회) 각각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174.23%/196.95%/219.68%/242.40%</span>\,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203.26%/229.78%/256.29%/282.80%</span>\,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203.26%/229.78%/256.29%/282.80%</span>의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용융 피해</span>를 입힌다.<br>마지막 공격이 적에게 명중하면 캐릭터의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용융 피해 보너스</span>가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12.00%</span> 증가하며\, 일반 공격 피해 보너스가 12.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br>에코 어빌리티를 길게 누르면 계속 지옥불 기사로 변신하여 라이딩 상태가 되며\, 종료 시 전방 목표에게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203.26%/229.78%/256.29%/282.80%</span>의 <span style="color: #e03e2d; font-weight:bold">용융 피해</span>를 1회 입힌다.,
쿨타임=20초,
)]

4.5. 폭주의 고릴라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폭주의 고릴라,
중국명칭=飞廉之猩,
영어명칭=Feilian Beringal,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중앙 거목에 서식하는 거대한 의태 고릴라는 원숭이 무리의 영지를 보호하며\, 침입자에 대해 강한 적개심을 보인다.<br>야귀와 화서연구원은 폭주한 고릴라와의 충돌을 피하면서 그가 숲에서 살아가는 모습 및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그에게 위치 팔찌를 채우려는 특수 작전을 수행하였다,

표시=폭주의 고릴라 · 죄악의 곤수,
HP=745928,
공격력=579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6482576,
폭주최대치=37309383,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4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울부짖는 바위주먹,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폭주의 고릴라,
코드=H71,
코스트=4,
스쳐가는바람=,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폭주의 고릴라로 변신한 후 발차기 공격을 진행하며 명중 시 추격 1회가 추가된다. 발차기 공격은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166.64%/188.37%/210.11%/231.84%</span>의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를 입히며\, 추격은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203.67%/230.23%/256.80%/283.36%</span>의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를 입힌다.
추격으로 목표 명중 후\, 자신의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 보너스</span>가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12.00%</span> 증가하며\, 강공격 피해 보너스가 12.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4.6. 애곡하는 아익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애곡하는 아익스,
중국명칭=哀声鸷,
영어명칭=Mourning Aix,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울음새 늪에 있는 의태 아익스\, 그의 흐느낌은 애절하고 슬픈 노래와 비슷하다.<br>전설에 따르면 애곡하는 아익스는 한때 짝을 지어 아름다운 소리를 냈다고 한다. 두 쌍의 아익스에 대한 옛 명칭은 이미 알 수 없지만 그 노랫소리와 운율은 인간에 의해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br>한 마리가 세상을 떠난 그 순간부터\, 살아남은 아익스는 하루 종일 슬프고 처량하고 울고 울어 애곡하는 아익스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br>사랑하는 연인을 잃은 슬픔으로 나날이 포악해진 아익스는 그 누구도 옛사랑의 흔적이 남은 둥지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하기 위해 하늘을 빙빙 돌며 구름 속에서 죽은 연인의 환영을 쫓고 있다,

표시=애곡하는 아익스 · 무한한 그리움,
HP=716109,
공격력=5193,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34573736,
폭주최대치=64470942,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4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애가의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애곡하는 아익스,
코드=H73,
코스트=4,
빛나는별=,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애곡하는 아익스로 변신한 후 두번 연속의 발톱 공격을 발동하여 각각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113.16%/127.92%/142.68%/157.44%</span>\,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169.74%/191.88%/214.02%/236.16%</span>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힌다.<br>에코 모습으로 변신한 후 캐릭터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 보너스</span>가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12.00%</span> 증가하며\, 공명 해방 피해 보너스가 12.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4.7. 음험한 백로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음험한 백로,
중국명칭=无常凶鹭,
영어명칭=Impermanence Heron,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잡석 고지에서 서식하는 거대한 의태 새로써 세 개의 머리는 각각 섭식\, 공격 그리고 경계 임무를 맡고 있다.<br>머리가 셋인 이 새는 「왼쪽은 멍청하고\, 오른쪽은 나쁘며\, 중앙의 머리가 가장 골칫거리이다」\, 금주의 동요에서 이처럼 묘사되고 있다,

표시=음험한 백로 · 무상의 길,
HP=691043,
공격력=5361,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42918972,
폭주최대치=62204634,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4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파괴의 깃털,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음험한 백로,
코드=H72,
코스트=4,
떠오르는구름=,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음험한 백로로 변신한 후 날아올라 내리찍기 공격으로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223.22%/252.33%/281.45%/310.56%</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힌다.<br>에코 어빌리티를 길게 눌러 변신한 모습으로 날아오른 후 아래로 인멸 화염을 퍼붓는다. 각 단의 공격마다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40.05%/45.28%/50.50%/55.73%</span>의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를 입힌다.<br>변신 후 적에게 첫 명중 시\, 자신의 공명 에너지가 10pt를 회복하고\, 이후의 15초 내에 자신이 반주 스킬 발동 시\, 다음 교체 캐릭터의 피해가 12% 증가시킨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4.8. 반디의 군세

파일:명조 반디의 군세.jp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반디의 군세,
중국명칭=辉衡军势,
영어명칭=Lampylumen Myriad,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추운 동굴에 칩거한 포획자는 소리를 수집하고 모방하는 데 열중하고 떨리는 웅성거림으로 인간의 말을 흉내 낼 수 있다.<br>반디의 군세는 소리를 미끼로 유인된 먹이를 깊은 추위에 얼려 죽인다.<br>체온이 떨어지며 희미해지는 의식으로 인한 환각은 인간에게 커다란 감정의 파동이 담긴 임종의 말을 쏟아내도록 한다.<br>반디의 군세에 있어 이것은 최고의 맛을 내는 주파수이다,

표시= 반디의 군세 · 안개속 음률,
HP=757597,
공격력=6835,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53520143,
폭주최대치=68220896,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4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음향의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반디의 군세,
코드=N74,
코스트=4,
야밤의서리=,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반디의 군세로 변신한 후 공격을 하고 최대 3회 연속 사용할 수 있다.<br>앞으로 내리찍어 대범위의 얼음 충격을 일으킨다. 처음 1~2단 내리찍기는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143.87%/162.63%/181.40%/200.16%</span>과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143.87%/162.63%/181.40%/200.16%</span>의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를 입히며\, 마지막 1단은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191.82%/216.84%/241.86%/266.88%</span>의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를 입혀 충격에 명중된 적들은 얼어붙는다.<br>매번 충격은 자신의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 보너스</span>가 4.00% 증가시키며\, 공명 스킬 피해 보너스가 4.00% 증가시킨다. (지속 시간: 15초),
쿨타임=20초,
)]

4.9. 조립식 로봇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조립식 로봇,
중국명칭=聚械机偶,
영어명칭=Mech Abomination,

등급=노도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직정실험실에서 탄생한 기계 잔상으로 기체를 삼키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진화했다.<br>조립식 로봇에 소량의 인간 주파수가 융합된 것과 그로 인해 완벽함에 대한 가혹한 요구와 집착을 보여주어 자신의 구성 방식을 개선하고 점점 더 거대해지는 것을 감지 하였다.<br>그 존재는 과학의 밑바닥을 탐구하는 인간의 집착과 광기를 말없이 말해주는 묘한 그림자와 같다,

표시=조립식 로봇,
HP=757597,
공격력=6500,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17911788,
폭주최대치=22740011,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4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4성=,
1아이템명칭=악의 이종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조립식 로봇,
코드=R56,
코스트=4,
끊임없는잔향=,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주변 적에게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34.96%/39.52%/44.08%/48.64%</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1회 입히고\, 무기 폐기물을 모아 적을 공격한다. 폐기물이 목표에 명중 시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230.00%/260.00%/290.00%/320.00%</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히고\, 일정 시간 후 폭발하여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115.00%/130.00%/145.00%/160.00%</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힌다.<br>에코 어빌리티 발동 후\, 자신의 공격력이 12.00% 증가하며\, 15초간 지속된다. 폐기물로 인한 피해는 반주 스킬 피해로 간주된다.,
쿨타임=20초,
)]

5. 거랑급

이 급 이상의 잔상들부터 공진 수치를 가지고 있다. 잔상을 공격하거나 패링을 하거나 해서 공진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진 수치를 완전히 소모시키면 일정 시간동안 마비 상태에 빠져 아무 행동도 못 하기 때문에 여러 모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에코 스킬 한방으로 쉽게 보낼 수 있는 경파급과 달리 맷집도 높고 공격도 다양해지지만, 처치할 경우 경파급보다 클램 코인을 조금 더 많이 드롭한다.

5.1. 거암 투사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거암 투사,
중국명칭=坚岩斗士,
영어명칭=Stonewall Bracer,

등급=거랑급,
에코=,

저항여부=,
설명=거암 구조의 잔상으로 동작이 둔하고 느리지만 체력이 뛰어나 암석 투척을 공격 수단으로 즐겨 사용한다,

표시=거암 투사,
HP=190588,
공격력=4490,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12079199,
폭주최대치=11453847,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의음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의음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의음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의음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거암 투사,
코드=S55,
코스트=3,
떠오르는구름=,
찬란한광휘=,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거암 투사로 변신한 후 전방으로 돌진한다. 명중 시 <span style="font-weight:bold">80.96%/91.52%/102.08%/112.64%</span>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내려치기로 <span style="font-weight:bold">121.44%/137.28%/153.12%/168.96%</span>의 물리 피해를 입히며\, HP 한도 10.00%의 실드를 획득한다. (지속 시간: 7초\) 변신 중에 다시 에코 어빌리티 사용 시 변신 상태를 종료한다.,
쿨타임=15초,
)]

5.2. 보라색 왜가리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보라색 왜가리,
중국명칭=紫羽鹭,
영어명칭=Violet-Feathered Heron,

등급=거랑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산림과 물가에 서식하는 왜가리로 거대한 보라색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천둥과 번개가 칠 때만 날개를 펴고 날아오른다,

표시=보라색 왜가리,
HP=159039,
공격력=502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10069601,
폭주최대치=9550995,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4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포효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포효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포효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포효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보라색 왜가리,
코드=H42,
코스트=3,
울려퍼지는뇌음=,
솟구치는용암=,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보라색 왜가리로 변신한 후 제자리에서 패링을 하여 일정 시간 동안 지속 후 반격하며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207.00%/234.00%/261.00%/288.00%</span>의 <span style="color: #ba6ad9; font-weight:bold">전도 피해</span>를 입힌다. 패링 과정 중 공격을 받을 시 미리 반격이 가능하며 협주 에너지가 추가로 5pt를 회복된다.,
쿨타임=15초,
)]

5.3. 초록색 왜가리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초록색 왜가리,
중국명칭=青羽鹭,
영어명칭=Cyan-Feathered Heron,

등급=거랑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산림과 물가에 서식하는 의태 왜가리로 거대한 초록색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강한 바람이 불 때만 날개를 펴고 날아오른다,

표시=초록색 왜가리,
HP=159039,
공격력=502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10069601,
폭주최대치=9550995,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4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포효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포효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포효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포효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초록색 왜가리,
코드=H41,
코스트=3,
스쳐가는바람=,
빛나는별=,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초록색 왜가리로 변신한 후 회오리바람으로 돌진하여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170.20%/192.40%/214.60%/236.80%</span>의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를 입힌다. 특수 스킬을 발동한 적에게 피해를 입힐 시 적의 특수 스킬을 격파할 수 있다.,
쿨타임=15초,
)]

5.4. 마접의 악사

5.5. 초혼의 악사

5.6. 불굴의 호위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불굴의 호위,
중국명칭=磐石守卫,
영어명칭=Rocksteady Guardian,

등급=거랑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거대한 잔상 위병\, 몸체는 마치 산맥 속의 암석과 같아 난공불락의 벽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불굴의 호위의 본능은 무언가를 지키는 게 아닌\, 자신의 행진을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표시=불굴의 호위,
HP=327154,
공격력=502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20701024,
폭주최대치=19643500,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4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의음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의음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의음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의음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불굴의 호위,
코드=W63,
코스트=3,
빛나는별=,
찬란한광휘=,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불굴의 호위로 변신한다. 일정 시간 동안 방어할 수 있으며\, 공격을 받은 후 현재 캐릭터 HP 최대치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5.96%/6.73%/7.51%/8.29%</span>에 해당하는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히고\, 1회의 추격을 가하여 HP 최대치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5.96%/6.73%/7.51%/8.29%</span>에 해당하는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힌다.<br>변신 기간 동안 에코 어빌리티를 다시 사용하여 변신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br>특수 스킬 공격을 받을 시 적의 특수 스킬을 격파해 2단의 추격을 가하며 각 단은 자신의 HP 최대치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3.97%/4.49%/5.00%/5.52%</span>에 해당하는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히는 동시에 지열파를 3회 발사하여 각 횟수당 HP 최대치의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3.30%/3.73%/4.16%/4.59%</span>에 해당하는 <span style="color: #f1c40f; font-weight:bold">회절 피해</span>를 입힌다.,
쿨타임=15초,
)]

5.7. 심연의 위병

5.8. 그린멜팅카멜레온

5.9. 가시장미버섯(성체)

가시장미버섯 유체 3~4마리와 같이 있는 가시장미버섯. 근접하면 별다른 공격을 못하는 유체와 다르게 줄기를 휘둘러 플레이어를 후려쳐서 날리기도 하기 때문에 유체보다 상대하기 까다롭다.

5.10. 갈기늑대·암흑

5.11. 시끄러운 원숭이

5.12. 화살곰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화살곰,
중국명칭=箭簇熊,
영어명칭=Spearback,

등급=거랑급,
에코=,

저항여부=,
설명=흉포한 의태 흑곰\, 머리\, 목\, 어깨\, 팔에 화살촉 모양의 날카로운 흑석으로 덮여 있어 난공불락의 가시 투구와도 같다,

표시=화살곰,
HP=273565,
공격력=5026,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17308477,
폭주최대치=16434625,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포효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포효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포효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포효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화살곰,
코드=H48,
코스트=3,
떠오르는구름=,
끊임없는잔향=,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화살곰으로 소환한 후 연속 5단의 발톱 공격을 사용하여 1~4단은 각각 <span style="font-weight:bold">21.53%/24.34%/27.15%/29.96%</span>의 물리 피해를\, 마지막 1단은 <span style="font-weight:bold">36.92%/41.73%/46.55%/51.36%</span>의 물리 피해를 입힌다.,
쿨타임=15초,
)]

5.13. 트랜스카

승용차에 4개의 다리가 돋아난 형태의 잔상. 점프해서 플레이어를 내리찍거나 다리를 휘두르는 근접공격을 한다. 공진 수치를 감소시켜 마비시키면 거북이처럼 뒤집어져서 허우적거리는 모션을 취한다.

5.14. 추방자 두목

5.15. 추방자 장인

5.16. 처형자

5.17. 조급한 까부는 원숭이

5.18. 경전차 로봇

6. 경파급

제일 낮은 등급의 잔상. 공진 수치가 따로 없으며, 공명스킬에도 한 방에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한 잔상들이 많다. 일부는 같은 종류의 거랑급 한두마리와 함께 여럿이 뭉쳐 있는 경우도 있고, 후슈슈나 칵찰찰같이 경파급끼리만 모여 있는 경우도 있다.

6.1. 선봉 암괴

6.2. 분열 암괴

6.3. 경칩의 사냥꾼

6.4. 상강의 사냥꾼

6.5. 부메랑 사냥꾼

6.6. 오열하는 전사

6.7. 심판하는 전사

6.8. 칵찰찰

6.9. 아즈즈

6.10. 후슈슈

6.11. 우글글

6.12. 꾹꾹복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꾹꾹복어,
중국명칭=咕咕河豚,
영어명칭=Gulpuff,

등급=경파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수역에 널리 분포하는 의태 어류이다. 꾹꾹복어의 몸은 물속에 숨어 있으며 위장용으로 머리 상단에 연잎만 노출한다.<br>위협에 직면하면 꾹꾹복어는 물을 삼켜 몸을 부풀린 뒤 상대를 위협하며 경고로 꾹꾹 소리를 낸다,

표시=꾹꾹복어,
HP=55750,
공격력=3417,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0,
폭주최대치=0,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4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포효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포효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포효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포효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꾹꾹복어,
코드=H01,
코스트=1,
야밤의서리=,
빛나는별=,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꾹꾹복어를 소환해 전방으로 거품을 5회 내뿜어\, 매회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16.56%/18.72%/20.88%/23.04%</span>의 <span style="color: #3598db; font-weight:bold">응결 피해</span>를 입힌다.,
쿨타임=8초,
)]
앙코 PV 메인 빌런으로 출연했고, 인 게임 내 챌린지나 퀘스트 중에 꾹꾹복어를 조종하는 퀘스트가 있다던가 심지어 기염 캐릭터 퀘스트가 꾹꾹복어 레이스와 관계가 있는 등 은근 제작사가 밀어주는 잔상이다.

6.13. 쮸쮸복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쮸쮸복어,
중국명칭=啾啾河豚,
영어명칭=Chirpuff,

등급=경파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강변에 널리 분포하는 의태 어류로 정수리에는 바람에 날릴 수 있는 특별한 해조류가 있다.<br>위협에 직면하면 쮸쮸복어는 빠르게 부풀어 오르며 경고하듯 쮸쮸거린다,

표시=쮸쮸복어,
HP=69580,
공격력=3417,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0,
폭주최대치=0,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4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1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포효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포효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포효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포효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쮸쮸복어,
코드=H02,
코스트=1,
스쳐가는바람=,
빛을삼키는해=,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쮸쮸복어를 소환해 바람을 불어넣고 전방으로 3회 내뿜어\, 매회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27.60%/31.20%/34.80%/38.40%</span>의 <span style="color: #2dc26b; font-weight:bold">기류 피해</span>를 입히며 격퇴 효과를 제공한다.,
쿨타임=8초,
)]
이름이 이름인지라 팬덤에서는 특정 부위를 의미하는 은어로 사용된다.

6.14. 응결 프리즘

돌덩어리에 파란 크리스탈이 붙어 있는 형태의 광물형 잔상. 응결 속성 공격을 받으면 '저항'이 뜨면서 데미지를 아예 받지 않으며, 가끔 프리즘류를 제외한 주변 잔상을 강화시키기도 해서 짜증을 유발한다. 하지만 경파급인만큼 다른 속성으로 두들겨 주면 된다.

6.15. 용융 프리즘

6.16. 회절 프리즘

6.17. 인멸 프리즘

6.18. 순회나비

6.19. 쇄아멧돼지

6.20. 두더지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적,

명칭=두더지,
중국명칭=遁地鼠,
영어명칭=Excarat,

등급=경파급,
에코=,

저항여부=해당 적은 <span style="color: #e61e90; font-weight:bold">인멸 피해</span> 저항이 증가한다.,
설명=굴착력이 매우 강한 의태 두더지로 철근 콘크리트라 해도 뚫을 수 있다.<br>두더지는 복잡하게 얽힌 땅굴을 이용하여 자신을 숨기고 적을 약 올린다,

표시=두더지,
HP=55750,
공격력=3417,
방어력=1752,
공진최대치=0,
폭주최대치=0,

물리피해저항=10%,
응결피해저항=10%,
용융피해저항=10%,
전도피해저항=10%,
기류피해저항=10%,
회절피해저항=10%,
인멸피해저항=40%,

1아이템=,
1아이템2성=,
1아이템명칭=저주파수 포효 성핵,

2아이템=,
2아이템3성=,
2아이템명칭=중주파수 포효 성핵,

3아이템=,
3아이템4성=,
3아이템명칭=고주파수 포효 성핵,

4아이템=,
4아이템5성=,
4아이템명칭=전주파수 포효 성핵,
)]
[include(틀:명조 워더링 웨이브/에코,

명칭=두더지,
코드=H05,
코스트=1,
야밤의서리=,
빛을삼키는해=,

어빌리티설명=에코 어빌리티를 사용하여 두더지로 변신한 후 앞으로 이동한다. 이동 기간 동안 방향 조정이 가능하며 피해를 받지 않는다.,
쿨타임=8초,
)]

긴 귀를 가진 동물형 잔상. 땅 속으로 숨어서 이동하다 공격하거나 근접 공격을 한다. 드래곤베리가 잔뜩 깔린 바위 근처로 다가가면 튀어나와서 기습하거나 대자연의 벌판에 드래곤베리가 일정 간격마다 놓인 곳이 있는데 이를 따라가서 파괴 가능한 바위를 부수면 여러마리가 갑자기 튀어나와 공격하는 등 드래곤베리를 주식으로 삼는 것으로 보인다.

6.21. 그린멜팅카멜레온(유체)

6.22. 가시장미버섯(유체)

가시장미버섯 성체와 같이 있는 식물형 잔상. 성체와 마찬가지로 움직이지 않고 레이저를 쏘거나 에너지탄을 투척하는데, 보통 성체 1마리에 유체 3~4마리가 뭉쳐있기 때문에 레이저가 여러 발 시간차 공격으로 날아오면 피하기가 번거롭다. 움직이지 못하는 점을 이용해 가시장미버섯을 빈사상태로 만든 뒤, 치샤를 바짝 붙여서 강공격으로 마무리하면 쉽게 '일곱 걸음 안에서의 총은 정확하고 빠르다'업적을 얻을 수 있다.

6.23. 추방자

추방자 텐트 등을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적. 잔상 도감에는 있지만 처치해도 에코는 주지 않는다. 각각 남성/여성, 근접무기/원거리 무기로 무장한 4종류의 추방자가 있다. 모두가 플레이어에게 적대적인 건 아니라 일부 서브퀘스트 등에서는 NPC로 등장하기도 한다.

6.24. 돌 투척한 원숭이

6.25. 결정화 전갈

6.26. 서릿땅거북

강가나 바닷가에 서식하는 거북이 잔상. 플레이어를 보면 플레이어 앞까지 접근한 다음, 눈을 붉게 빛내고 빙빙 돌면서 돌진한 다음 뒤집어지는 공격 패턴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물가에 살고 있지만 수영을 못 하기 때문에 헤엄칠 수 있을 정도의 깊이의 물 속에 들어가 있으면 스스로 물속에 있는 플레이어 근처로 엉금엉금 기어온 다음, 깊은 물속으로 돌진해서 자살(...)하기 때문에 공짜로 클램 코인과 잡템을 갖다 바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에코모션이 밈이 되었다.

6.27. 갈기늑대·불꽃

6.28. 잔성·사이보그 해머링맨

6.29. 날카로운 발톱의 어린 원숭이

6.30. 잔성·사이보그 마스크맨

6.31. 잔성·사이보그 건맨

6.32. 신호등 로봇

신호등에 손발이 달린 형태의 잔상. 노란 에너지탄을 쏘거나 붉은색 부채꼴로 공격범위가 나온 후, 플레이어를 잠시 멈추게 하는 공격을 한다. 이 때는 저스트 회피 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잔상들과 섞여나오거나 하면 상대하기 까다롭다.
[1] 광휘 세트는 치유 보너스, 구름 세트는 크리티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