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0:14:23

라따뚜이

라타투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요리에서 유래된 영화에 대한 내용은 라따뚜이(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bgcolor=#002395><tablebordercolor=#002395><tablewidth=100%>
프랑스 요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1000f> 육류 요리 코코뱅, 푸아그라, 스테이크 - 샤토브리앙, 콩피 ( 덕 콩피), 그라탱, 뵈프 부르기뇽, 앙두예트, 오르톨랑, 테린, 리예트
빵류 카나페, 바게트, 브리오슈, 캉파뉴, 빵바냐, 뷔슈 드 노엘, 크로크무슈, 크루아상, 프렌치 토스트, 수플레, 퐁당 오 쇼콜라, 바바오럼, 몽블랑, 크로캉부슈, 타르트, 갈레트
수산물 요리 부야베스, 에스카르고, 테르미도르, 뫼니에르, 해산물 플래터
과자류 마카롱, 크레이프, 다쿠아즈, 갸또, 밀푀유, 가나슈, 트러플, 소르베, 크렘 브륄레, 에클레르
액체류 포도주( 샴페인, 보졸레 누보), 브랜디( 코냑, 아르마냑, 칼바도스), 뱅쇼, 카페오레
기타 라따뚜이, 비시스와즈, 콩소메, 크림수프, 양파 수프, 감자튀김 - 크로켓 / 프렌치프라이, 마요네즈, 크림 스피니치, 오믈렛, 치즈 - 까망베르, 푸틴
요리 문화 오트 퀴진, 누벨 퀴진, 플람베
}}}}}}}}} ||

<colbgcolor=#FFFFFF,#000><colcolor=#000000,#fff> 라따뚜이[1]
Ratatouille
파일:21FD48E3-D0A8-451A-92FF-A0B9B8D93905.jpg

1. 개요2. 영화 라따뚜이에서3. 기타

[clearfix]

1. 개요

프랑스 요리의 일종으로 여러 가지 채소를 큼직하게 썰어넣어 익힌 남부 전통 채소 가정 요리다.

토마토가 반드시 들어간 모습이 스파게티 소스가 연상되는지 고기를 좀 넣었을 것이라는 첫인상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은데 전통적으로 만들면 100% 채소 요리이다. 원래 니스의 가난한 농부들이 먹던 요리니까 고기가 있을 리가 채소만 넣었는데도 신기하게 맛있다고 하고 덕분에 채식주의자들의 무한한 사랑을 받는다.

다양한 채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것은 가지, 토마토, 쿠르제트(Courgette/ 애호박)[2], 양파, 피망 등이다. 조림과 스튜의 중간적인 형태를 하고 있으며 원래는 토속적인 음식이기 때문에 투박한 맛을 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부야베스처럼 서민 음식이 나중에 격이 올라간 케이스. 특히 동명의 픽사 애니메이션 누벨 퀴진[3]의 열풍이 불게 되고, 누벨 퀴진 특유의 '채소의 비중이 현격하게 높은' 요리라고 알려지자 재조명되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분화되었다. 그에 따라 요리의 용법 또한 기존의 단품 요리에서 애피타이저, 사이드 메뉴 등 같은 요리인가 싶을 정도로 다양해졌다.

채소와 향신료, 조리법의 조합이 상당히 다양하게 나오기 때문에 요리사의 취향이나 성향이 크게 가미되는 편이고 요리사의 요리 실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로 볼 수 있다.

채소가 주재료로써 가득 들어가는 요리이고 채소 고유의 맛이 강하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이나 채소를 싫어하는 사람은 먹기 심하게 힘들다는 게 단점이지만 한편으론 주재료로 쓰이는 야채들이 대부분 향과 맛이 튀지 않는 것들이라 채식 입문용으로 적당한 요리이기도 하다.

2. 영화 라따뚜이에서

하, 라따뚜이? 이 요린 너무 평범해. 이 요리로 이고를 만족시킬 자신 있어?
콜레트 타투
라따뚜이? 아주 웃기고 있구만!
스키너
이 요리를 제목으로 한 브래드 버드 감독의 영화 라따뚜이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다뤄진다. 미식 평론가 안톤 이고에게 인정받기 위해 레미와 링귀니가 준비한 비장의 요리였는데, 너무 평범하다는 콜레트의 만류를 뿌리치고 정성스레 만들어서 이고에게 대접하였다. 처음 맛을 본 이고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서 매우 흡족한 반응을 보였는데, 후에 주방장의 정체를 알고난 뒤에는 "누구나 요리할 수 있다."는 구스토의 사상을 마침내 이해하게 되면서 극찬을 내렸다.

영화를 통해 라따뚜이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간혹 이 요리를 고급 레스토랑에서나 맛볼 수 있는 별미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애초에 콜레트와 스키너의 반응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본토인 프랑스에서는 평범한 집밥 정도의 위치에 있는 아주 소박한 요리이다.[4] 한국으로 치면 고급 한정식집에 온 평론가에게 김치볶음밥이나 된장국 같은 일반적인 식사만 내놓았는데 그 식사에 담긴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는 상황인 것. 하지만, 그 누구보다도 까다롭고 엄격한 평론가 이고를 그 무엇보다도 평범하고 초라한 요리인 라따뚜이로 함락시켰다는 점에서 본작의 주제의식을 잘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후 구스토 레스토랑이 위생법 위반으로 문을 닫고 레미, 링귀니, 콜레트가 새로 개장한 레스토랑의 이름을 '라따뚜이'라고 지었으며, 이고는 이 레스토랑의 단골 손님이 되는 훈훈한 결말을 맞이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atatouille.jpg
본래 오븐 없이 재료를 모두 팬에 담고 볶아서 만드는 스튜 요리로, 콜레트가 "이건 시골 요리잖아"라며 내민 레시피 카드와 이고의 회상 속 어머니의 요리가 이 형태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fit_byaldi_1.jpg
영화에서 등장하는 오븐을 쓰며 미적 감각을 더한 형태는 콩피 비얄디(Confit byaldi)라는 변형 요리다.

구글이나 유튜브 등에 검색하면 저 두 가지 형태가 다 나오는데, 모두 라따뚜이가 맞다.[5]

3. 기타



[1] 동명의 영화로 인해 라따뚜이라는 표기가 많이 보이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라타투유'라고 적는다. [2] 한국인들에게는 '주키니'라는 이름으로 훨씬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애호박과 아주 유사한 형태를 가진 호박이다. '서양호박'이라고도 부르지만 영국 영어에서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쿠어젯(courgette)', 미국 영어에서는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아 '주키니(zucchinni)'로 부른다. 한국에서 만들 때에는 당연히 애호박으로 대체 가능하다. [3] 재료의 본래 맛을 살리고 채소의 비중을 높이는 경향을 살리는 프랑스 요리풍. 깔끔하고 세련된 맛을 추구한다. [4] 이고의 회상 속 어머니가 요리해주신 라따뚜이도 플레이팅에 별로 공을 안 들이고 대충 야채들만 볶아낸 비주얼이었는데, 그 정도로 평범하다는 뜻이다. [5] 굳이 비교를 하자면 집에서 나물반찬으로 대충 비벼먹는 양푼비빔밥과 고급 한식당에서 정갈하게 플레이팅해서 나오는 전주비빔밥 정도의 차이다. 굳이 애니메이션 버전은 크게 의식하지 않았는데 영화 개봉 후 유튜브 영상이 대중적으로 퍼지면서 미적으로 하는 라따뚜이 만드는 영상이 퍼졌다. [6]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이 말장난을 살리기 어려웠기 때문에 해당 발언을 통째로 갈아엎으며 다른 단어들로 적당히 현지화를 가해
"맞아, 이렇게 부르면 되겠네. (스키너: 뭘!) 라따뚜이! 스튜 이름 같지 않아요? 음식의 이름을 지을 때는, 음식의 이름을 들었을 때 뭔가 맛있게 들려야 해요, 라따뚜이는 맛있게 들리지 않아요... '라면에 라오는, 부 두 덩'! 라면 따라 두부! 맛있는 음식 이름 같지가 않네요요...."
라는 발언으로 바뀌었지만 보다시피 혼자서 이름을 자기가 생각해낸 것마냥 제안해내고는 음식 이름이 맛있어야 한다면서 자기가 생각한 이름은 전혀 맛있게 들리지 않는다고 자기부정하는, 그나마 말의 주제라도 확고했던 영어 원문 이상으로 더더욱 아스트랄한 저세상 대사가 되어 버렸다. 물론, 거나하게 술에 취한 상황이라 말의 앞 뒤도 안 맞고 뜻을 알아들을 수조차 없는 헛소리로 변질되었음에도 오히려 상황에 더욱 잘 어울리게 돼 버린 게 킬포인트다.
[7] 일본판에선 "가쓰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