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5:43:49

대구 버스 202, 202-1

대구 버스 202에서 넘어옴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입석
·
간선
좌석
지선
출근
맞춤
셔틀
버스
}}}}}}}}} ||

파일:대구202.jpg 파일:대구202-1.jpg
달구벌버스 소속 시절
202
달구벌버스 소속 시절
202-1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폐지 + 거대한 후폭풍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2번
기점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상리동종점) 종점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상리동종점))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16 막차 22:16
평일배차 14분 주말배차 17분
운수사명 달구벌버스 인가대수 10대
노선 가르뱅이 - 서평초교 - 북부정류장 - 노원네거리 - 원대시장 - DGB대구은행파크남편 - 약령시 - 명덕역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성당못역북편 - 달서종합시장 - 대구전자공고 - 대구지방법원서부지원 - 대구의료원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서평초교 - 가르뱅이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202(-1)_노선도.jp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2-1번
기점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상리동종점) 종점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상리동종점)
종점행 첫차 05:36 기점행 첫차 05:36
막차 22:23 막차 22:23
평일배차 14분 주말배차 17분
운수사명 달구벌버스 인가대수 10대
노선 가르뱅이 - 서평초교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의료원 - 대구지방법원서부지원 - 대구전자공고 - 달서종합시장 - 성당못역북편 - 성당시장 - 대명시장 - 명덕역 - 약령시 - DBG대구은행파크남편 - 원대시장 - 노원네거리 - 북부정류장 - 서평초교 - 가르뱅이

2. 개요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2동 가르뱅이 마을(2)에서 중구 남일동 중앙로역(0)를 거쳐 다시 가르뱅이(2)으로 순환 운행했던 달구벌버스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참고로 아래의 노선도는 노선 신설 초중반에 있었던 선형으로, 노선 폐지 직전에는 편도 구간을 통합해 성당못역북편 정류소를 202, 202-1 둘 다 왕복 운행하는 선형이었다.

202번 전체 정류소 목록
202-1번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3.1. 폐지 + 거대한 후폭풍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2번
2014년 2015년
3,989명 3,530명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2-1번
2014년 2015년
4,175명 3,621명

5.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이다.

6. 관련 문서



[1] 당시 101번, 111번은 앞산공원이 기종점이였으며, 두 노선이 모두 본리동으로 기종점이 바뀌어 순환구간 운행했을때는 111번이 남구일대로 시계방향 101번이 북구일대로 반시계방향 순환운행하였다. [2] 가창면 우록리/단산리~반월당~이현동 구간을 40분 간격으로 운행했었다가, (구)204번으로 바뀐 후 당시 가르뱅이에 1일 10회 운행 중이던 242번과 맞바꿔 가르뱅이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3] 북부정류장~이현삼거리~가르뱅이~방천리~해랑교~박곡리~이천리~문양리~ 다사읍(당시에는 다사면)~죽전네거리~본리네거리~ 서부정류장~신남네거리~ 서문시장~북비산네거리~팔달시장~ 북부정류장을 운행했다. 1998년 개편 때 팔달시장~다사 오지지역(달천리, 박곡리, 이천리 등)을 운행하던 52-2번으로 변경되었다가 2006년 개편 때 성서3번에 흡수되었다. [4] 205번의 역순 운행 [5] 현재 524번으로 당시에는 이현동 ~ 범물1동을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이 때는 이현삼거리에서 직진하여 1일 10회 가르뱅이까지 운행했다가 성서고등학교로 운행하게 되면서 204번에 넘겼다. 참고로 1998년 개편 때부터 2006년 개편 때까지는 242번이었다. [6] 반월당 및 가창 구간은 405번, 우록,행정,냉천 오지 구간은 가창2번이 대체. 405번은 원래 다른 파동 종점 노선이 가창면 대일리로 연장될 당시 계속 파동종점에 남아있었다가 대구4차 순환선 도로 공사에 종점부지가 편입되자 가창 삼산리로 연장한 것이다. [7] 상술했다시피 문화예술회관 하차 후 환승해야 했다. 다만 성당못역 북편에서 하차 후 3~4분만 걸으면 눈 앞에 서부정류장이 바로 보인다. 그리 멀지 않은 장소에 있으므로 환승할 버스가 바로 뒤에 붙어서 오고 있지 않다면 기다리지 말고 걷자. [8] 234번은 가르뱅이를 양방향으로 경유하지만 기점만 방천리공영차고지다. [9] 하지만 서구1(-1)번 항목에서 보면 알겠지만, 202(-1)번의 폐지는 사실상 병크라고 쓰여 있을 정도로, 기존 이용객들은 굉장히 불편해졌다. 최대 피해자는 용산1동과 중리동을 오고가는 승객들과 경덕여고 재학생들이다. 그리고 중리동에서 용산1동 및 장기동을 오가는 전자공고 학생들도 큰 피해를 입었다. 오죽하면 급행5번이나 택시 이용까지 한다니..... [10] 805번은 수요 반토막, 564번은 805번의 단축으로 성서~ 서부정류장 수요 폭증, 518번은 중앙로~장기동 구간을 보조해 주던 202(-1)번의 소멸로 심각한 혼잡 노선에 랭크됐다. [11] 202(-1)번의 3공단 환승 승객들 또한 724번과 309번으로 몰려 이 두 노선도 수요가 폭증했으며, 이는 원대역 ↔ 원대오거리 북편 정류장 사이의 막장환승 때문이다. 503번과 중복되던 구간의 승객들이 503번으로 몰리면서 503번은 달서2번 폐지 크리까지 합쳐 역대급으로 수요가 폭증했다. [12] 270~330m. 막장환승역의 대표역인 홍대입구역은 355m, 서울역은 360m 가량 나온다. 원대역을 오르락내리락하고 길을 건너는 거리까지 더하면, 당연히 막장환승일 수밖에 없다. [13] 서구1-1번은 비산초등학교를 경유하기 때문이다. [14] 일 8,600~9,000명 수준 [15] 2013년부터는 성서3번을 제외하고 신차가 골고루 들어가기 시작했다. 2015년 5월 말에는 북구3번 저상버스 신차를 투입했다. [16] 노란색 안내 표지판이 있으며, 종점 뒷쪽에 노인보호센터가 하나 있다. [17] 죽전네거리3 정류소와 서구1-1번이 생기기 전에는 거리상으로 죽전119안전센터에서 내려 죽전역을 이용하는 것보다 감삼역, 두류역에 내려 2호선을 이용하는 게 훨씬 빠르며, 버스 개편 후 환승저항으로 인해 두 역의 이용률이 늘어났다. 물론 달구벌대로의 교통 혼잡 시간대라면 죽전119안전센터에서 내려 죽전역으로 걷는 게 더 빠르다. [18]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검찰청 서부지청(두 장소를 합치고 줄여서 서부법원+검찰청)이나 우방죽전타운 건너 정류소에서 하차 후 5분 정도 걸으면 용산역 6번 출구로 진입할 수 있고 전자공고 정류소에서 내려 전자공고 후문쪽으로 약 5분 정도 걸으면 3번 출구로 진입할 수 있다. [19] 이 환승 경로는 환승이 아닌, 홈플러스 성서점이나 농협하나로클럽 성서점으로 쇼핑을 하러 가는 승객들의 수도 상당했다. [20] 학생문화센터, 대구지법 서부지원/대구지검 서부지청, 직업능력개발원, 달구벌종합복지관 [21] 당시 이 노선도 서부정류장을 미경유하게 되면서 운행 시간이 조금 줄었기 때문에 감차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운행 시간이 줄어든 게 얼마 안 되며, 실질적으로 배차 간격이 15분이 되었다. [22] 2015년 기준 버스 운영과로 개편. [23] 동구4번으로 이동한 차량은 2007년식 차종 2대로 확인됐다. [24] 이유는 현대차량의 연비가 더 좋아서다. [25] 이 충전소가 없으면 대단히 불편하다. 이 충전소가 없으면 성서산단에 위치한 신흥버스 차고지나 와룡대교 및 매천대교, 매천고가차도를 거쳐 관음공영차고지까지 가서 충전해야 한다. 헬게이트가 열리는 타이밍에 가스가 떨어지면 안그래도 출퇴근 시간대에 승객이 많은 노선 중에 하나인데, 726번에서 겪게 되는 온갖 지옥같은 경험을 202(-1)번에서도 경험할 수 있다. [26] 앨리슨 5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2009년식 차량2대는 후측 차축이 고상형으로 되어 있는 SE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