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11:39:44

대구 버스 427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입석
·
간선
좌석
지선
출근
맞춤
}}}}}}}}} ||

파일:427폐.jpg
출처
동명교통 소속 427번 버스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7번
기점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두리봉터널)[1] 종점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동명교통)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28 막차 22:25
평일배차 10분 주말배차 11분
운수사명 동명교통 인가대수 25대
노선 두리봉터널 - 소선여중 - 수성대 - 국립대구박물관 - 성동초교 - 황금네거리 - 대백프라자 - (구.대봉도서관 →/← 건들바위역[2]) - CGV대구한일[3] - 달성공원 - ( 원대역 →/← 수정맨션) - 북부정류장 - 공단역 - 구암역(대구운전면허시험장) - 칠곡운암역 - 대구칠곡초교 - 칠곡경대병원역 - 동명교통

2. 개요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3동 두리봉터널(4)에서 서구 비산7동 북부정류장(2)을 거쳐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동명교통차고지(7)까지 운행했던 동명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선되었고, 사실상 대부분 구간[4]은 234번이 승계하여 운행중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7번
2014년 2015년
13,804명 11,758명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단 회차지는 황금1동의 경북고 동편에 위치했다. [2] 정류소 이름은 대봉성당 [3] 만촌동 방면 정류소 이름은 2.28기념중앙공원 [4] '북부정류장 ~ 두리봉터널'구간 [5] 이는 같은 종점을 쓰는 425번도 마찬가지였다. 캐슬골드파크에서 경북고등학교로 올라오면 회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 개편 전 903번이 시지 방면으로 운행할 때 편도로 다니던 구간이었으며 903번이 폐선되고 이 노선이 대체 운행하는 것이다. 903번은 2006년 폐선된 노선으로 욱수동종점~농협만촌지점~세진로~동대구LPG~ 동부정류장~고속터미널~솔렌스힐~신천초교~중구청~한일극장~비산네거리~원대오거리~팔달시장~ 북부정류장을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며 1일 5회 염색공단까지 연장 운행했었다. [7] 427번 경운대학교행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에서 칠곡군 동명면, 가산면을 거쳐 구미시 장천면, 산동면까지 가는 초장거리 노선이었다. 경북고등학교 동편 종점에서 장천면을 경유하여 경운대학교행이 1타임 운행할 때 단축 전 600번보다 더한 무려 2시간 50분이 걸렸다. 당연히 시계외요금이 할증되었다. 16번 시절에는 칠곡군 가산면 송학리(구 지명은 하판리)까지 운행하다가 이후 시경계를 넘어가 장천시외버스터미널을 거쳐 경운대학교까지 연장된 듯하다.(1998년 초기 안내서에도 경운대학교 대신 하판이라고 명기되었고, 2000년대 넘어서 경운대학교가 언급됐다.) / 2006년 개편 전에는 32대로 운행했었다. [8] 2006년 개편 전에는 일반버스 수입금 순위 5위 안에는 들어갔다. [9] 같은 회사 730번도 마찬가지. 다만 칠곡에서 시내로 가는 또 다른 노선인 724번은 통합요금제로 인한 타격을 별로 받지 않은 듯 하다. [10] 다른 노선들은 시내 방향만 북부정류장 내부 시내버스 환승센터를 경유한다. [11] 이와 똑같은 경우가 840번에도 있다. 여기는 대구대삼거리 ~ 대구대 종점유턴 ~ 대구대삼거리가 그 구간인데 이 노선도 차량 앞에 영남대 방면과 하양 방면을 구별하고 탑승해야 한다. [12] 시내: 두리봉터널 방면, 동명: 칠곡동명(또는 동명) 방면 [13] 북구 동호동이며, 칠곡군 동명면과 경계에 있다. 3호선의 차량기지가 들어서는 곳이며, 1호선 반야월역이 있는 동구 동호동과는 구분한다. [14] 234번도 건들바위역부터 황금역까지 3호선과 100% 겹친다. 게다가 배차간격은 더 늘어났다. [15] 사실상 427번과 급행3번의 3호선 중복구간은 427이 4개 더 많은 것 정도밖에 차이가 나질 않는다. 둘 다 도긴개긴의 상황이라 현재로써 급행3번은 3호선 추가 백업으로 좌천되어버린 셈. [16] 동명 방면 한정. 황금동 방면은 수정맨션 편도 경유로 원대역을 경유하지 않았다. [17] 황금동 방면 한정. 동명 방면은 구.대봉도서관 편도 경유로 건들바위역을 경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