復 회복할 복, 다시 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彳,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フク
|
||||||
일본어 훈독
|
かえ-す, かえ-る, また
|
||||||
复
|
|||||||
표준 중국어
|
f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復은 '회복할 복' 또는 '다시 부'라는 한자로, '돌아오다', '다시', '회복(回復)하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FA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OOAE(竹人人日水)로 입력한다.갑골문부터 존재했던 한자로, 처음 만들어질 때는 彳( 조금 걸을 척)이 없는 复 형태였다. 자형은 '마을 성곽의 모양'과 止( 그칠 지)를 거꾸로 한 모양이 합쳐진 형태이다. 그리고 금문에서 彳이 추가되고 止가 夂( 뒤져 올 치)로 모양이 잡혀가며 성문을 나와( 止) 다시 돌아가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회의자가 되었다.
復이 다음자로 발음되는 언어는 한국어와 중국어 일부 방언밖에 없다. 대부분의 단어는 '돌아올 복'의 훈음으로 사용되고 '다시 부'로 사용될 때는 부활과 부흥을 제외하곤 거의 없다.
3. 용례
3.1. 단어
- 광복( 光復)
- 반복( 反復)
- 보복( 報復)
- 복각(復 刻)
- 복간(復 刊)
- 복고(復 古)
- 복구(復 舊)
- 복권(復 權)
- 복귀(復 歸)
- 복수(復 讐)
- 복습(復 習)
- 복용(復 用)[1]
- 복원(復 元/復 原)
- 복직(復 職)
- 복창(復 唱)
- 복항(復 航)
- 부활(復 活)
- 부흥(復 興)
- 수복( 收復)
- 회복( 回復)
3.2. 고사성어/ 숙어
- 경복( 敬復)
- 고일지복( 苦 逸 之復)
- 극기복례( 克 己復 禮)
- 극복( 克復)
- 기복출사( 起復 出 仕)
- 기복행공( 起復 行 公)
- 능소부능대( 能 小復 能 大)
- 명예회복( 名 譽 回復)
- 무부여망( 無復 餘 望)
- 배만복명( 排 滿復 明)
- 보복지리( 報復 之 理)
- 복계(復 啓)
- 복고사상(復 古 思 想)
- 복명복창(復 命復 唱)
- 사회부연( 死 灰復 燃)
- 왕정복고( 王 政復 古)
- 일양내복( 一 陽 來復)
- 종이부시( 終 而復 始)
- 중언부언( 重 言復 言)
- 환후평복( 患 候 平復)
- 회복공격( 回復 攻 擊)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왕복서간往復書簡:십오 년 뒤의 보충수업
- 復活LOVE( 부활LOVE)
- 幻想系世界修復少女( 환상계세계수복소녀)
- ぼくらの報復政策( 우리들의 보복 정책)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마법 카드 復烙印(복낙인)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䧗(산무너질 벽)
- 複(겹칠 복)
- 稪(곡식이름 복)
- 椱(말코 복/부)
- 𩜲(먹을 복)
- 𥪚[⿰立复](바르지아니할 복)
- 𩋟[⿰革复](바퀴살/전동 복)
- 輹(바퀴통 복)
- 腹(배 복)
- 蝮(살무사 복)
- 鍑(솥 복)
- 𦩟[⿰舟复](옷 복)[2]
- 㙏(움 복)
- 㬼(있을 복)
- 鰒(전복 복)
- 馥/ 𪐒[⿰⿱黍日复](향기 복)
- 䪖(가죽옷 부, 멍에싸개 박)
- 緮(비단 부)
- 愎(강퍅할 퍅)
- 䮡(살찔 필, 얼룩말 박)
- 𦎭[⿰羊复](복)
- 𣸪[⿰氵复]
- 𡞪[⿰女复]
- 𤟱
- 𭡪[⿰扌复]
- 𤋟[⿰火复]
- 𣦇[⿰止复]
- 𭞿[⿰忽复]
- 𤳺[⿰番复]
- 𮍼[⿰舌复]
- 𮠸[⿰酉复]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履(밟을 리)
- 蕧(금불초 복)
- 𥳇[⿱𥫗復](대나무열매 복)
- 㠅(덮을 복)
- 澓(돌아흐를 복)
- 䨱(물흘릴 복)
- 癁(병 복)
- 𡐣[⿰土復](움 복)[3]
- 𥨍[⿱穴復](움집 복)
- 覆(덮을 부, 다시 복)
- 𠣾[⿹勹復](포개질 부, 겹칠 복)
- 𡑉[⿱土復]
- 𭙷[⿸广復]
- 𰊯[⿱復土]
- 𭸬[⿰犭復]
- 𮖵[⿰衤復]
- 𮇼[⿰米復]
- 𫓍[⿰金復]
- 𮬑[⿸魚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