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줄거리 | 등장인물 | 설정 | 애니메이션 ( TVA / 질풍전 · 극장판) | 비판 | 갤러리 | 인기투표 |
나루토 애니메이션 시리즈 | ||
나루토 나루토 질풍전 |
→ |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 |
나루토 (2002~2007) NARUTO -ナルト- |
|||
|
|||
{{{#2e2e2e,#2e2e2e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다크 판타지, 닌자, 능력자 배틀 | |
원작 | 키시모토 마사시 | ||
감독 | 다테 하야토 | ||
시리즈 구성 |
스미사와 카츠유키(隅沢克之)1~132화 타케가미 준키133~220화 |
||
캐릭터 디자인 |
니시오 테츠야 스즈키 히로후미 |
||
서브 디자인 |
모리야마 유지 미요시 카즈야(三好和也) 우사미 코이치(宇佐美皓一) 스기후지 사유리(杉藤さゆり) |
||
미술 감독 | 타카다 시게노리(高田茂祝) | ||
색채 설계 | 카와미 타쿠야(川見拓也) | ||
촬영 감독 | 마츠모토 아츠호(松本敦穂) | ||
편집 |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 ||
음악 |
마스다 토시로(増田俊郎) with 무사시 프로젝트(六三四プロジェクト) 타카나시 야스하루 야이바(刃 -yaiba-) |
||
녹음 연출 | 카미오 치하루(神尾千春) | ||
음향 연출 | 에비나 야스노리(えびなやすのり) | ||
녹음 제작 |
KSS →라쿠온샤(楽音舎)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호쿠타니 나오하루(朴谷直治) | ||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피에로 | ||
제작 |
테레비 도쿄 스튜디오 피에로 |
||
방영 기간 |
2002. 10. 03. ~ 2007. 02. 08 2005. 07. 18. ~ 2008. 02. 18 |
||
방송국 |
테레비 도쿄 (목) 18:30[1] (수) 19:27[2] (목) 19:30[3] 투니버스 (월, 화) 23:00 애니맥스 코리아 애니박스 (일) 21:00[4] |
||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 Wavve 무인편(자막, 더빙), 질풍전(자막, 더빙)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220화[5] | ||
국내 심의 등급 | 12세 이상 시청가[6] | ||
15세 이상 시청가[7] | |||
관련 사이트 | 무인, 질풍전 |
[clearfix]
1. 개요
1부 로고 |
일본의 만화 나루토의 애니메이션. 제작은 스튜디오 피에로. 주관 방송사는 TV 도쿄.
원작에서 1부 내용은 2002년 10월 3일부터 2007년 2월 8일까지 총 220화로 다루었다.
2. PV
|
방송 개시 전 CM |
|
CM (2005년) |
3. 줄거리
오리지널 에피소드가 상당히 많은데, 질풍전 포함 전 720화중 40%를 약간 넘는 약 291회 분이 이에 해당된다.[8] 애니 오리지널은 원작에 없는 내용으로 원작자 키시모토 마사시가 집필하거나 감수해서 나온 내용이 아니므로 나루토 세계관 정사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애니메이션이 원작 연재분을 거의 따라 잡으려는 모양새를 보이면 시간 벌기용, 신인 키우기 용으로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넣는 스튜디오 피에로의 제작 방식에서 나온 것이다.오리지널 에피소드는 신인이 만들어서 대체적으로 저퀄리티이며 시간 낭비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굉장히 재미가 없다. 또한 설붕, 캐붕이 다수이기 때문에 오히려 본편 스토리를 보는데 방해된다는 의견이 많으니 오리지널 편은 제외하고 보는 것을 추천한다.[9]그래도 츠루 토시유키가 감독을 맡은 치카라 6부작과 같이 고퀄리티의 작화를 뽐내는 경우도 가끔 있으며[10], 카카시 암부 편 같이 원작에서 다뤄지지 않은 캐릭터의 과거사나 뒷설정을 다룬 에피소드 경우엔 꽤 볼만하다.
오리지널 편과 애니 방영분의 원작 회차를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 참조.[11]
나루토 1부 본편 및 오리지널 에피소드 정리
나루토 2부 본편 및 오리지널 에피소드 정리
국내 플랫폼 서비스 기준 | 애니메이션 회차 |
나루토 1기 (총 51회) | 1 ~ 51화 |
나루토 2기 (총 53회) | 52 ~ 104화 |
나루토 3기 (총 52회)[12] | 105 ~ 156화 |
나루토 4기 (총 35회) | 157 ~ 191화 |
나루토 5기 (총 28회) | 192 ~ 220화 |
나루토 질풍전 1기 (총 53회) | 221 ~ 273화 |
나루토 질풍전 2기 (총 59회) | 274 ~ 332화 |
나루토 질풍전 3기 (총 63회) | 333 ~ 395화 |
나루토 질풍전 4기 (총 68회) | 396 ~ 463화 |
나루토 질풍전 5기 (총 37회) | 464 ~ 509화 |
나루토 질풍전 6기 (총 59회) | 510 ~ 568화 |
나루토 질풍전 7기 (총 52회) | 569 ~ 620화 |
나루토 질풍전 8기 (총 52회) | 621 ~ 672화 |
나루토 질풍전 9기 (총 48회)[13] | 673 ~ 720화 |
- 프롤로그: 1 ~ 5화 (총 5회)
- 파도나라 편: 6 ~ 19화 (총 14회)
- 중급닌자 시험 편: 20 ~ 80화 (총 61회)
- 오리지널 에피소드(총집편) - '죽음의 숲 인터뷰! 나뭇잎 마을 학급신문이다 이거': 26화 (총 1회)[14]
- 츠나데 수색 편: 81 ~ 100화 (총 20회)
- 오리지널 에피소드 나루토의 온천 진도중 편: 97화 (총 1회)
- 오리지널 에피소드 불의 의지를 잇는자 편: 99화 (총 1회)
- 오리지널 에피소드 열혈사제의 정 남자가 닌자의 길을 관철할때 편: 100화 (총 1회)
- 오리지널 에피소드 카카시 선생의 맨얼굴 편: 101화 (총 1회)[15]
- 오리지널 에피소드 차국 편: 102 ~ 106화 (총 5회)
- 사스케 탈환 편: 107 ~ 135화 (총 29회)
- 초장기 오리지널 에피소드: 136 ~ 220화 (총 85회)
※사스케 탈환 편 뒤의 에피소드(136화~220화)는 전부 오리지널로 135화 (국내 스트리밍 사이트 기준 나루토 3기 31화)까지만 보고 바로 질풍전 1화로 넘어가면 된다. 다만 오리지널 에피소드 속에 포함된 본편 내용도 있기 때문에 원작 단행본 27권 236~238화를 보는 것이 좋다.
4.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나루토/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5. 설정
자세한 내용은 나루토/설정 문서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자세한 내용은 나루토(애니메이션)/주제가 문서 참고하십시오.7. 회차 목록
자세한 내용은 나루토(애니메이션)/회차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한국판 로고(1부) |
극장판 로드 투 닌자를 제외한 모든 TVA 및 극장판도 같은 제작진이 맡았다.[17]
투니버스 측에서 상당히 신경을 쓰고 제작했기 때문에 출신[18] 및 경력을 따지지 않고 실력파 성우들을 대거 기용했으며, 덕분에 명품 더빙으로 꾸준히 회자되고 있기도 하다. 몇몇 캐릭터들의 연기는 일본판을 초월했다는 평을 받을 정도.[19]
201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 내 각종 IPTV 계열에서 1부와 2부 1~4기까지 VOD 서비스했으며, 투니버스에서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2019년 즈음부터 판권을 더이상 유지하지 않는지 전부 내려갔고 재방송도 더이상 하지 않았으며, OTT서비스에서는 대원방송(KTH)[20]이 제공하는 자막판만 서비스되고 있었다.
2012년에 애니맥스에서 1~4기를 더빙으로 재방영했다.
이후 2022년 10월 30일부터 나루토 20주년 기념으로 애니박스에서 더빙판 HD 리마스터 버전을 재방영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재더빙 없이 투니버스 더빙판을 그대로 방송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웨이브와 네이버 시리즈온에서 나루토 5기까지 더빙판이 서비스되며[22] 챔프에서도 더빙판이 방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23] 이후 23년 2월 10일 웨이브에서 질풍전 전회차가 공개되었다.
HD 더빙 리마스터의 장점은 16:9 비율[24]로 다시 그려서 만들어낸 리마스터판을 가져온 덕분에 이전보다 더욱 더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나루토' HD 원판에 기존(투니버스) 더빙판의 음원만 레코딩하여 사실상 재방영하고있는 셈이다.
다만 단점으로는 16:9 비율의 리마스터 버전을 갖고온 탓에 투니버스가 화면수정했던 당시의 원본(4:3비율)을 16:9 비율에 적용시키지 못했고[25], 투니버스 한국판 오프닝/엔딩 역시 판권 및 기술적인 한계로 삽입조차 되지않아 일본 원본의 오프닝/엔딩을 채택하게 되었다. 또한 1기, 2기, 3기로 구분된 각 시즌 안에서도 일본판 기준으로 오프닝과 엔딩이 바뀌는 회차임에도 해당 시즌이 끝날때까지 한 곡만으로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일본 원본의 오프닝/엔딩이 전부 나오지 않는다.[26] 불행 중 다행인 것은 해설이나 나루토 타이틀 로고만큼은 블러 처리하지 않고 투니버스처럼 한글판으로 수정하여 내보냈다. 하지만 타자기체를 사용했던 투니버스와는 다르게 고딕체의 서체를 차용했다. 그래서 뭔가 새로운 느낌이 들면서도 '나루토' 특유의 느낌이 들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 엿보인다.
또한 첫 방영 당시와 규제가 다르다보니 일부 단어 및 행위 장면들이 편집되기도 했다. 특히 특정 성별 관련이나 비속어는 지금에 들어선 부적절하기도 해서 편집되는 일이 빈번하다.
- 2005년 7월 18일부터 2008년 2월 18일까지 약 3년간 전 220화를 전부 방영했다. 1기 51화, 2기 55화, 3기 51화, 4기 34화, 5기 29화로 구성. 각각 2005년 7월 18일부터 2005년 10월 12일, 2006년 1월 2일부터 2006년 4월 5일, 2006년 7월 24일부터 2006년 10월 18일, 2007년 7월 23일부터 2007년 9월 18일, 2007년 12월 25일부터 2008년 2월 18일까지 방영했다.
- 주제곡으로 일본판 번안곡이 아닌, 한국어 더빙판만의 오리지널 곡을 사용했으며 이 전통은 질풍전에서도 이어졌다. 특히 1부는 2000년도 중후반 한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밴드인 버즈가 참여해 활주, 투지같은 주옥같은 명곡이 나왔다.[27]
- 주요 캐릭터인 우즈마키 나루토, 우치하 사스케, 하루노 사쿠라, 하타케 카카시 역에 각각 이선주, 김영선, 여민정, 손원일이란 실력파 성우들이 캐스팅되어 팬들이 놀라움을 표시했다. 게다가 3대 호카게 사루토비 히루젠을 원로성우인 KBS 8기 김병관이 연기했고, 전설의 세 닌자도 거물급 성우인 장광 / 이정구 / 송도영을 섭외했다.[28] 이 밖에 KBS의 조동희, 정훈석, 송덕희, 윤세웅, 유동균, 오길경, 김승태나 MBC의 박선영, 박소라 등[29] 중견급 성우들이 큰 비중이 없는 단역급 캐릭터에 배정되는 파격을 선보였으며, 당시 신인급이던 투니버스 5~6기 성우들도 적절하게 배치되어[30] 조화를 이뤘다는 평.
9. 비판
자세한 내용은 나루토(애니메이션)/비판 문서 참고하십시오.10. 스태프
도중부터 작화를 단순하게 그리는 대신 액션을 추구하는 애니메이션이 되어 그림체를 중시하는 한국에서는 작화로 저평가 받는데 해외에서는 작화로 인정받는 작품이다. 나루토 팬에게 인기있는 콘티 연출가 [31]는 츠루 토시유키, 와카바야시 아츠시, 야마시타 히로유키, 애니메이터는 마츠모토 노리오[32], 와타나베 마사하루가 있다. 작화나 액션이 대단한 에피소드만 골라보고 싶으면 이들이 참가한 에피소드를 골라서 보면 된다.- 다테 하야토 - 감독 (699화까지)[33]
- 코바야시 오사무(1964) - 소년시대 편 감독 (700~703)
- 콘 치아키 - 사스케 진전 편 감독 (704~709)
- 와타나베 토시노리 - 시카마루 비전 편 감독 (709~713)
- 무라타 마사히코 - 나뭇잎 비전 편 감독 (714~720)
- 니시오 테츠야 - 캐릭터 디자인
- 스즈키 히로후미 - 캐릭터 디자인
- 미즈노 카즈노리 - 연출, 애니메이터[34]
- 츠루 토시유키 - 연출, 애니메이터
- 마츠타케 토쿠유키 - 연출, 애니메이터
- 야마시타 히로유키 - 연출, 애니메이터
- 카와사키 히로츠구 - 연출, 애니메이터
- 와카바야시 아츠시 - 연출, 애니메이터
- 사토 신지 - 연출, 애니메이터
- 후지이 토시로 - 연출, 애니메이터
- 셋샤 고로 - 연출, 애니메이터
- 마츠모토 노리오 - 애니메이터
- 타나카 히로노리 - 애니메이터
- 야마시타 신고 - 애니메이터
- 쿠보 츠구유키 - 애니메이터
- 니노미야 츠네오 - 애니메이터
- 황청시 - 애니메이터
- 카이 야스유키 - 애니메이터
- 이시가미 히로미 - 애니메이터
- 코바야시 나오키 - 애니메이터
- 하시모토 신지 - 애니메이터
- 마스다 히로후미 - 이펙트
- 하시모토 타카시 - 이펙트
- 엔도 마사아키 - 이펙트
- 마츠모토 켄고 - 애니메이터
- 야부노 코지 - 애니메이터
- 이토 히데츠구 - 애니메이터
- 코다 마사유키 - 애니메이터
- 후지사와 켄이치 - 애니메이터
- 타나카 히로토 - 애니메이터
- 카와이 시게키 - 애니메이터
11. 작화로 유명한 에피소드
종종 고급 인력을 모아 만들어서 액션이나 연기 표현 작화가 뛰어난 에피소드가 있다. 다만 나루토와 보루토 시리즈는 그림체보다 액션에 힘 주는 게 전통이므로 그림체는 다소 무너질 수도 있다.움직임을 제외하고 분위기와 그림체만 본다면 마츠시마 아키라, 효도 마사루(兵渡 勝)도 인기있는 작화감독이다. 회차 목록에서 찾아보면 된다.
하이라이트는 수입사에서 예고편으로 보라고 올린 것으로 모든 액션 신, 명장면이 다 있는 건 아니니 본편을 직접 보는 것을 권한다.
질풍전을 나루토의 에피소드 분량과 합쳐서 셀 때는 220을 더하면 된다. [35]
12. 뒷이야기
자세한 내용은 나루토(애니메이션)/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13. 극장판
||<-3><table bordercolor=#FF0000><table align=center><bgcolor=#FFFF00><table color=#000><:>
나루토
극장판 ||
1기 | 2기 | 3기 |
나루토 질풍전 극장판 | ||
1기 | 2기 | 3기 |
나루토, 죽다! | 인연:숙명의 재회 | |
4기 | 5기 | 6기 |
더 로스트 타워 | 블러드 프리즌 | 로드 투 닌자 |
나루토 더 무비 | ||
1기 | 2기 | |
질풍전을 제외하면 극장판이 3작품이 있으며 액션 작화 수준은 3작품 모두 매우 높다. 반면 내용은 당시 나루토는 어린이 만화라는 인식이 있어서 세 작품 모두 전체이용가이다. 원작 318화 표지에 극장판 등장인물들이 등장한다.
14. 스핀오프
14.1. OVA
-
빨간 네잎클로버를 찾아라(紅き四つ葉のクローバーを探せ, 2002)
2002년 점프페스타에서 처음 보여졌다.
-
폭포마을에서의 사투 - 영웅의 물(滝隠れの死闘 オレが英雄だってばよ, 2003)
2003년 점프페스타에서 처음 보여졌다.
-
나뭇잎 마을의 대운동회(木ノ葉の里の大運動会, 2004)
극장판 1기와 동시개봉한 단편. 극장판 1기 DVD에 수록.
-
마침내 격돌! 상급닌자vs하급닌자!!(ついに激突!上忍VS下忍!!無差別大乱戦大会開催!!, 2005)
나루티밋 히어로 3에 동봉돼 있다.
이 외의 OVA에 대해서는
나루토 위키를 참고하자.
14.2. 외전
14.3. 20주년 기념 영상 'ROAD OF NARUTO'
2022년 20주년 기념으로 만든 기념 PV 영상. 애니메이션의 명장면을 모아서 만들었으며 전부 새로 그렸다. 원작 팬이 명장면으로 꼽는 장면이 일부 없는데 그건 이 영상이 애니메이션의 명장면을 모은 것이라 그렇다. 다만 원작에 있는 에피소드만 선정했으며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의 장면은 포함되지 않았다.
감독,연출 사사하라 요시후미(笹原嘉文). 콘티 와타나베 마사하루. 총 작화감독 니시오 테츠야.
사용된 악곡은 나루토 OP2 아득한 저편, OP4 GO!, OP5 청춘광소곡, 나루토 질풍전 OP3 블루 버드, OP6 SIGN, OP16 실루엣이다.
한국에서는 이 영상이 나온 뒤 나루토를 수입한 미디어캐슬에서 나루토 방송 20주년을 맞아 HD 리마스터링 더빙판을 방영하기로 결정했고 웨이브에서 독점으로 더빙판 전편을 스트리밍서비스하기로 결정했다. 스트리밍은 무인편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업로드 되었으며 2023년 2월 23일 현재 기준으로 질풍전 9기까지 업로드 되었다.
14.4. 20주년 기념 신작
2023년 9월 3일부터 20주년 기념으로 신작 에피소드가 전 4화로 방송될 예정이다. 그러나 방영을 곧바로 앞둔 8월 29일에 퀄리티 향상의 이유로 제작 일정이 늦어지게 되었다며 방영 연기 소식을 전했다. #그로 인해 나루토 라이브 공연에서 진행될 상영회 또한 취소되었다. 정확한 방송 날짜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아 사실상 무기한 연기로 보고 있다.2023년부터 나루토, 보루토의 스태프들이 IG Port로 대거 이적하였는데 그 영향으로 제작에 차질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15. 기타
- 국내 방영 직후 2005년에 아티스가 운동화를 발매했고, 2006년에 천재교육이 <우등생전과> 2학기 교재와 콜라보했다.
- 같은 제작사가 담당한 블리치도 그렇지만, 미발매된 OST가 너무 많다.[44] 미발매된 OST를 따로 모아둔 유튜브 채널 # 매우 많이 미발매됐기 때문에 팬들은 나루토 OST는 언제 발매되냐라고 아쉬워하는 반응을 내비치고 있다.
- OST 관련으로 신기한 점이 있는데 극장판에서 쓰인 OST가 본편 애니에선 쓰이지 않았다. 같은 제작사가 담당한 블리치는 물론이고 많은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극장판 OST도 본편에 삽입하는데 나루토는 그런 적이 없었다. 오히려 극장판 OST를 편곡해서 삽입하는 방식을 쓴다.[45] 즉, 그대로 삽입하는 방식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16. 둘러보기
일본의 장편 주간 TV 애니메이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69년 | 1979년 | 1988년 | 1990년 |
사자에상 ( 후지 TV) 2800회+ |
도라에몽 ( TV 아사히) 2440회+ |
날아라 호빵맨 ( 닛폰 TV) 1650회+ |
마루코는 아홉살 (후지 TV) 1410회+ |
|
1992년 | 1993년 | 1993년 | 1996년 | |
짱구는 못말려 (TV 아사히) 1230회+ |
닌자보이 란타로 ( NHK) 2270회+ |
내친구 호비 ( TV 도쿄) 1350회+ |
명탐정 코난 (닛폰 TV) 1130회+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4년 | |
포켓몬스터 (TV 도쿄) 1300회+ |
오자루마루 (NHK) 1880회+ |
원피스 (후지 TV) 1110회+ |
프리큐어 (TV 아사히) 860회+ |
|
방영년도 순으로 정렬, 방영 분량 10분 이상, 21세기에도 방영한 작품, 임시로 몇 개월 이상 중단하거나 하지 않고 종영까지 주간으로 연이어 방영되어온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종영작도 포함 |
}}}}}}}}} |
[1]
2002년 10월 방송분부터 2003년 3월 방송분까지
[2]
2003년 4월 방송분부터 2006년 9월 방송분까지
[3]
2006년 10월 방송분부터 2007년 2월 종영까지
[4]
2022년 10월 30일부터 HD 리마스터 더빙판 4화 연속 방송.
[5]
쿨로 환산 시, 18쿨
[6]
투니버스 오리지널 및 질풍전 2기 일부까지, 질풍전 2기 방영 도중
대활극! 설희인법첩,
대격돌! 환상의 지하유적과 함께 15세 이상 시청가로 상향되었다.
[7]
투니버스: 질풍전 2기 일부 이후부터, (2010.04.21이후)애니박스: HD 리마스터 더빙판 전회차
[8]
약이 붙은 건 원작 스토리에 애니판 오리지널 스토리를 섞은 편들이 많기 때문.
[9]
다테 하야토 감독 말로는 나루토의 스태프는 대부분 원작 팬이라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에피소드는 마음대로 해도 좋다고 해도 많은 사람들이 안 하겠다고 해서 곤혹을 치렀다고 한다. 그래서 질이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10]
치카라는 극장판으로 내려던 기획이 무산되어 TVA로 방영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원작과 연결되지 않는 완전 오리지널 스토리.
[11]
다만 원작과 오리지널이 섞이거나 원작 내용과 달라진 경우도 꽤 있으니 정확히 일치하진 않는다.
[12]
3기 31화(135화)까지가 1부 본편. 이후 오리지널.
[13]
9기 27화(699화)까지가 2부 본편. 이후 오리지널.
[14]
프롤로그부터 25화까지의 이야기와 주역 캐릭터들을 다룬 총집편으로, 1화부터 정주행한 사람들의 경우 건너뛰어도 본편 이야기 이해에 하등 영향을 주지 않는다.
[15]
나루토 설정집 임의 서에 수록된 단편 만화를 기반으로 애니화.
[16]
2022년 이후로 나루토의 판권은 미디어캐슬의 재계약으로 인해 더이상 투니버스는 관여할 수 없게 되었다. (추정) 종영한지 4년만에 실연
[17]
로드 투 닌자는 당시 질풍전 4기 + 록리의 청춘 닌자전의 감수를 더블로 맡고 있던 정영인 번역가의 업무가 많아서 정은이 담당했다.
[18]
이들 중
윤미나,
전광주는 이 작품에 출연함으로서
대교방송 출신 성우로는 처음으로 투니버스 작품에 진출하였다. 사실 이전에도
안현서가
디지몬 프론티어 극장판
고대 디지몬 부활에 출연했으나, 이 경우는
타 방송사에 했던 작품의 캐스팅을 그대로 유지해서 출연한 케이스.
[19]
구자형의
우치하 이타치,
시영준의
마이트 가이,
홍시호의
토비 등 손가락으로 세기 어려울 정도다.
[20]
2003년 방영했던 저화질 원본부터 그대로 가져와 시기별로 넘어가면서 화질이 좋아지는것을 알수있으나... 형편없는 번역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 또한 국내 두번째 수입사인 미디어캐슬이 2023년부터 HD리마스터버전으로 자막판 서비스를 다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1]
㈜미디어캐슬 강상욱 대표는 “나루토 더빙판은 과거 국내 실력파 성우진들의 녹음으로 큰 호응을 얻었고, 2018년 질풍전이 종영된 이후 그동안 정식 서비스를 통해 볼 수 있는 곳이 전무 했었다. HD 리마스터링 버전을 명품 한국어 더빙 버전으로 선보이게 된 것은, 팬 여러분들의 끊임없는 요청이 있어서 가능했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선보이게 된 한국어 더빙판을 HD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더욱 깨끗하고 선명하게 즐겨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나루토’ HD 리마스터링 한국어 더빙판은 오는 10월 30일(일) 애니박스 방영을 시작으로 10월 31일(월)부터 웨이브 OTT 독점 서비스를 비롯, SKB, 올레TV, LGU+, 홈초이스, 네이버 시리즈온 등을 통해 서비스 될 예정이다.
보도 기사
[22]
22년 12월 기준
[23]
23년 1월 기준
[24]
일본어판 원본 오프닝, 예고편 제외
[25]
투니버스는 나루토가 방영했던 2005년 당시에 SD버전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당시의 원본도 SD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SD에서 HD로 투니버스의 편집 방법(서체나 그래픽)을 HD판에 적용하려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에 애초에 말 그대로 HD 더빙판 서비스가 목적인 미디어캐슬 측에서는 결국 다 버리고 더빙판 녹음본만 싱크에 맞게 편집했다. 하지만 투니버스가 HD로 전환한 시기는 2013년인데, 이때는 '나루토 질풍전'이 방영하고 있었다. 투니버스가 클린본을 받아서 한글화한 때가 '질풍전 9기' 이후였기 때문에 미디어캐슬에서 '질풍전 9기' 이후로의 화면수정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아마 자막으로 처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26]
예를 들어 본래 시즌1의 경우 첫번째 오프닝인『R★O★C★K★S』가 1화부터 25화까지 나오고 두번째 오프닝인 『遙か彼方(아득한 저편)』가 26화부터 변경되어 나오나 시즌 내내 오프닝이 바뀌지 않고 『R★O★C★K★S』로 통일되어 나온다.
[27]
특히 활주는 2005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버즈 무대의
오프닝 곡이었다. 대중가요 시상식에서 애니메이션 관련곡이 등장한 최초의 사례일듯.
[28]
특히 2000년대부터 애니메이션 출연을 잘 하지 않는 원로성우인 송도영의 캐스팅은 정말 의외라며 팬들이 크게 감동했다.
[29]
여담으로 박소라는 사스케의 성우인
김영선과 동기이자 아내이다.
[30]
김기흥의
우미노 이루카,
신용우의
휴우가 네지,
현경수의
이누즈카 키바,
홍범기의
록 리,
이용신의
테마리 &
유우히 쿠레나이,
정유미의
휴우가 히나타,
정혜옥의
카자마츠리 모에기 &
휴우가 하나비,
김영찬의
아키미치 쵸지 등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31]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콘티를 하는 사람이 전체적인 액션 설계를 담당한다.
드래곤볼이나 나루토 같이 무술 액션이 중요한 애니메이션을 볼 때는
작화감독보다
콘티를 보고 에피소드를 고르는 것이 좋다.
[32]
다른 원화 애니메이터는 보통 액션신 장면을 10초 ~ 1분 정도만 담당하고 다른 사람에게 넘겨 장면 단위로만 작화가 좋으나 이 사람은 혼자 5분 ~ 10분 이상 그려서 그 에피소드 전체의 액션이 대단해진다.
[33]
원작 분량을 다 애니화하고 그만뒀다. 이후의 감독들은 외전을 애니화한 것이다.
[34]
질풍전부터 참여.
[35]
한국과 서양은 220을 뺀 걸로 계산할 때가 많고, 일본은 나루토와 쭉 합쳐서 센다.
[36]
세계의 나루토 팬 애니메이터가 이 에피소드를 보고 이 에피소드처럼 작화를 하는
WEB계 애니메이터라는 계파를 만들게 됐다.
쿠츠나 켄이치,
야마시타 신고,
스펜서 완은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바꾼 에피소드라고 평했다. 나루토 시리즈가 그림체를 단순화 시켜서라도 액션을 추구하게 된 것도 이 에피소드 때문이기도 하다.
[37]
야마자키 하루미가 호평.
[38]
질풍전 476화, 보루토 217화도 이 에피소드 오마주이다.
[39]
황청시가 호평.
야마시타 히로유키의
킬러 비 작화는 대체 어떻게 그렸는지 모르겠다고 한다.
[40]
167화와 그림체를 맞추려고 했는지 평소의 스즈키 히로후미 그림체로 작화를 하지 않았다.
[41]
야마시타 신고가
이 에피소드는 액션을 보여주겠다고 캐릭터 디자인을 무시하고 혼자 5000장 넘게 그려서 논란이 있었으나 액션은 뛰어나니 액션을 보면 좋다. 야마시타 신고에 따르면 작화 매수 1만 장 이상 (일반 애니메이션 제작비 2배 이상) 쓴 에피소드로 돈을 안 들여서 작화가 무너진 건 아니고 연출과 작화 의도가 그런 것이다.
[42]
290 ~ 295화는
츠루 토시유키가 감독, 구상한 오리지널 6부작이다.
[43]
이 에피소드는 CG로 했다고 논란이 있었는데 실은 전부 손으로 그린 작화다.
[44]
최소 70개 이상일 정도.
[45]
대표적으로, 질풍점 OST 앨범 3탄에 수록된 Itachi Uchiha는 극장판 로드 투 닌자의 My name을 편곡한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