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1:34:03

김영환(군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영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 창설 간부 7인
파일:공군창설간부_최용덕.jpg 파일:공군창설간부_김정렬.jpg 파일:공군창설간부_김영환.jpg 파일:공군창설간부_박범집.jpg 파일:공군창설간부_이근석.jpg 파일:공군창설간부_장덕창.jpg 파일:공군창설간부_이영무.jpg
최용덕 김정렬 김영환 박범집 이근석 장덕창 이영무

파일:금관문화훈장 약장.png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조택원
무용가
1975
안수길
소설가
1976
홍종인
언론인
1977
최석채
언론인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1980
전봉초
음악가
1981
김소월
시인
1982
이효석
소설가
1982
조지훈
시인
1983
홍승연
언론인
1983
천관우
언론인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1984
장발
미술가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1986
홍진기
언론인
1987
김남중
언론인
1990
모윤숙
시인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1994
김상만
언론인
1994
나운영
음악가
1994
이숭녕
국어학자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1995
김소희
국악인
1995
문신
미술가
1995
정명훈
음악가
1995
이대원
미술가
1995
류경채
미술가
1996
송석하
민속학자
1996
신용호
기업인
1996
조병화
시인
1997
신순남
미술가
1997
홍두표
언론인
1997
최창봉
언론인
1997
정진숙
출판인
1997
고병익
역사학자
1998
방우영
언론인
1998
김연준
작곡가
1999
방일영
언론인
1999
방종현
국어학자
1999
김세형
음악가
1999
이유태
미술가
1999
김흥수
미술가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1999
송건호
언론인
2000
황순원
소설가
2000
백남준
미술가
2000
서정주
시인
2001
김기창
미술가
2001
김천흥
국악인
2001
장우성
미술가
2001
김수영
시인
2001
최영희
역사학자
2002
임권택
영화감독
2002
오지호
미술가
2003
박동진
국악인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2004
구상
시인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2005
박성용
기업인
2005
정세영
기업인
2006
신상옥
영화감독
2006
김동원
연극인
2006
차범석
극작가
2006
조남철
바둑기사
2007
송도균
언론인
2007
노성대
언론인
2007
송범
무용가
2008
박경리
소설가
2008
이청준
소설가
2008
김영랑
시인
2009
유현목
영화감독
2010
전숙희
수필가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2011
박완서
소설가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2012
이건희
기업인
2012
허동수
기업인
2012
김형규
국어학자
2013
이우환
미술가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2014
이은관
국악인
2016
백성희
연극인
2016
임영웅
연극인
2017
박맹호
출판인
2018
최인훈
소설가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2018
정지용
시인
2018
황병기
국악인
2020
서세옥
미술가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 고바우 영감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2021
윤여정
영화배우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2021
박서보
화가
2022
송기숙
작가
2022
송해
희극인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2022
김지하
시인
2022
이정재
배우
2022
황동혁
감독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2023
조수미
성악가
2023
이미경
기업인
2024
이문열
소설가
}}}}}}}}} ||
김영환
金英煥 | Kim Young-hwan
파일:김영환.jpg
<colbgcolor=#128ad1><colcolor=#000080> 출생 1921년 1월 8일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
사망 1954년 3월 5일 (향년 33세)
강원도 명주군 묵호읍 상공
(現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묵호동 상공)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1장군묘역-58
본관 경주 김씨[1]
창공(蒼空)
복무 일본 제국 육군
1945년
대한민국 공군
1945년 ~ 1954년 3월 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28ad1><colcolor=#000080> 부모 아버지 김준원
형제자매 김정렬
친인척 큰아버지 김기원
학력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연희전문학교 (졸업)
간사이대학 (법학과 / 중퇴)[2]
일본육군예비사관학교 (졸업)
일본 센다이 육군비행학교 (졸업)
종교 불교
임관 군사영어학교 (1기)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특3기)
최종 계급 소위 (일본제국 육군)
준장 (대한민국 공군)
상훈 충무무공훈장 수훈
미국 비행훈장 수훈
공비토벌기장 수훈
한국전쟁 종군기장 수훈
대통령수장 수훈
을지무공훈장 수훈
유엔종군기장 수훈
미국 공로훈장 수훈
금관문화훈장 추서
}}}}}}}}}

1. 개요2. 생애3. 기타4. 매체에서의 김영환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FkgDKidVUAERMgs.jpg
파일:FkgDPqYVUAAM0tS.jpg
김영환 대령의 F-51 205번기
대한민국의 군인. 김정렬 국무총리의 동생이다. 본명은 김영렬이지만 개명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일화는 김두만 장군의 회고를 기록한 항공 징비록(저자: 김덕수)에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2. 생애

일본 간사이대학 법과 재학 중 징집되어 비행훈련을 받았고, 실전에 투입되지 못하고 일본 제국 육군 항공소위로 종전을 맞으면서 소집해제되었다. 즉, 학병 출신이다. 광복 후 조선경비대 정보국장을 거쳐 최용덕, 김정렬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앞장섰다.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3년 2월 15일, 김영환 대령은 공군 제1전투비행단 예하 제10전투비행전대에서 비행단으로 승격된 제10전투비행단의 초대 비행단장이 되었다. 당시 제1전투비행단은 후방에서 조종사 훈련에 전념하고 있었기에 제10전투비행단 단장이 된 김영환 대령은 공군에서 실질적인 전투력을 책임진 지휘관이었다.

김영환 장군이 유명한 이유 중 하나는 해인사를 구해낸 작전에서 중심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지리산 일대의 빨치산 잔당 토벌명령을 받은 김영환 대령은 F-51D 전투기를 몰고 편대원들과 출격, 미군기가 떨어뜨린 연막탄을 보고 폭격을 개시하려 했다. 그런데 그곳이 바로 해인사였기에 전시상황에서의 명령불복종에 따른 즉결처분을 각오하면서 항명해 편대원들에게 폭격을 불허하고, 기총으로 위협사격을 가해 쫓아내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 덕분에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팔만대장경이 각각 세계기록유산 세계유산으로 남을 수 있었다.
해인사에는 700년을 내려온 우리 민족정신이 어린 문화재가 있습니다. 2차 대전 때 프랑스 파리를 살리기 위해[3] 프랑스 전체를 나치 넘겼고[4], 미국이 문화재를 살리려고 교토를 폭파하지 않은 이유를 상기해 주시기 바랍니다."[5]'교토에 핵을 떨어뜨리면 유일한 일본 본토 교양인들이 없어져 폭격의 의미를 아무도 이해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심지어 교토 폭격만큼은 자신이 결정하겠다는 초강수를 두었다. 물론 스팀슨의 고집 이외에도 언젠간 천황이 다시 돌아올 곳'''이라는 정신적 의미가 큰 교토를 쑥밭으로 만들면 안그래도 일억 총특공을 운운하는 일본인들이 눈이 뒤집어져서 덤빌 가능성도 반영이 되었다.]
명령불복종에 대한 문책 당시 해인사를 폭격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한 말

김영환의 명령불복종에 대노한 이승만은 김영환에게 항의를 하였고 즉결처분당할 위기에 처했지만, 배석하고 있던 공군참모총장 김정렬(김영환의 형)이 팔만대장경의 중요성과 그간의 공적을 역설하여 즉결처분은 모면했다. 2010년에야 문화유산을 지켜낸 공로가 인정되어 고인에게 무공훈장이 아닌 문화훈장 중 최고등급인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이후 준장으로 진급했으며, 1954년 3월 5일에 행사 참석차 강릉[6]으로 비행기를 몰고 가던 중 악천후로 동해시 인근 상공에서 비행기가 추락하면서 순직하였다. 정확히는 실종되었으나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고 순직처리한 것이다. 현재 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1묘역에 가묘가 조성되어있다.

3. 기타

4. 매체에서의 김영환

서프라이즈 2013년 9월 29일 방송분에서 해인사와 장경판전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5. 관련 문서



[1] 상촌공파 20세손 '렬(烈)'자 항렬을 써서 원래 이름이 김영렬(金英烈)이나 나중에 김영환(金英煥)으로 개명했다. [2] 일본군 육군으로 징집되면서 중퇴 [3] 이미 앞서 나치 독일은 항복을 거부한 바르샤바에 무차별 폭격을 날렸다. 20세기 바르샤바는 동유럽의 파리라고 불리었을 정도로 아름다운 도시였지만 1939년 바르샤바 폭격으로 큰 피해를 보았다. 이를 본 프랑스는 파리가 전상으로 파괴 될것을 우려하여 비무장도시로 선언하고 독일에게 순순히 넘겨주었다. 훗날 연합군이 파리에 접근하자 히틀러는 파리를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디트리히 폰 콜티츠 군정장관이 인류의 죄인이 될 수 없다며 거부하고 파리를 온전히 연합군에게 넘겨주었다. [4] 약간 사실과 다른 부분으로 파리 비무장 도시 선언은 6월 10일이었고 파리 함락은 6월 14일, 패탱의 항복 선언은 6월 17일이었다. [5] 다른 지역도 문화재가 많은데 다른 곳은 쑥대밭이 되었고 교토는 문화재 보호라는 이유로 폭격을 못하게 된건 미 육군성 장과 핸리 스팀슨의 교토 사랑에서 나왔다. 핸리 스팀슨은 미국 요직자 중 드물게 일본에 자주 드나들었는데 이때 교토의 분위기를 마음에 들어했다고 한다. 신혼 여행도 교토로 다녀 왔을 정도로 교토를 좋아했고 자신의 신혼여행지가 사라지는게 싫어서 일본 본토폭격 동안 커티스 르메이와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였던 그로브스 장군은 주야장 교토를 폭격하게 해달라고 징징거렸지만 스팀슨은 [6] 당시 제10전투비행단의 기지가 있었다. [7] 김덕수. 항공징비록. 21세기 북스. 2017. pp. 254-261 [8] 당시 함께 출격했던 조종사인 김두만 공군참모총장이 불시착한 그를 엄호하기 위해 공중에서 분투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