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12:11:21

곽태휘

곽태휘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박주영
(2011)
곽태휘
(2012~2013)
하대성
(2013)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전남 드래곤즈 역대 주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7)
김기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유동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김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노상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정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2001)
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김도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유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김현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김효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송정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곽태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염동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0)
이운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이승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방대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15)
최효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김영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최효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김주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이종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현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후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고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3F98>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울산 HD FC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허정무
(1984~1986)
최강희
(1987~1990)
최인영
(1991~1992)
최영일
(1993~1995)
김현석
(1996~1997)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송주석
(1998)
박정배
(1998~1999)
김종건
(1999)
김상훈
(2000~2001)
정정수
(2001)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김도균
(2002)
유상철
(2003)
조세권
(2003)
박진섭
(2004)
현영민
(2005)
<rowcolor=#fff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유경렬
(2006~2007)
박동혁
(2008)
유경렬
(2009)
오장은
(2010)
곽태휘
(2011~2012)
<rowcolor=#ffffff>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김영광
(2013)
김치곤
(2013~2015)
김태환
(2016)
김성환
(2017)
강민수
(2017~2018)
<rowcolor=#ffffff>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이근호
(2019)
신진호
(2020)
이청용
(2021~2022)
정승현
(2023)
김기희
(2023~ )
}}}}}}}}}}}}}}} ||

파일:FC서울 엠블럼(검빨배경).svg
FC 서울 역대 주장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한문배
(1984)
김광훈
(1985)
박항서
(1986)
정해성
(1987~1988)
최진한
(1989~1990)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이영진
(1991~1992)
구상범
(1993)
최영준
(1994)
윤상철
(1995)
이영익
(1995~1996)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조병영
(1997)
김봉수
(1998)
강준호
(1999)
최용수
(1999~2000)
김귀화
(2000)
<rowcolor=#fff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이상헌
(2001)
손현준
(2001)
최윤열
(2002)
김성재
(2003~2004)
이민성
(2005~2006)
<rowcolor=#ffffff>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이을용
(2007~2008)
김치곤
(2009)
박용호
(2010~2011)
하대성
(2012~2013)
김진규
(2014)
<rowcolor=#ffffff>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고명진
(2015)
차두리
(2015)
오스마르
(2016)
곽태휘
(2017)
신광훈
(2018)
<rowcolor=#ffffff>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고요한
(2018~2020)
기성용
(2021~2022)
나상호
(2022)
일류첸코
(2023)
오스마르
(2023)
<rowcolor=#ffffff> 36대 37대 38대 39대 40대
기성용
(2024~)
}}}}}}}}}}}}}}} ||

}}} ||
곽태휘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K리그1 로고.svg
2011 · 2012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
2014 · 2016
파일:2015_아시안컵_로고.png
}}} ||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파일:태휘근황.jpg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이름 곽태휘
郭泰輝 | Kwak Tae-Hwi
출생 1981년 7월 8일 ([age(1981-07-08)]세)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동
(現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1])
본관 현풍 곽씨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왜관중학교 (졸업)
대구공업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 / 학사)
직업 축구 선수 ( 센터백 / 은퇴)
축구 코치
신체 185cm, 80kg
프로 입단 2005년 FC 서울
소속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선수 FC 서울 (2005~2007)
전남 드래곤즈 (2007~2009)
교토 상가 FC (2010)
울산 현대 (2011~2012)
알 샤바브 FC (2013)
알 힐랄 SFC (2014~2016)
FC 서울 (2016~2018)
경남 FC (2019~2020)
감독 경남 FC (2020 / 플레잉 코치)
청두 룽청 (2021~2022/ 코치)
국가대표 58경기 5골 ( 대한민국 / 2008~2017)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fff> 병역 병역면제[2]
등번호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5번, 4번[3], 16번[4], 23번
전남 드래곤즈, 교토 상가 FC, 울산 현대, 경남 FC - 5번
알 샤밥 - 17번
알 힐랄 - 55번
FC 서울 - 55번[5], 2번[6]
종교 개신교[7]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통산 성적
4.1.1. K리그4.1.2. 국가대표팀
4.2. 우승 기록4.3.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6. 지도자 경력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축구 선수 출신 코치. 현재 청두 룽청 소속 코치로 재직하고 있다.

2. 클럽 경력

파일:226931_gallery.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곽태휘/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3253513.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곽태휘/국가대표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록

4.1. 통산 성적

4.1.1. K리그

출전 도움 경고 퇴장
229 20 6 28 1

4.1.2. 국가대표팀

연령 출전
U-17 0 0
U-20 0 0
U-23 0 0
A대표 58 5
종합기록 58 5

4.2. 우승 기록

4.3.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

선수 시절의 곽태휘는 매우 막강한 피지컬을 보유한 센터백이었다. 꽃미남스러운 외모와 달리 굉장히 터프하고 파워풀한 수비를 했는데, 일례로 2010년 3월 코트디부아르와의 경기에서 디디에 드록바에게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을 정도로 피지컬 하나만큼은 국내 센터백 중에서도 수위권이었다. 여기다 점프력도 엄청난데, 축구를 시작하기 전에 높이뛰기 선수였을 정도였다고. 이렇게 뛰어난 피지컬을 바탕으로 대인 마크와 제공권 장악에 강점을 보인, 굉장히 영리한 '파이터형 수비수'라고 할 수 있다.



센터백임에도 공격적인 능력도 뛰어났다. 위 영상처럼 세트피스 상황에서의 헤딩슛이 굉장히 위협적으로, 앞서 말한 영리한 위치 선정과 강력한 몸싸움, 엄청난 점프력을 바탕으로 하여 굉장히 높은 타점에서 달려오면서 내리 꽂는 헤딩슛을 보여준다. 울산 현대에서도 철퇴 축구의 한 축으로 세트피스 가담시 무서운 존재감을 발휘했으며, 2011년 울산 현대에서는 9골을 기록해 같은 팀의 공격수인 김신욱보다도 많은 골을 넣어 팀내 최다 득점자였을 정도다.[8] 장면 1 장면 2 장면 3 게다가 꼭 세트피스 상황이 아니라도 공격에 자주 가담하는 편이었다. 오버래핑 식으로 공간이 보이면 직접 공을 몰고 올라와 패스를 뿌리거나, 중거리 슛팅을 하고 돌아가기도 한다. 가끔 경기 막판 급할때는 최전방에서 장신 공격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킥력도 나쁘진 않아서 중거리 슛이나 중장거리 프리킥도 제법 많이 차는 파워슛터이다. 이러한 곽태휘의 뜬금포 공격 가담은 2008년 2월 동아시아컵 중국전이 대표적이다. 이날 곽태휘는 역전골을 넣었는데, 뜬금없이 전방으로 올라와 슈팅을 때려 결승골을 넣었다. 해당 영상 2분 40초 경부터 이러한 장면들 때문에 골 넣는 수비수라고도 많이 불렸다.

롱패스를 이용한 빌드업도 본래 커맨더형 수비수가 아니라는 걸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편. K리그 레벨에서는 상위권의 빌드업 능력을 보여줬으며, 이런 특징으로 인해 팬들은 곽테리 또는 곽테라치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상술한 커맨딩 능력과 축구 지능은 나이가 들고 경험이 쌓이며 더욱 빛을 발하게 되었다. 수비 조율 능력과 전술적인 판단력이 많이 향상되면서 마지막 전성기 시절에는 파이터형 수비수에다가 훌륭한 커맨더의 역량까지 갖추게 되었다. 특히 슈틸리케호 시절 우즈베키스탄전에서의 플레이는 백미였으며 역대 선수들 가운데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지시를 통한 수비라인 변화 및 조율을 보여줬다. 노쇠화로 인해 신체능력이 떨어진 곽태휘를 많은 감독들이 쉬이 포기하지 못했던 이유가 이 때문이었다. 그를 대신할 수비리더는 장현수 였으나[9] 불명예스럽게 대표팀 경력이 끝나버려 아쉬운대로 김영권- 김민재체제로 굳혔다.[10]

단점은 강한 피지컬을 보유한 센터백들이 으레 그렇듯 민첩성이 나쁜 편[11]이었다. 최고 속도가 느린 것은 아니지만 단거리를 빠르게 가속하는 능력과 순발력 면에서는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곽태휘는 공격수와의 1:1 상황이나 스피드 경합 상황이 오면 안 좋은 모습을 많이 보였다. 아시아 레벨에서 울산처럼 철퇴를 휘두르며 웅크리고 있는 팀에선 괜찮지만 국가대표에선 아무래도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12][13]

6. 지도자 경력

2020 시즌 강등당한 경남 FC에 잔류하며 플레잉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울산과 대표팀에서 한솥밥을 먹던 설기현 감독을 보좌했고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2021 시즌부터 서정원 감독이 부임한 중국 2부 리그의 청두 룽청에 코치로 합류했다. 그리고 팀 창단 첫 중국 슈퍼리그 승격에 이바지했다. 2022 시즌을 끝으로 팀을 떠났다.

7. 여담


파일:attachment/곽태휘/info.jpg

파일:/image/139/2015/09/17/SK001_20150916_2704ext04_99_20150917042803.jpg

이처럼 이런저런 부상으로 마음고생을 많이 해서인지 예전 본인의 미니홈피에 이러한 여려 역경을 딛고 베테랑 선수로 부상했던 커리어를 생각하면서 상당히 가슴이 찡한 내용이 적혀있었다.

8. 관련 문서



[1] 경상북도는 1988년 이전에 대부분의 군에서 읍면의 하위 행정단위로 리 대신 동을 썼다. [2] 고교 시절 왼쪽 눈 망막 파열로 인해 면제되었다. 처음에는 아예 뿌옇게 보였지만, 지금은 이미 적응이 되어 흐릿하게 보이는 정도라고 한다. [3] 2014년 브라질 월드컵 [4] 2008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5] 서울 2기 [6] 서울 1기 [7] 기사. 참고로 기사에 나온 손흥민 크리스천이 아닌 무종교로, 종교 자체가 아예 없다. 하지만 경기 전에 기도를 하는 습관으로 개신교 신자라고 잘못 알려져, 현재까지도 잘못 알고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8] 세트피스 시 키커한테 사람을 보지 말고 공간을 보고 차라고 하고, 공이 오는 것에 집중한다고 하는데 강력한 피지컬 덕택에 공이 본인 쪽으로 오면 그 공을 제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헤딩슛 자체가 정말 날카로웠다. [9] 장현수가 매번 까이는 것 같아도, 모든 클럽팀과 국가대표팀 감독들은 그에게 팀 주장직 혹은 수비 리딩 역할을 맡겼다. [10] 다행히 김영권이 나이가 들고 노쇠해지더라도 김민재 역시 수비라인 조율과 리더 역할을 맡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기에 큰 걱정은 덜어낸 상태다. [11] 100m는 그렇게 느리지 않았다. 손흥민도 2013년 이제까지 붙어본 선수 중 누가 가장 어려웠냐는 인터뷰에서 유럽에서는 FC 바르셀로나 아드리아누이고, 곽태휘는 수비, 헤딩, 주력을 겸비한 아시아 최고의 중앙 수비수라고 언급했다. 다만 일반적인 장신 센터백들과 마찬가지로 단거리를 빠르게 가속하는 능력이 떨어질 뿐이었다. [12] 한국은 아시아밖에서는 도전자의 위치이기 때문에 역습형 전술을 우선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피지컬 자체는 세계수준이나 민첩성이 아쉬운 곽태휘는 클래스에 비해 아쉬운 모습을 자주 보여줄 수밖에 없었다. [13] 사실 월드컵 우승후보급 나라들 주전 센터백들도 민첩성이 아쉬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들은 본인의 대인마크와 위치선정 능력, 그리고 전력에서 앞서는 조국과 동료들의 실력 덕에 위기상황이 드문 편이다. 세계 최정상급 피지컬에 민첩성과 순발력까지 갖춘 센터백은 반 다이크나 김민재 등 몇 명 되지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