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7:20:03

에서 넘어옴
거북 귀/구, 땅 이름 구, 터질 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龜,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6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キ, キュウ, キン
일본어 훈독
かめ, あかぎれ
표준 중국어
guī, jūn, qi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9%BE%9C-order.gi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9%BE%9C-aorder.gif
龜의 일본식 구자체 자형(왼쪽)과 한국식 자형(오른쪽)의 필순.[1]

1. 개요2. 상세3.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4. 용례5. 부수6. 출전7. 유의자8.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거북 귀/구, 땅 이름 구, 터질 균 등의 훈음이 있는 한자이다. 상용한자 중에서는 자형이 매우 복잡하고 괴악하며, 나라에 따라 자형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로 악명 높은 글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거북 <colbgcolor=#fff,#1f2023>땅이름 <colbgcolor=#fff,#1f2023>터지다
귀, 구
중국어 표준어 guī qiū jūn
광동어 gwai1 kau1/gau1 gwan1
객가어 kwui
민남어 ku/kui
일본어 음독 キュウ キ, キン
훈독 かめ あかぎれ
베트남어 qui, quy quân

유니코드에는 U+9F9C[2]에 배당되었고, 주음부호로는 ①ㄍㄨㄟ 또는 ②ㄑㄧㄡ 또는 ③ㄐㄩㄣ[3]으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月尸尸(HBSS) 또는 弓X山(NXU)[4]으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한자 3급, 쓰기한자 2급으로 분류된 고등용 한자이다.

자형이 복잡해서 익히기가 대단히 어렵다. 게다가 훈음이 (거북 귀 / 땅이름 구 / 터질 균) 세 개씩이나 되는데, 두음법칙 등으로 음이 나뉜 것도 아니고 원래부터 음이 세 개이다. 거북이의 의미로 쓸 때는 '귀', 지명· 인명에는 '구', 터지다·갈라지다의 의미로 쓸 때는 '균'. 그러나 예외들은 있다. 지명 龜州는 '구주'로 읽기도 '귀주'로 읽기도 하고, 이곳에서 일어난 전투는 ' 귀주 대첩'이라 하기도 '구주 대첩'이라고 하기도 한다. 구지가도 '귀지가'로 읽지 않는다. 거북선도 조선 시대에는 龜船이라고 표기했는데 '귀선'이라고도 하고 '구선'이라고도 한다.[5] 여러모로 배우는 사람으로 하여금 상당한 짜증을 유발하는 한자이다. 그래도 막상 쓰다보면 쉽게 적응이 된다. 그래도 교과서나 영상물 등에는 항상 '귀주 대첩', '귀선'으로 표기되는 것을 보면 표준 훈음이 거의 '귀'로 정리된 듯. 참고로 균열(龜裂)은 거북이 등처럼 갈라진 형상을 말한다.

음이 세 개인 덕분에 완성형 한자에도 세 번씩이나 중복배당되고 말았다. 통합한자는 龜(U+9F9C)로, 음 '구'에 해당하며, 나머지는 龜(U+F907; 귀), 龜(U+F908; 균)이다. , , , 과 더불어 세 번 이상 중복된 희귀한 사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BE%9C-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BE%9C-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BE%9C-bigseal.svg.png
갑골문 금문 소전

龜는 거북의 모습을 그대로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거북이 모양 그대로다. 소전에도 거북의 형상 특징이 조금 남았다. 거북이의 갈라진 등껍질 모양에서 '터지다'라는 훈이 파생됐다.

부수로 쓰이기도 하지만, 사용하는 자가 24자에 불과한 데다 이 한자를 부수로 쓰는 한자 중 널리 쓰이는 한자는 자기 자신 외엔 없다시피 하다. 거북귀부는 강희자전에서 213번째로 분류된 부수로, 마지막에서 2번째 순이다.

3.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파일:attachment/u9F9C.png
(G: 중국어, T: 대만 국어,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어

중국 자형은 다른 언어·지역의 자형과 윗부분이 다르고, 나머지 언어·지역의 자형들도 가운데 획과 아래쪽 획의 접촉 여부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자형의 차이 때문에 한국식 정자(正字)는 18획인 반면 중국의 정체자 획수는 17획, 일본과 대만은 16획, 홍콩은 한국과 같은 18획인 등 나라마다 획수의 차이가 있다.

3.1. 이체자

안 그래도 나라별로 표준 자형이 다 다른데 이체자도 많다.
자형 부수 및 나머지 획수 유니코드 창힐수입법 비고
표시 코드 로마자 코드
乙부 10획 Ux004E80 弓田中山 1 NWLUNWLU 1 龜의 신자체 일본에서 사용한다. 드래곤볼에서 오공의 도복에 쓰여 있는 한자다. 일부 국가에서 제책방식의 차이로 좌우반전되는 경우 이 한자까지 반전되는 참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龟부 0획 Ux009F9F 弓田山 NWU 龜의 간화자 중국에서 사용한다.
𠁴 丨부 11획 Ux020074 中大大大 LKKK
𠃾 乙부 10획 Ux0200FE 山月大大 UBKK
𤕣 爻부 8획 Ux024563 中田大山 LWKU
𧑴 虫부 12획 Ux027474 弓日中戈 NALI
𪚦 龜부 0획 Ux02A6A6 一中中山 MLLU 유니코드 수다스러울 절자 바로 다음에 배당되었다.
𪚧 龜부 5획 Ux02A6A7 弓日尸中 NASL
𪚨 龜부 2획 Ux02A6A8 十金一難山 JCMXU
𪚺 龜부 5획 Ux02A6BA 弓口口一 NRRM
𪚿 龜부 7획 Ux02A6BF 弓日尸十 NASJ

위는 코드/폰트가 존재하는 경우이고, 코드/폰트가 없는 것까지 포함하면 아래와 같다. 홍색 직사각형은 유니코드에 등록된 자형이다.
파일:79872b13fa.png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4.4. 지명

4.4.1. 한반도

4.4.2. 일본

4.5. 역명

역명에 龜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구산역(龜山驛)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남역(龜南驛)
구명역(龜明驛)
파일:Busan3.sv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龜浦驛)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등구역(登龜驛)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경부고속선 김천(구미)역金泉(龜尾)驛
경부선 구미역(龜尾驛), 구포역(龜浦驛)
역명에 亀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JR)
파일:JRC_Wlogo.svg 간사이 본선
키세이 본선
카메야마역(亀山駅)
파일:JRK-JF.svg 닛포 본선 카메가와역(亀川駅)
파일:JRW-E.svg 산인 본선
(사가노선)
카메오카역(亀岡駅)
파일:JRE_Wlogo.svg 신에츠 본선 카메다역(亀田駅)
파일:JRW-E.svg 우에츠 본선 우고카메다역(羽後亀田駅)
파일:JRE-JB.svg 소부 본선
(완행선)

파일:Tobu-TS.svg 도부 카메이도선
카메이도역(亀戸駅)
파일:JRS-Y.svg 요산선 마루가메역(丸亀駅)
이요카메오카역(伊予亀岡駅)
파일:JRE-JL.svg 조반선
(완행선)
카메아리역(亀有駅)
파일:츠야마선 로고.svg 츠야마선 카메노코역(亀甲駅)
파일:JRWhs-B.svg 카베선 아키카메야마역(あき亀山駅)
파일:JRE_Wlogo.svg 쿠루리선 카즈사카메야마역(上総亀山駅)
파일:JRWsi-E.svg 키스키선 카메다케역(亀嵩駅)
파일:JRC-CE.svg 타케토요선 카메자키역(亀崎駅)
역명에 亀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JR 외)
파일:NGYSub-H.svg 나고야 지하철
히가시야마선
카메지마역(亀島駅)
파일:Tobu-TS.svg 도부 카메이도선 카메이도스이진역(亀戸水神駅)
파일:SER_SY_logo.png 산요 전기철도 본선 카메야마역(亀山駅)
파일:Kumaden_logo.png 쿠마덴 키쿠치선 카메이역(亀井駅)

4.6. 창작물

4.7. 기타

5. 부수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 <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 파일:chinesetop.png ⺿/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 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 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 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 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 파일:chinesebetween.png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chinesetopbottom.png }}} 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6. 출전

사전 내용 원본
설문해자 舊也。外骨内肉者也。从它,龜頭與它頭同。天地之性,廣肩無雄;龜鼈之類,以它爲雄。象足甲尾之形。凡龜之屬皆从龜。
강희자전
[ 펼치기 · 닫기 ]
〔古文〕𠃾𠁴𤕣《唐韻》居追切《集韻》居逵切《韻會》居爲切,𠀤音騩。甲蟲之長。《說文》龜,外骨內肉者也。《玉篇》文也,進也。外骨內肉,天性無雄,以虵爲雄也。《爾雅·釋魚》十龜:一神龜,二靈龜,三攝龜,四寶龜,五文龜,六筮龜,七山龜,八澤龜,九水龜,十火龜。
又《爾雅·釋魚》龜三足,賁。《疏》龜之三足者名賁也。
又《廣雅》龜貝,貨也。《前漢·食貨志》天用莫如龍,地用莫如馬,人用莫如龜。
又星名。《石氏星經》天龜六星,在尾南漢中。
又地名。《春秋·桓十二年》公會宋公于龜。《杜註》宋地。
又山各。《詩·魯頌》奄有龜蒙。《毛傳》龜,山也。左傳,龜隂之田在山北。山今在山東兗州府泗水縣。
又背梁。《左傳·宣十二年》射麋麗龜。《杜註》麗,著也。龜背之隆高當心者。
又官名。《周禮·春官·龜人》掌六龜之屬。
又龜目,酒尊也。《禮·明堂位》周以黃目,蓋以龜目飾尊,今龜目黃。
又《廣韻》居求切,音鳩。龜兹,西域國名。《前漢·西域傳》龜兹,音鳩慈。
又《集韻》《韻會》袪尤切《正韻》驅尤切,𠀤音丘。龜兹,漢縣名。《前漢·地理志》上郡龜兹屬國都尉治。《註》應劭曰:音丘兹。師古曰:龜兹國人來降,處之於此,故名。○按龜兹之龜,有鳩、丘二音。
又《張衡·西京賦》摭紫貝,搏耆龜。搤水豹,馽潛牛。○按此則龜亦叶尤韻,不獨龜兹有丘、鳩二音也。
又《集韻》《韻會》𠀤俱倫切,音麋。《莊子·逍遙遊》宋人有善爲不龜手之藥者,世世以洴澼絖爲事。《註》不龜,謂凍不皺瘃也。《釋文》舉倫反。
又叶於居切《易·損卦》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王褒·僮約》結網捕魚,繳鴈彈鳧。登山射鹿,入水擉龜。

《正字通》龜本字。
1537 페이지

7. 유의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일본 자형은 좌우의 가로획이 이어진다. [2] 亀는 U+4E80, 龟는 U+9F9F [3] 주음부호는 음을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음이 여러 개인 한자는 입력방법도 그만큼 다양하다. [4] 龟는 弓田山(NWU) [5] 그나마 단어 중에서 '균'으로 읽는 것은 균열(龜裂), 균탁(龜坼), 균수(龜手)가 전부고, 그마저도 균열을 제외하면 잘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마이크로소프트 한국어 IME 한자변환에선 '손 얼어터질 균'으로 나온다. [6] 일본 내에선 신자체로 인해 '亀甲縛り'로 사용한다. [7] 이 당시까지는 九가 아닌 이 자로 썼었다. 그 이후 1911년 105인 사건 때 수감되었던 시절부터 이 자를 대신하여 지금의 九로 개명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일본인들도 그를 '긴가메(金龜)'라고 불렀다. [8] 한국에서 만들었음에도 왜인지 일본 신자체가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