龜 거북 귀/구, 땅 이름 구, 터질 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龜,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고등학교
|
|||||||
亀
|
|||||||
일본어 음독
|
キ, キュウ, キン
|
||||||
일본어 훈독
|
かめ, あかぎれ
|
||||||
龟
|
|||||||
표준 중국어
|
guī, jūn, qi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龜의 일본식 구자체 자형(왼쪽)과 한국식 자형(오른쪽)의 필순.[1]
[clearfix]
1. 개요
거북 귀/구, 땅 이름 구, 터질 균 등의 훈음이 있는 한자이다. 상용한자 중에서는 자형이 매우 복잡하고 괴악하며, 나라에 따라 자형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로 악명 높은 글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거북 | <colbgcolor=#fff,#1f2023>땅이름 | <colbgcolor=#fff,#1f2023>터지다 |
음 | 귀, 구 | 구 | 균 | |
중국어 | 표준어 | guī | qiū | jūn |
광동어 | gwai1 | kau1/gau1 | gwan1 | |
객가어 | kwui | |||
민남어 | ku/kui | |||
일본어 | 음독 | キ | キュウ | キ, キン |
훈독 | かめ | あかぎれ | ||
베트남어 | qui, quy | quân |
유니코드에는 U+9F9C[2]에 배당되었고, 주음부호로는 ①ㄍㄨㄟ 또는 ②ㄑㄧㄡ 또는 ③ㄐㄩㄣ[3]으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月尸尸(HBSS) 또는 弓X山(NXU)[4]으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한자 3급, 쓰기한자 2급으로 분류된 고등용 한자이다.
자형이 복잡해서 익히기가 대단히 어렵다. 게다가 훈음이 (거북 귀 / 땅이름 구 / 터질 균) 세 개씩이나 되는데, 두음법칙 등으로 음이 나뉜 것도 아니고 원래부터 음이 세 개이다. 거북이의 의미로 쓸 때는 '귀', 지명· 인명에는 '구', 터지다·갈라지다의 의미로 쓸 때는 '균'. 그러나 예외들은 있다. 지명 龜州는 '구주'로 읽기도 '귀주'로 읽기도 하고, 이곳에서 일어난 전투는 ' 귀주 대첩'이라 하기도 '구주 대첩'이라고 하기도 한다. 구지가도 '귀지가'로 읽지 않는다. 거북선도 조선 시대에는 龜船이라고 표기했는데 '귀선'이라고도 하고 '구선'이라고도 한다.[5] 여러모로 배우는 사람으로 하여금 상당한 짜증을 유발하는 한자이다. 그래도 막상 쓰다보면 쉽게 적응이 된다. 그래도 교과서나 영상물 등에는 항상 '귀주 대첩', '귀선'으로 표기되는 것을 보면 표준 훈음이 거의 '귀'로 정리된 듯. 참고로 균열(龜裂)은 거북이 등처럼 갈라진 형상을 말한다.
음이 세 개인 덕분에 완성형 한자에도 세 번씩이나 중복배당되고 말았다. 통합한자는 龜(U+9F9C)로, 음 '구'에 해당하며, 나머지는 龜(U+F907; 귀), 龜(U+F908; 균)이다. 寧, 說, 率, 樂과 더불어 세 번 이상 중복된 희귀한 사례.
갑골문 | 금문 | 소전 |
龜는 거북의 모습을 그대로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거북이 모양 그대로다. 소전에도 거북의 형상 특징이 조금 남았다. 거북이의 갈라진 등껍질 모양에서 '터지다'라는 훈이 파생됐다.
부수로 쓰이기도 하지만, 사용하는 자가 24자에 불과한 데다 이 한자를 부수로 쓰는 한자 중 널리 쓰이는 한자는 자기 자신 외엔 없다시피 하다. 거북귀부는 강희자전에서 213번째로 분류된 부수로, 마지막에서 2번째 순이다.
3.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G: 중국어, T: 대만 국어,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어
중국 자형은 다른 언어·지역의 자형과 윗부분이 다르고, 나머지 언어·지역의 자형들도 가운데 획과 아래쪽 획의 접촉 여부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자형의 차이 때문에 한국식 정자(正字)는 18획인 반면 중국의 정체자 획수는 17획, 일본과 대만은 16획, 홍콩은 한국과 같은 18획인 등 나라마다 획수의 차이가 있다.
3.1. 이체자
안 그래도 나라별로 표준 자형이 다 다른데 이체자도 많다.자형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유니코드 | 창힐수입법 | 비고 | |
표시 코드 | 로마자 코드 | ||||
亀 | 乙부 10획 | Ux004E80 | 弓田中山 1 | NWLUNWLU 1 | 龜의 신자체로 일본에서 사용한다. 드래곤볼에서 오공의 도복에 쓰여 있는 한자다. 일부 국가에서 제책방식의 차이로 좌우반전되는 경우 이 한자까지 반전되는 참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
龟 | 龟부 0획 | Ux009F9F | 弓田山 | NWU | 龜의 간화자로 중국에서 사용한다. |
𠁴 | 丨부 11획 | Ux020074 | 中大大大 | LKKK | |
𠃾 | 乙부 10획 | Ux0200FE | 山月大大 | UBKK | |
𤕣 | 爻부 8획 | Ux024563 | 中田大山 | LWKU | |
𧑴 | 虫부 12획 | Ux027474 | 弓日中戈 | NALI | |
𪚦 | 龜부 0획 | Ux02A6A6 | 一中中山 | MLLU | 유니코드에 수다스러울 절자 바로 다음에 배당되었다. |
𪚧 | 龜부 5획 | Ux02A6A7 | 弓日尸中 | NASL | |
𪚨 | 龜부 2획 | Ux02A6A8 | 十金一難山 | JCMXU | |
𪚺 | 龜부 5획 | Ux02A6BA | 弓口口一 | NRRM | |
𪚿 | 龜부 7획 | Ux02A6BF | 弓日尸十 | NASJ |
위는 코드/폰트가 존재하는 경우이고, 코드/폰트가 없는 것까지 포함하면 아래와 같다. 홍색 직사각형은 유니코드에 등록된 자형이다.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 가메이 고레노리(亀 井 茲 矩)
- 김구( 金龜)(청년 시절)[7]
- 김영구( 金 榮龜)
- 마니와 우미가메( 真 庭 海亀)
- 메카 카메다(メカ 亀 田)
- 어유구( 魚 有龜)
- 오오가메 아스카( 大亀 あすか)
- 정귀택( 鄭龜 澤)
- 최윤구( 崔 允龜)
- 카메나시 카즈야(亀 梨 和 也)
- 카메다 미츠오(亀 田 光 夫)
- 카메다 세이지(亀 田 誠 治)
- 카메이 에리(亀 井 絵 里)
- 카메이 요시유키(亀 井 義 行)
- 카메이 요시코(亀 井 芳 子)
- 타가메 겐고로( 田亀 源 五 郎)
- 허구연( 許龜 淵)
4.4. 지명
4.4.1. 한반도
4.4.2. 일본
4.5. 역명
역명에 龜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
서울 지하철 6호선 | 구산역(龜山驛)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구남역(龜南驛) 구명역(龜明驛)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구포역(龜浦驛) |
부산김해경전철 | 등구역(登龜驛) |
일반 철도역 |
경부고속선
김천(구미)역金泉(龜尾)驛 경부선 구미역(龜尾驛), 구포역(龜浦驛) |
역명에 亀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JR) | |
간사이 본선 키세이 본선 |
카메야마역(亀山駅) |
닛포 본선 | 카메가와역(亀川駅) |
산인 본선 (사가노선) |
카메오카역(亀岡駅) |
신에츠 본선 | 카메다역(亀田駅) |
우에츠 본선 | 우고카메다역(羽後亀田駅) |
소부 본선 (완행선) 도부 카메이도선 |
카메이도역(亀戸駅) |
요산선 |
마루가메역(丸亀駅) 이요카메오카역(伊予亀岡駅) |
조반선 (완행선) |
카메아리역(亀有駅) |
츠야마선 | 카메노코역(亀甲駅) |
카베선 | 아키카메야마역(あき亀山駅) |
쿠루리선 | 카즈사카메야마역(上総亀山駅) |
키스키선 | 카메다케역(亀嵩駅) |
타케토요선 | 카메자키역(亀崎駅) |
역명에 亀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JR 외) | |
나고야 지하철 히가시야마선 |
카메지마역(亀島駅) |
도부 카메이도선 | 카메이도스이진역(亀戸水神駅) |
산요 전기철도 본선 | 카메야마역(亀山駅) |
쿠마덴 키쿠치선 | 카메이역(亀井駅) |
4.6. 창작물
4.7. 기타
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6. 출전
사전 | 내용 | 원본 |
설문해자 | 舊也。外骨内肉者也。从它,龜頭與它頭同。天地之性,廣肩無雄;龜鼈之類,以它爲雄。象足甲尾之形。凡龜之屬皆从龜。 | |
강희자전 |
|
1537 페이지 |
7. 유의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일본 자형은 좌우의 가로획이 이어진다.
[2]
亀는 U+4E80, 龟는 U+9F9F
[3]
주음부호는 음을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음이 여러 개인 한자는 입력방법도 그만큼 다양하다.
[4]
龟는 弓田山(NWU)
[5]
그나마 단어 중에서 '균'으로 읽는 것은 균열(龜裂), 균탁(龜坼), 균수(龜手)가 전부고, 그마저도 균열을 제외하면 잘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마이크로소프트 한국어 IME 한자변환에선 '손 얼어터질 균'으로 나온다.
[6]
일본 내에선 신자체로 인해 '亀甲縛り'로 사용한다.
[7]
이 당시까지는 九가 아닌 이 자로 썼었다. 그 이후 1911년
105인 사건 때 수감되었던 시절부터 이 자를 대신하여 지금의 九로 개명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일본인들도 그를 '긴가메(金龜)'라고 불렀다.
[8]
한국에서 만들었음에도 왜인지 일본
신자체가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