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 베풀/묵을 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阜,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チン, ジン
|
||||||
일본어 훈독
|
の-べる, ひ-ねる, ふる-い
|
||||||
陈
|
|||||||
표준 중국어
|
ché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陳은 '베풀/묵을 진'이라는 한자로, '베풀다', '진을 치다', 늘여놓다', '나열하다', '묵다(오래되다)'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진칠 진'이라고도 한다.- 강희자전: 1353페이지 19번째 글자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67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DW(弓中木田)로 입력한다.阜(언덕 부)와 東(동녘 동)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2.1. 자원
출전 | 원문 |
설문해자 | 宛丘,舜後嬀滿之所封。从从木申聲。,古文陳。直珍切〖注〗臣鉉等曰:陳者,大昊之虛,畫八卦之所,木德之始,故从木。〖注〗軙、敶,亦古文陳。 |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
(陳) 宛丘也。韵會有也。舜後嬀滿之所封。毛傳諩曰。陳者、大皞虙戲氏之墟。帝舜之冑。有虞閼父者、爲周武王陶正。武王賴其利器用。與其神明之後。封其子嬀滿於陳。都於宛丘之側。是曰陳胡公。按今河南陳州府治是其地。許必言宛丘者、爲其字从也。毛傳曰。四方高中央下曰宛丘。卽釋丘之宛中曰宛丘也。陳本大皞之虛正字。俗叚爲敶列之敶。陳行而敶廢矣。从。从木。大皞以木德王。故字从木。申聲。直珍切。十二部。 |
강희자전 |
〔古文〕軙敶《唐韻》直珍切《集韻》《韻會》《正韻》池鄰切,音塵。《玉篇》列也,布也。《書·咸有一德》乃陳戒于德。《詩·小雅》饋八簋。 又《史記·李斯傳》所以飾後宮,充下。《註》下陳,猶後列也。 又《廣韻》故也。《詩·小雅》我取其,食我農人。《史記·平準書》太倉之粟,陳陳相因。 又久也。《書·盤庚》失于政,于兹。《傳》今旣失政,而久於此而不徙。《疏》釋詁云:塵,久也。孫炎曰:居之久,久則生塵矣。古者塵同也。故爲久之義。 又《廣韻》張也。《禮·表記》事君欲諫,不欲。《註》謂言其過於外也。 又《廣韻》衆也。 又《爾雅·釋宮》堂途謂之陳。《註》堂下至門徑也。《釋名》言賔主相迎列之處也。《詩·小雅》彼何人斯,胡逝我。《註》北當階,其南接門內霤。 又國名。《廣韻》周武王封舜後胡公滿於,楚滅爲縣,漢爲淮陽國,隋爲州。 又姓。胡公滿之後,子孫以國爲氏。 又《玉篇》或作塵。 又《廣韻》《集韻》直刃切。同陣。軍伍行列也。詳前陣字註。 又叶都年切,音顚。《易林》秋糧未成,無從至。水深難涉,使我不前。《黃庭經》火兵符圖備靈關,前昂後高下。關音涓。 |
3. 용례
3.1. 단어
- 개진( 開陳)
- 구진( 久陳)
- 묘진( 墓陳)
- 사진강등전( 査陳 降 等 田)
- 삼진( 三陳)
- 신진( 新陳)
- 진고(陳 告)
- 진곡(陳 穀)
- 진부(陳 腐): 케케묵음. 새롭지 못함
- 진설(陳 設)
- 진성(陳 省)
- 진술(陳 述)
- 진승(陳 勝)
- 진열(陳 列)
- 진외가(陳 外 家) 아버지의 외가
- 진전(陳 田)
- 진정(陳 情): 사정을 진술함. 사정을 아뢰어 부탁함.
- 포진( 鋪陳)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2015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59,339명이다.[1] 주요 본관으로는 여양(驪陽)이 있다. 자세한 내용 및 인물은 진(성씨) 문서 참조.
성이 진씨인 사람 통상(90% 이상).
중국및 대만의 경우 표준중국어 발음으로 Chen(천)으로 발음한다.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하는 광동어로는 Chan(찬), 동남아[2]에서는 민남어 방언으로 Tan(탄)으로 발음한다. 베트남어에서는 Trần으로 표시하며 '쩐'으로 발음한다.
3.4. 지명
3.5. 창작물
웨이 쳉(GTA5)陳偉3.6. 기타
4. 유의자
- 베풀다
- 묵다
5. 상대자
- 묵다
- 新(새 신)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腖(고기 동)
- 𢔅[⿰彳東](곧게갈 동)[3]
- 娻(나라이름 동)
- 埬(당이름 동)
- 棟/ 𤗗[⿰片東](마룻대 동)
- 㖦(말이많을 동)
- 蝀(무지개 동)
- 鯟(물고기이름 동)
- 錬(보습날 동)
- 𧯾[⿰壴東](북소리 동)
- 崠(산등성이 동)
- 涷(소나기 동)
- 倲/ 𢛔[⿰忄東](어리석을 동)
- 凍(얼 동)
- 䵔(오르지못할 동)
- 䍶(일각수 동)
- 㨂(칠 동)
- 㯥(밤샐/성씨 조)
- 𣍖[⿰曹東](해돋을 조)
- 陣(진칠 진)
- 𤲚[⿰田東](땅이름 통)
- 𣌾[⿰申東](멀리서들릴 통)
- 𧹩[⿰赤東](림)
- 𢆦[⿰䍐東](한)
- 𤟈[⿰犭東]
- 𬌃[⿰爿東]
- 𰖍[⿰日東]
- 𰟴[⿰煮東]
- 𤦪[⿰⺩東]
- 𥓝[⿰石東]
- 𫞸[⿰禾東]
- 𫉓[⿰⿱丷帀東]
- 𨌿[⿰車東]
- 𧳣[⿰豸東]
- 𩜍[⿰𩙿東]
- 𲋰[⿰香東]
- 𩣳[⿰馬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