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8:01:54

에서 넘어옴
착할 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ゼン
일본어 훈독
よ-い
-
표준 중국어
sh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차자표기적 관점

[clearfix]

1. 개요

善은 '착할 선'이라는 한자로 ' 착하다', '좋다' 등을 뜻하고, 경우에 따라 '잘하다'의 의미로도 쓰인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착하다
중국어 표준어 shàn
광동어 sin6
객가어 san
민북어 sīng
민동어 siêng
민남어 siān
오어 zoe (T3)
일본어 음독 ゼン
훈독 よ-い
베트남어 thiện

유니코드는 U+558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GTR(廿土廿口)로 입력한다.

(양 양)과 (말씀 언)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정확히는 羊 밑에 言 두 개가 있는 형상(譱)이었지만 전서로 오면서 言이 하나로 줄어든 자형(𦎍)이 나타나고, 羊과 言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문자가 되었다. 표준 자형에서는 羊의 마지막 세로 획이 맨 밑에 있는 가로 획을 뚫고 지나가지만, 서예 등에서는 (옳을 의)나 (기를 양)처럼 안 뚫고 지나가는 자형도 있다. 대만에서는 이 형태가 표준 자형이며, 부수도 羊부 6획으로 옮겨졌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학교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차자표기적 관점

善은 한국 차자표기에서 흔히 음독하여 /선/으로 읽히지만 '마을'이라는 뜻으로 읽히는 경우가 있다. 확인된 근거는 아래와 같다.

1.
嵩善郡, 本一善那, 眞平主三十六年爲一善州, 置軍主. 神文王七年, 州廢. 景徳王攺名. 今善州. 領縣三.
숭선군(嵩善郡)은 본래 일선군(一善郡)으로 진평왕 36년에 일선주(一善州)로 삼고 군주(軍主)를 두었다. 신문왕 7년에 주(州)를 폐했다.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선주(善州)다. (삼국사기 지리지 숭선군)
(삼국사기 숭선군)

해설: 지명 嵩善(숭선)이 善(선)에 대응된다. 보다 자세히는 嵩가 선(善)에 대응된다. 다만 嵩善의 뒷글자 善이 남는데, 이 경우 善의 독음은 /선/이 될 수 없다. 마을을 뜻하는 차자표기 중 하나에 대응되겠으나 특정할 수는 없다.

2.
餘善縣, 夲南内縣, 景徳王攺名. 今感隂縣.
여선현(餘善縣)은 본래 남내현(南內縣)인데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감음현(感陰縣)이다.
(삼국사기 여선현)

해설: 지명 南内(남내)가 餘善(여선)에 대응된다. 보다 자세히는 南[1]이 餘에, 内[2]가 善에 대응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특정할 수 있는 이유는 餘의 차자표기 독음에 /마/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内에 대응되는 善은 마을을 뜻하는 차자표기를 가져야 하나 특정할 수는 없다.


[1] 南의 뜻은 옛한국어 /마/다. 마파람에 흔적이 남아 있다. [2] 内의 고대 중국어 음은 /노/에 가까웠다. 땅 혹은 강을 뜻하는 차자표기로 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