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16:23:37

WBSC U-18 야구 월드컵

파일:WBSC 로고.svg 주관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5243e><colcolor=#9d8339> 남자 야구 하계 올림픽 야구 | WBSC 프리미어 12 | U-12[1] | U-15[2] | U-18[3] | U-23[4]
여자 야구 WBSC 여자 야구 월드컵
남자 소프트볼 WBSC 남자 소프트볼 세계 선수권 | WBSC U-18[3]
여자 소프트볼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 WBSC 여자 소프트볼 세계 선수권 | WBSC U-18
베이스볼 5 베이스볼 5 월드컵 | 청소년 베이스 5 월드컵 | 청소년 하계 올림픽
[1]: 대한민국 기준으로 초등학교 6학년 이하.
[2]: 대한민국 기준으로 중학교 3학년 이하.
[3]: 대한민국 기준으로 고등학교 3학년 이하.
[4]: 대한민국 기준으로 20세(세는 나이)에 대학에 진학한 대학교 4학년생 이하 혹은 그 나이에 맞는 고졸 선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WBSC가 직접 주관하지 않지만 대회 운영에는 참여.
}}}}}}}}} ||

WBSC 18U Baseball World Cup™
파일:WBSC U-18 야구 월드컵 로고.svg
<colbgcolor=#ffffff,#191919> 정식 명칭 WBSC 18세 이하 야구 월드컵™
영문 명칭 WBSC 18U Baseball World Cup™[1]
창설 1981년
주관 단체 세계야구소프트볼 총연맹(WBSC)
참가 자격 WBSC 권역 예선을 통과한 상위 12개국
WBSC 포인트
(우승국)
550점
최근 우승국 일본 (2023)
최다 우승국 쿠바 (11회)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external/pbs.twimg.com/CQpwlRzWwAAhf8l.jpg
2015년 대회 우승팀, 미국 U-18 대표팀.
파일:B04I6669-768x432.jpg
2019년 대회 우승팀, 대만 U-18 대표팀.

1. 개요2. 역사3. 지역 예선4. 여담5. 역대 대회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For the Title of World Champion
세계 정상을 향하여
공식 슬로건[2]
WBSC에서 주최하는 18세 이하 야구 월드컵. 과거 IBAF AAA World Junior Championships(한국명 :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WBSC가 출범한 2013년부터 18U 야구 월드컵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IBAF에서 개최한 대회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출범 이후 U-23 대회(2014년 출범), U-15 대회(1989년 출범), U-12 대회(2011년 출범) 등 세대별 야구대회를 개최하며 분리 되었다. 2015년까지 총 27회의 대회가 치러졌으며 최다 우승국은 아마 야구 최강국인 쿠바(11회)이다. 1981년에 IBAF에 의해 처음 개최되었으며 이후 IBAF 랭킹을 산출할 때 대회 성적이 포함되었다. WBSC가 출범한 이후에는 WBSC 랭킹에 포함된다. 개최 연도가 들쑥날쑥한데 WBSC 주관 대회간의 시기 조율 및 대회 스폰서 문제 등으로 무산된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대회 초창기에는 쿠바가 매우 강세를 보였으나 쿠바의 몰락 이후로는 미국, 한국, 대만이 각축전을 벌이는 중. 특이하게도 일본 U-18 야구 국가대표팀의 성적이 영 좋지 못하다. 초대 대회 이후 우승 없이 준우승만 4번. 이유는 자국 고교야구대회를 중시해 베스트 멤버 차출에 난항을 겪기 때문인데 2007년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당시에는 18세 이하 사회인야구 선수나 고시엔 탈락팀 중 일부 인원을 차출해 보내기도 했으며, 2008년 세계 대회에는 아예 불참을 선언하고 체코 U-18 대표팀이 일본 대신 출전하기도 했다. 다만 일본야구협회에서 야구의 국제화를 추진하면서 2013년 대회부터는 최대한 베스트 멤버로 꾸려 출전하는 중이다.

2. 역사

파일:external/pbs.twimg.com/COOVxvRU8AA85Yt.jpg
2013년 대회 우승 메달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의 역사는 더 거슬러 올라가야한다. 그러나 미국과 쿠바를 중심으로한 남미간의 갈등이 점차 강해지면서 국제야구연맹도 표류하게 되었고 대회 운영도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며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1978년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국제대회에 청소년 야구대표팀을 파견한 대회인 제 10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를 예로 들면 미국은 쿠바의 선수단들이 연령을 속이고 참가했다며 선수단을 철수했고, 일본은 아예 대회에 참여하지도 않았다. 반면 쿠바는 심판배정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배정을 받았고 심지어 대만과의 경기에서는 3루심이 쿠바의 편을 들어주기 위해 대만타자가 친 홈런을 2루타로 선언하는 등의 촌극이 벌어졌다. 당시 상황을 다룬 기사

이후 미국이 세계야구 주도권을 잡아내며 제대로된 청소년 야구대회를 만들겠다며 1981년 제1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를 출범시킨 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3. 지역 예선

별도의 지역예선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각 대륙별로 개최되는 U-18 대회들이 지역 예선을 겸한다. 유럽은 1위와 2위팀, 아시아는 1위~3위팀, 아메리카에서 1위~4위팀, 오세아니아와 아프리카는 1위팀이 본 대회에 참가하며 남은 1자리는 개최국의 U-18 대표팀이 차지하게 된다.

3.1.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대표팀은 대회 초대 우승팀이자 아시아 최다 우승팀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3] 선동열, 김건우, 조계현 등이 뛰었던 1981년 대회 초대 우승국이었고 김건덕[4], 이승엽, 김선우, 박정진 등이 참가했던 1994년도에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00년과 2008년의 경우 에드먼턴에서 열린 대회를 모두 우승을 차지했는데 2000년 대회의 경우 82년 황금세대라고 불릴 정도로 쟁쟁한 멤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선수가 추신수, 이대호, 정근우, 김태균, 이동현 등이었고 미국과의 연장 13회 혈투끝에 승리를 거뒀다.

2008년에는 허경민, 정수빈, 박건우, 김상수, 안치홍, 오지환등을 앞세워 결승에 진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로 그다지 성적이 좋지 않다. 2010년 7위(2위한 호주에게 조별리그 5-4 패배로 탈락) 2012년 한국 대회에서 5위.. 대만에게 7-3, 일본에게 4-2 패배 같이... 미국과 일본에게 연이어 패하고 있다. 2015년 대회에서는 3위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뒀으나 일본에게 무려 12-0 콜드게임 참패를 당하여 욕을 먹어야 했다.

그리고, 2년 뒤인 2017년 대회에선 한일전을 6-4로 이기며 설욕하며 결승에 올랐으나 미국에게 8-0 완봉패를 당했다. 2회 연속 4강 이상 성적이지만 미국과 일본에게 무실점 완패를 당했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

2019년 한국대회에서도 2라운드에서 대만에게 7-2로 참패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일본을 5-4로 이기며 어느정도 동정 여론을 받기도 했다. 이후 미국에게 덜미를 잡혀 호주와 3, 4위전을 벌였고 이 경기에서 승리하며 3위를 차지했다.


2022년 대회 조별리그에선 일본을 8-0으로 완봉승을 거뒀다.[5] 그러나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1, 2회부터 일본한테 맹공을 당하며 6-2로 패했다.

3.2. 일본 U-18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의 경우 고시엔 대회(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참가를 이유로 불참한 대회가 절반 이상, 아니 거의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기조가 바뀌어 나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 U-18 야구 국가대표팀 항목 참조.

4. 여담

5. 역대 대회

년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3위
1981년 파일:미국 국기.svg <colbgcolor=#ffd7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1982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1983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
1984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1985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1986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1987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
1988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1989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1990년 파일:쿠바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1991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1992년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1993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1994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1995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1996년 파일:쿠바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1997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1999년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2000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2002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2004년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2006년 파일:쿠바 국기.sv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
2008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2010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2012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2013년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2015년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6]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2017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201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2022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2023년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대회별 내용은 베이스볼 레퍼런스 기록 참조.

6. 관련 문서



[1] 과거 IBAF AAA World Junior Championships [2] U-18 대회 뿐 아니라 WBSC가 주관하는 모든 아마추어 대회의 공식 슬로건이다. [3] 대만이 2019년 대회를 우승하며 공동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4] 지금은 고인이 된 불운의 선수로 이 대회 MVP였으며 사실상 제일 활약이 좋았다. [5] 이날 경기에서 2023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한화에 지명된 김서현이 맹활약으로 일본에서도 화제를 낳았다. [6] 결승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