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1 11:51:28

SH-2 시스프라이트

SH-2에서 넘어옴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경헬기 S-52, H-19
다목적헬기 UH-1E/N
수송헬기 CH-46, CH-53
공격헬기 AH-1G/J/W
대잠헬기 SH-2, SH-3, SH-60
제공 전투기 1세대 FJ-1, FJ-2, FJ-4, F2H(F-2), F9F-2, F6U, F7U, F9F-6
2세대 F3H-1/2(F-3), F-11, F8U, F4D(F-6)
3세대 F-4A/B/J/N/S, F-111B
4세대 F-14A/B/D, F-18A/B/C
해병전투기 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 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 F3D-2Q(F-10), EA-6B, EP-3
수송기 C-1, C-2
공중급유기 KC-130
해상초계기 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 E-1, E-2C/D, E-6
훈련기 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현대 뉴질랜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AEC4EE> 뉴질랜드 방위군 (1945~현재)
New Zealand Defense Force | Te Ope Kātua o Aotearoa
회전익기 <colbgcolor=#AEC4EE> 경헬기 AW109 LUH | 벨 47G-3B-(1/2) 수우R
다목적 헬기 NH90 TTH | UH-1(D/H) 휴이R
대잠헬기 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 | SH-2F 시스프라이트R | 와스프 HAS.1R
전투기 프롭 P-51D 머스탱R | 템페스트 Mk.VR | FG-1D & F4U-1(D) 콜세어R | P-40(E/K/L/M/N) 키티호크R | 스핏파이어 LF.(IX/IXC/XVI/XVIE)R
1세대 베놈 FB.1R | 뱀파이어 (FB.5/FB.52)R | 미티어 F.3R
공격기 A-4(G/K) 스카이호크R | 스트라이크마스터 Mk.88R | TBF-1(C) 어벤저R
폭격기 캔버라 (B.2/B(I).12)R | PV-1 벤추라 & PV-2 하푼R | 모스키토 (FB.6/FB.40)R | B-34 렉싱턴R | 허드슨 Mk.(III/IIIA/V/VI)R
정찰기 전술 M.57 에어로밴R
수송기 경량 DHC-3 오터R | DHC-2 비버R | C-60 로드스타R | DH.89(A/B) 도미니R | AS.65 콘술R | AS.10 옥스포드R
전술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B757-2K2(C) | C-130H 허큘리스 | B727-22QCR | DC-6R | HS. 780 앤도버 C.1R | HP.95 해이스팅스 C.3R | 브리스톨 프레이터 Mk.31MR | C-47(A/B)R
수상기 선덜랜드 (Mk.III/MR.5)R | PB2B-1 · PBY-5 카탈리나R
다목적기 슈퍼 킹에어 350 | 킹에어 200R | 리어윈 9000L KR 스포츠스터R | C-17L 스태거윙R | M.11A 휘트니 스트레이트R | P.10A 베가 걸R
무인기 SUAV
클래스 1 - MAV
PD-100 블랙 호넷 나노 | RQ-11B 레이븐 | DJI 매빅 프로 | DJI 팬텀 4R
클래스 1 - 초소형
{ 퀀텀 벡터} | RQ-20 푸마 | 스카이캠 카후
지원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 P-3(B/K/K2) 오라이언R | 포커 F27-120 MPAR
연락기 DH.90 모스 마이너R | DH.83 폭스 모스R | 오스터 T.7CR · J/5 오토카R | DH.80A 퍼스 모스R
훈련기 프롭 T-6C 텍산 II | CT/4(B/E) 에어트레이너R | 에어투어러 T.6R | 모스키토 (T.3/T.43)R | 하버드 Mk.(II/IIA/IIB/III)R | 앤슨 Mk.(I/XII)R | M.14A 매지스터R
제트 MB-339CBR | TA-4(G/K)R | 캔버라 (T.4/T.13)R | 뱀파이어 (T.11/T.55)R | 미티어 T.7R
VIP 탑승기 B757-2K2 | B727-22QCR | 세스나 412CR | 아브로 앤슨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external/9c3a6a2403e561379aca3f6c7f361c628bfd3848c07fa0073e1af6e5b16002df.jpg
파일:external/8b3abc4d65c7e34d517d35ad0dc0cae3be4fdea31fae168a3dc738f6c4cd5d10.jpg

1. 개요2. LAMPS3. 운용4. 카만 에어크레프트 사5. 제원6. 관련 문서

1. 개요


SH-2 Seasprite

1956년 미 해군이 구상한 해상 다목적 경량헬기 개발계획을 세운다. 이에 카만 에어크래프트社가 SH-2 시스프라이트라는 이름으로 단발엔진 회적익 항공기를 개발한다.

1957년 첫번째 비행을 무사히 마친 후 UH-2B라고 명명된다. 항공모함에서 이런저런 잡일에 다용도로 쓰려했다. 그러나 작은 크기와 단발엔진의 한계 및 편견으로 인해 미 해군은 적극적인 채용에 나서지 않는다.

그럼에도 1966년에는 북베트남으로 출격 후 격추되어 탈출한 조종사 103명을 구출하는 큰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다만 육상과 해상에서의 사용은 다르다. 바다 한가운데서 하나뿐인 엔진에 이상이 생기면 해면에 추락할 것이다. 탑승자가 탈출하여도 죠스와 험한 바다와 싸워야하는 상황에서 탈출과 구조는 쉽지 않다.

캐나다를 비롯한 수출시장에서도 번번히 SH-3 시킹에게 물을 먹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해군에서의 주문도 끊겨 생산이 중단되는 등 거의 낙동강 오리알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소련 잠수함 전력 강화와 1967년 10월 21일 이집트 해군의 코마급 고속정이 4발의 SS-N-2 스틱스 대함미사일 이스라엘군 구축함인 에일라트를 격침시킨 에일라트 사건의 충격으로 인해 LAMPS (Light Airborne Multi-Purpose System) 라 일컫는 헬기를 통한 입체적인 해상작전개념이 등장했다.

2. LAMPS

1960년대 중후반 무렵 주로 대잠수함 작전을 위해 함정에 탑재할 수 있는 유인헬기의 조건/개발관련 사항을 담은 계획이었다.

1960년대 미 해군은 QH-50 DASH (Drone Anti-Submarine Helicopter)라는 지금의 드론이나 다름없는 대잠초계용 무인헬기를 운용했다. 주로 Mk.44 Mk.46 등의 경어뢰 2발을 탑재했다. 그러나 추측할 수 있듯이 당대 기술수준으로는 작전을 하기 어려웠고 온갖 사고가 잇달았고 1969년 모조리 퇴역시켰다. 해상자위대도 DASH를 도입했었고 의외로 큰 탈없이 잘 써었다. 그러나 미 해군이 일찍 퇴역시켜 수리부품의 생산중지/부족으로 결국 1977년을 마지막으로 운용을 중지하기에 이른다.

이런 애로사항이 있어 LAMPS 계획이 등장했고 이에 따라 1971년 대잠초계 파생형 SH-2D로 진화하면서 각광받게 된다.

참고로 우리가 도입하는 MH-60R은 LAMPS III Block II에 속하는 기체이기도 하다. 미 해군이 운용했던 DASH의 총 숫자는 746대인데, 이 가운데 거의 절반 가량을 사고로 상실했고 여기서 조종미숙/실수로 인한 추락은 10% 미만에 불과했다고 한다.

3. 운용

SH-3 시킹에 비해 작은 덩치를 지녀 LAMPS 개념에 부합하는 당시 거의 유일한 헬기였다. 항공모함이 아닌 주로 구축함 호위함 등 일반 전투함 위주로 탑재되어 1970~80년대 최말단에서 대잠수함 방어망 중추를 형성하는 역할을 맡았다. 1973년 SH-2F는 LAMPS I 개념을 충족시킨 첫번째 항공기가 되었다. 쌍발엔진으로 개량하여 최대이륙중량이 증가했고 15개의 소노부이를 탑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디핑 소나는 탑재하지 않았다. 함대에서 약 100 km의 반경까지 초계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해군 함정에서 헬기의 임무는 다양하다. 수색/구조, 화물/인명 수송은 물론 대함미사일 유도 등 다양한 임무에 마당쇠처럼 굴려지기에 이른다.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잡해지는 임무 대응이 어려워진다. 1980년대 중반부터 슬슬 SH-60B로 대체된다.

미 해군은 그 즈음에 연식 오래된 구형 시스프라이트를 대체하고 녹스급, 스프루언스급,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1] 등의 함정에 운용할 저비용 대잠헬기를 획득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카만 에어크래프트는 SH-2G Super Seasprite라는 개량형을 들고 나왔지만 미 해군에 꼴랑 24대밖에 판매하지 못하는 굴욕을 당한다. 그러나 저렴한 가격으로 대잠헬기를 장만하려던 호주 뉴질랜드, 폴란드 등에 수출하는 실적을 세운다. 그러나 호주는 몇번 운용테스트를 해보더니 "진작에 갖다버렸어야 할 물건"이라는 악평을 쏟아내기까지 했다. 다만 타 국가들은 비교적 잘 쓰는 편이다. 또한 SH-2G에 갖다 붙이려고 AGM-119 펭귄 미사일을 잔뜩 장만해놓기도 했지만 도입이 엎어진다. 뉴질랜드와 브라질에 펭귄을 땡처리했고 이 때 우리한테도 AGM-142 2발을 판매하기도 했다. 아마도 F-111에 써먹으려다가 플랫폼을 퇴역시 재고정리 삼아 처분했다 보인다.

4. 카만 에어크레프트 사

1945년 Charles Kaman (1919~2011)에 의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그루먼이나 맥도넬 더글라스 하청업체로 시작했지만, 회전익 설계에 있어 최초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등 기술력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잔뼈를 지녔다. 한편, 설립자 찰스 카만은 1960년대 후반 무렵 항공기 제작에 쓰이는 재료로 기타를 만들어본 것이 인연이 되어 악기 제조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현재는 다른 회사가 인수하였다.

5. 제원

Kaman SH-2 Seasprite
SH-2F SH-2G
길이 15.9 m
로터지름 13.41 m
높이 4.72 m 4.50 m
자체중량 3,190 kg 4,170 kg
최대이륙중량 5,800 kg 6,120 kg
엔진 GE T58-GE-8F 터보샤프트 ×2 GE T700-GE-401C 터보샤프트 ×2
최고속도 265 km/h 256 km/h
항속거리 680 km 1,000 km
최대상승고도 6,860 m (22,500 ft) 5,500 m (18,000 ft)
승무원 3명
무장 Mk.46/ 50 어뢰 x2
AGM-119 펭귄 ×2

6. 관련 문서

(영문 위키백과) SH-2 Seasprite
(영문 위키백과) SH-2G Super Seasprite


[1] 선체가 Short Hull과 Long Hull의 2종류로 구분되어 있었는데, 짧은 선체의 함정에서는 SH-60 시호크를 운용할 수 없었기에 시스프라이트가 반드시 필요했다. 그러니 짧은 선체의 함정들은 대충 좀 굴리다가 짧은 선령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1990년대에 폭풍처럼 퇴역시켜 우방국에 땡처리하고, 나머지 선체연장형 함정들만 2015년까지 단물 빠지도록 써먹는다. SH-2F가 퇴역한게 1993년이기에 Short Hull의 페리급은 만만한 대잠헬기의 부재로 인해 "이왕 이렇게 된거.."하며 유지비도 절감하고 겸사겸사 퇴역시켰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