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4:52:20

LG전자/MC사업본부

LG전자 MC사업부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G전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과거 휴대전화 제조 기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LG전자 3D 로고.svg 파일:팬택 로고.svg 파일:KT테크 로고.svg 파일:팬택앤큐리텔 로고.svg 파일:SKTeletech.png
파일:세원텔레콤.jpg 파일:VK모바일 로고 고화질 복원본.jpg 파일:maxoncompany.jpg 파일:telsonlogo.png 파일:닉소텔레콤.jpg
파일:SK텔레시스 CI.svg 파일:세진전자.jpg 파일:해태전자 로고.svg 파일:주식회사델타콤.jpg 파일:한화/정보통신 로고.svg
파일:한빛아이티로고.jpg 파일:아이리버 로고.svg 파일:삼보컴퓨터 로고.svg 파일:착한텔레콤 로고.jpg 파일:미래컴 로고.jpg
파일:어필텔레콤 로고(표기입용).jpg 파일:현대전자 로고.svg 파일:대우전자 로고.svg 파일:기륭전자 로고.jpg 파일:한창 로고.jpg
파일:투넘버 로고.gif 파일:싸이버뱅크.jpg 파일:벨웨이브 로고.jpg 파일:기가텔레콤(small).jpg 파일:이마트 로고.svg
파일:이론테크 틀용로고.jpg 파일:인포무브 틀용로고.jpg 파일:SCD 로고(Small).gif 파일:셀빅개발 틀용로고.jpg 파일:아이스테이션 CI.jpg
주력 사업이 아니더라도 휴대전화 제조 이력 기준.
(해체가 아닌 철수의 경우 가능한 당시 로고로 기입)
}}}}}}}}} ||


1. 개요2. 역사
2.1. 사업 초창기2.2. 초콜릿폰의 약진2.3. 이후 상황과 쇠퇴2.4. 2021년, 사업 종료2.5. LG 모바일 사운드 아카이브 LP
3. 비판 및 문제점4. 여담

1. 개요

LG전자의 이동통신 사업 및 제품을 설명하는 문서다. LG는 이동 통신 및 스마트기기를 전담하는 부서로 MC(Mobile Communications) 사업본부를 거느리고 있었다. 하지만 누적된 적자와 수익성 악화로 인해 2021년 7월을 마지막으로 MC사업부는 해체되었다. 다만 근무하고 있던 직원 모두 고용을 유지할 것이라 밝혔다.

2. 역사

기존의 기계 중심인 피처폰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인 스마트폰 시대로 변하면서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하드웨어 제조 위주의 회사들이 다 시장을 철수하는 상황 속에서[1] LG는 노키아, 모토로라, 블랙베리 등과 같이 스마트폰 시대 이후 기존 휴대전화 제조 업체들이 도태되어 가는 과정을 모범적으로 보여주었다. 결국 늘어나는 적자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2021년 4월 5일, 사업 철수를 정식으로 발표했고, 이후 2021년 7월 31일 사업 종료를 기점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1. 사업 초창기

일본 NEC와 기술제휴 및 합작으로 설립된 금성전기에서 1984년 시판한 카폰이 시초이다. 1987년 NEC와의 제휴가 끝나면서 이동전화단말기 사업은 금성통신으로 이관되었다. 1989년에는 카폰이 아닌 휴대전화 형태의 단말기가 출시되었다. 1993년 셀스타라는 이름이 붙은 단말기가 출시되며 이는 최초의 휴대전화 브랜드가 된 것이다. 1994년 금성통신이 금성사로 합병되었고, 이듬해인 1995년 금성사는 LG전자로 사명을 바꾸게 된다. 같은해 화통(話通)이라는 브랜드의 핸드폰을 출시하면서 브랜드명도 바뀌게 된다.

파일:external/www.ilovepc.co.kr/10837_2649_4915.png
1996년 CDMA 규격이 나오자 이동전화단말기 사업은 LG전자에서 계열사인 LG정보통신으로 또 다시 이관되었다. LG정보통신은 위의 금성통신과는 별개의 회사인 금성정보통신이 1995년 사명을 바꾼 회사다. 이때의 브랜드는 프리웨이였고, 1997년까지 유지되었다. 1997년 10월 PCS(016, 018, 019)가 출범하자 PCS용 단말기를 출시하였는데, 이때 나온 브랜드가 싸이언(CION)이었다. 이 무렵 LG전자에서도 1996년 8월에 무려 국내 최초의 풀터치스크린 PDA폰이자 국산 스마트폰의 효시라고 볼 수 있는 멀티X(GPA-1000N)를 출시하였으나, # 1996년 당시 지금 기준으로도 상당히 비싼편에 속하는 100만원에 가까운 가격에다가 끝물에 아날로그 방식 통신망을 사용했던 기기였던 만큼 얼마 되지 않아 디지털 방식의 CDMA2000 통신망이 도입되면서 시장에서 잊혀진 제품이 되고 말았다. 최초의 싸이언 브랜드를 달고 나온 단말기(LGP-1000F)는 계열사인 LG텔레콤(019)용으로만 나왔으나 이후 나온 단말기는 다른 PCS 업체(016, 018)용으로도 나오게 되며, 이듬해 1998년부터는 기존의 셀룰러(011, 017)용 단말기도 프리웨이를 버리고 싸이언 브랜드를 붙였다.[2]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는 LG전자도 휴대폰 시장에 나름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먼저, 2000년에 LG정보통신이 LG전자에 합병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다. 이 무렵 싸이언의 영어 표기도 CION에서 CYON으로 바뀐다. 2000년 대표적인 휴대폰으로는 iBOOK 시리즈가 있다. 대화면 액정을 채택하여 스크롤 없이 SMS 전문을 볼 수 있었다는 장점으로 인기를 끌었다.

또, 2002~3년 Looks Good 브랜딩[3]을 하면서 싸이언 브랜드가 보급형이라는 인식을 깨게 된다. 2002년 하반기 들어 화질 벨소리 등 기능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디자인의 견고함 부분에선 여전히 보급형스러운 구석이 있었긴 했다. 이 경향은 2005년 초까지 이어졌다.

2005년 말에는 블랙라벨 시리즈 브랜딩을 하며 초콜릿폰을 발매하였다. 무엇보다도 디자인을 최우선[4]으로 하는 제품을 제작한 것이 전세계에서 1500만대가 팔리며 대박을 친 것이다. 2006년 한 해 동안 블랙라벨 시리즈의 인기를 불러 일으켰으며, 동시에 가전에서만 전성기를 보이던 LG가 모바일 분야에서도 전성기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어 2006년에는 곧 바로 메탈 디자인을 강조한 샤인폰을 발매하면서 연타석 홈런을 날렸다. 이 당시 LG는 전세계 Top 5 휴대폰 생산업체란 성적을 내었으며, 이를 반영하듯 '문어발 충전기' 제품에는 LG 휴대폰 전용 단자가 꼭 들어가 있었다.

그러나 LG의 초콜릿 성공공식은 기술을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하고, 한방의 성공에 얽매이는 경향을 만들어, LG 휴대폰의 미래를 서서히 갉아먹게 된다.

2.2. 초콜릿폰의 약진

파일:external/www.businesspost.co.kr/3789_6566_5345.jpg
남용 前 LG전자 부회장

회계장부 상으로는 MC사업부의 전성기이나, 사업적으로는 몰락이 시작된 시기다.

피처폰 시장의 황혼기까지 약진을 이끌었으나,[5] 스마트폰 시대의 대비를 소홀히 했다가 결과적으로 MC사업본부의 몰락을 부른 남용 부회장. MC사업본부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하면서 SK하이닉스 인수 전에 아예 참여하지도 못한 걸 보면 LG그룹 전체의 경쟁력 하락을 불러온 시발점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남용은 8년간 이동통신 업계 만년 꼴찌인 LG텔레콤을 맡아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엄청난 점유율 확장을 일궈내 주목을 받았다. 2006년 LGT의 IMT-2000 포기와 관련된 문제로 정부와 마찰을 빚고 사임했지만, 2007년 LG전자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이 회사의 실질적인 경영자가 된다.

남용은 2007~08년 초콜릿폰으로 LG폰의 약진을 이끌었다. 영업이익은 1년만에 46.2% 증가했고, 글로벌 점유율도 노키아, 삼성에 이어 3위까지 끌어올렸다. 하지만 이후에 아래 설명할 여러 무리수를 저질렀고, 결정적으로 시장은 스마트폰 시대로 진입하고 있었는데 피처폰에 올인하는 치명적인 실책을 저질렀다. 결과적으로 이는 LG가 제 무덤을 파는 일이 되었다. 참고로 전략컨설팅 회사 맥킨지&컴퍼니는 이렇게 피처폰에 올인하라는 조언을 했는데, 흔히 전략컨설팅 회사가 바보라는 이야기를 하는 근거로 이 사례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체로 전략컨설팅이란 대개 최고경영진이 이미 결정한 방향에 근거를 제공해 주기 위한 것이며 피처폰에 올인하기로 한 LG의 분위기를 읽고 맥킨지가 그 방향에 정당성을 확립하고 추진력을 실어주기 위한 컨설팅을 해 주었을 뿐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LG는 스마트폰의 여명기였던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그럭저럭 쓸만한 스마트폰을 여러 개 내놓는 등 스마트폰 기술력이 크게 밀리는 수준은 아니었다. 즉, LG는 스마트폰 시대에 대한 준비를 충분히 할 수 있었다. 2001년 컴팩에 ODM 형태로 PDA나 스마트폰을 공급하였고, # 이때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4년에 나온 자사 브랜드 최초로 내놓은 포켓PC 2003 기반 스마트폰인 SC/KC/LC8000은 당시에는 그럭저럭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만든 RW6100을 컴팩을 인수합병한 HP에 ODM으로 공급하기도 할 정도로 세계 시장에서도 기술력 쪽에서 어느 정도 인정 받았을 정도였으며, RW6100은 매니아들 사이에서 당대의 명기로 불리웠을 정도였다.

스마트폰은 아니지만 LG가 만든 PDA인 PM80은 당시 세계최초 지상파 DMB를 갖춘 PDA로 유명했었고, 더군다나 2007년에 나온 윈도우 모바일 5.0 기반 와이브로 스마트폰인 KC1만 해도 삼성보다 한발 앞서서 PXA320 806MHz 모나한 프로세서를 채택하여[6] 당시 국내에서 가장 성능이 좋은 스마트폰이라는 타이틀을 따내면서, 성능면에서 동시대 삼성전자의 스마트폰들을 압살하는 등 스마트폰 시대의 개막을 충분히 대비할 수 있을 정도로 노하우를 차곡 차곡 쌓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남용 부회장의 오판과 이전 제품들에 비하면 어마어마한 퇴보를 보였던 인사이트의 처참한 삽질과 실패로 인하여 윈도우 모바일 시절 까지만 해도 잘 쌓아두었던 스마트폰 관련 노하우들을 제대로 말아먹었다.

2.3. 이후 상황과 쇠퇴

기존의 전자업체들이 어떻게 스마트폰 시대에 경쟁력이 떨어져 무너지는지를 잘 보여주는 예시다. 그나마 2010년대 중반까지는 스마트폰 판매량 그래프에서 4~5위를 기록하며 버티고 있었으나, 10년대 중후반으로 가면서 판매량이 처참해져 기업 이름을 찍지도 못 하고 'Others(기타)'로 굴러 떨어지고 말았다. 그나마 LG전자가 노키아나 일본 전자제품 제조사들과는 다르게 주력 사업은 백색가전 쪽이었기 때문에[7] 노키아나 일본 전자제품 제조사들에 비해서 철수를 하면 철수했지 회사가 오늘내일 하거나 파산해버리는 일은 없었다.

애플이 첫번째 iPhone을 내놓은 후, 성능을 대폭 강화하여 본격적인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 iPhone 3GS를 내는 2009년까지도 LG는 열심히 주력상품으로 프리미엄 레벨의 피처폰 뉴초콜릿, 프라다폰 2 등을 내놓고 있었다. 본격적인 휴대폰 시대가 시작되었는데도 신제품이랍시고 문자전달형 삐삐를 내놓던 2000년대 초반 일부 군소 이동통신 업계의 삽질을 그대로 반복한 것.[8] 이런 삽질 때문에 2010년부터 엄청난 적자를 내게 된다.

다만 LG만 이런 삽질을 한 것은 아니다. 피처폰 시장에서 세계 1위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았던 노키아는 이 분야의 전설[9] 이고, 당시 Apple보다 먼저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이끌었던 블랙베리조차도 트렌드에 대응하지 못해서 망해갔기 때문이다.[10] MS의 스티브 발머 또한 넷스케이프 출시 때처럼 "아이폰 별 거 아닌데요?"라며 허세를 부렸지만 Windows Phone 7을 거하게 말아먹고 한참을 헤매다 2017년 모바일 OS 부문에서 패배를 인정하고 Windows 10 모바일 개발을 중단하고 만다. 삼성도 스마트폰 시장 초기에 성능이 떨어지는 Windows Mobile 운영체제를 탑재한 옴니아 II를 내놓으며 "이거 안 되면 스마트폰 아니잖아요?"했다가 역풍을 맞았다.[11]

파일:external/www.joseilbo.com/1382604274.jpg
2010년 1분기 ~ 2013년 3분기 MC사업부의 분기별 실적 그래프다. 푸른선은 매출, 붉은 선은 이익을 의미한다.

2010년부터 이익률이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휴대폰 시장이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였기 때문이다. 2010년은 삼성이 iPhone 3GS에 대적하기 위해 급하게 만든 갤럭시 A를 3개월 팔다 말고 iPhone 4 출시일에 맞불을 놓기 위해서 갤럭시 S 발매한 역동적인 해였다.[12] LG의 대응이 전무했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LG에서도 어느 정도의 대응을 하고 있었다. 안드로-1이 2010년 3월에 한국에서 판매를 시작한 상태였고, 갤럭시 S보다 약간 이른 시기에 비슷한 하드웨어 스펙의 옵티머스 Q가 발매되었으며[13] 이후 옵티머스 Z 옵티머스 원 등 다양한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문제는 출시한 기종들이 각각 다른 스펙을 가지고 파편화되었고, 안드로이드라는 생소한 운영체제의 도입으로 인한 문제인지 각 기기의 최적화 정도가 상당히 떨어졌다. 통신사 대응 휴대폰마저도 옵티머스 Q/Z로 이원화되고[14] 쿼티 유무, 내장 메모리 용량 등으로 차이가 났으며[15], 옵티머스 원이라는 보급형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스펙이 달라졌다. 안드로이드 2.2가 발표된 이후임에도 하이엔드 기기였던 옵티머스 Q의 버전은 1.6 도넛이었는데 이마저도 최적화 문제로 말이 많았다. 게다가 피처폰이면서 스마트폰 수준의 스펙을 가진 MAXX를 내놓으며 갈팡질팡했다. 여기에 부품 부족문제까지 겹쳐서 결국은 2010년 2분기에 전년도 동일 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90% 하락이라는 경이로운 성과를 이뤄냈다. 남용 부회장은 실적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하고[16], 남용이 영입한 C 레벨 이하 모든 외국인 임직원들도 퇴출당했다. 그리고 그 자리에는 구본무 회장의 둘째 동생인 구본준 부회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하면서 오너 일가의 친정 체제가 선포됐다. 결국 2010년에는 총 1조원의 적자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그리고 2011년 11월, 약 1조 원 가량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현행법상 지주회사는 자회사 주식 최소 30% 이상을 보유해야 하는데 유상증자 액수가 당시 시총의 10%에 육박했고, 이로 인해 보유 지분율이 30%대 초반으로 떨어짐에도 유상증자라는 초강수를 둔 것. 또한 이 때문에 하이닉스라는 전자기기 제조 업체에게는 아주 매력적인 매물이자 LG에게는 아주 각별한 의미가 있는 기업의 인수 기회를 놓쳐버리는, LG 입장에서는 두고두고 이불킥하게 만드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전열을 재정비하여 2012년 옵티머스 LTE II, 그리고 옵티머스 G의 출시를 시작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조금씩 벗어나기 시작했다. 인터페이스도 쿠키폰 시절 때부터 쓰인 아이콘을 탑재한 옵티머스 UI 2.0을 드디어 버리고, 정사각형 기반의 아이콘으로 새롭게 단장한 LG UX 1.0을 채택하여 더 낫게 변화시켰고, 최적화도 갤럭시 시리즈를 많이 따라잡았다.

ICS 업그레이드 포기 선언을 한 갤럭시 S와 달리 LG의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 4.0 ICS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겠다고 밝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호평을 받았다. 다만 LG가 잘 했고, 삼성이 못 했다고 하기는 애매하다. 갤럭시 S의 판매일은 2010년 7월이며[17], LG에서 갤럭시 S 정도의 스펙이라고 공언한 제품들은 S II 시기에 출시된 폰들이다. 안드로이드 초기 모델이었던 갤럭시 S는 삼성전자가 예상하지 못한 메모리 파티션 문제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상당히 껄끄러운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아무리 당시 스펙이 좋았던 갤럭시 S라도 이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보급화된, 1년 간격으로 나온 기기 간와 초기 모델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시기로 보면 그래도 2010년 모델을 밸류팩으로나마 제공해 준 모델은 삼성뿐이고, LG는 2010년 기기의 사후지원을 제공하지 않았다. 이래나 저래나 옵티머스 LTE II도 좋은 평가를 받았고 100만대 판매량을 넘어서는 호조를 보였었다.

회장님폰이라던 옵티머스 G는 몇 달이 지났는 데도 젤리빈 4.1 버전에서 업데이트 될 기미도 보이지 않고 있었다. 경쟁 기종이던 갤럭시 S3는 이미 4.3 업데이트로 업데이트 해 주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끝없는 불만을 표출했다. 게다가 LG의 경우 옵티머스 3D, 옵티머스 EX, 옵티머스 Q2, 프라다폰 3.0, 옵티머스 3D 큐브 등 다수 기종의 젤리빈 업그레이드를 포기하였지만, 베가의 경우 2011년 6월 베가 레이서, 2011년 10월 베가 LTE, 2011년 12월 베가 LTE M, 2012년 1월 베가 LTE EX 등 다수의 기종에 업그레이드를 지원했기 때문에 젤리빈에서는 베가만도 못하다는 비판도 들었다. 그런데 2014년 3월, 2012년 출시 기종들의 폭풍 킷캣 업데이트로 사용자들을 놀라게 했다.

2012년 1분기 스마트폰 점유율 순위 8위 3.7%를 기록했고 # ZTE, 화웨이 중국 업체의 무서운 성장률에 밀리고 있다. 2011년 4분기에는 ZTE에게, 2012년 1분기에는 화웨이에게 추월당했다. 화웨이가 2011년 4분기에서 2012년 1분기까지 단 1분기 만에 2.9% → 5.8%라는 기록적인 성장을 이루는 동안 LG는 3.6% → 3.7%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 노키아라는 벽이 무너지는 동안 깨져나온 점유율을 모조리 애플과 삼성이 슥슥 긁어가는 바람에 플래그십 점유율은 애플-삼성 위주로 고착화 되었고, 보급형과 중국 내수 시장은 중국 기업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형국이다. 이런 상황에서 LG가 피쳐폰 시절의 아성을 되찾는 길은 쉽지 않아 보인다.

스마트폰에 집중하기 위해 당분간 태블릿 사업에서 철수한다고 밝혔다. # 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에서 방향을 잡는게 더 시급하다고 판단해 윈도우 폰 프로젝트들을 전부 드랍했고, 그 결과 윈도우 폰 8의 협력 하드웨어 업체에선 제외된 상태다. # 또한 이미 출시된 옵티머스 7윈도우 폰 7.8 업데이트는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MS의 지원으로 7.8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LG가 이 방면으로 욕을 더 먹을 일은 없다.

2013년 옵티머스 G와 쌍둥이 레퍼런스폰 넥서스 4, 그리고 갤럭시 노트 II에 대항하기 위해 Full HD 해상도를 적용한 옵티머스 G Pro를 출시했다. 넥서스 4의 경우 저렴한 가격에 구글신의 소프트웨어 최적화, 성능 모두를 만족시켜 많은 호평을 받았다. 프리미엄 시장인 북미 시장 내 점유율도 10%로써 삼성, 애플에 이은 3위로 올라선 상태. HTC, 모토로라, 노키아, 블랙베리 등이 모조리 Others에 분류되며 사망 상태인 것과 비교하면 장족의 발전이다.[18] LG G2 또한 만족스럽게 뽑아냈으며, 통신사와의 협의 및 유통 문제도 해결되어 빠르게 전세계에 출시되었다.

LG 스마트폰의 전성기는 그나마 2013~2015년 사이로 볼수 있는데 이 때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은 연도 단위로는 3위를 차지한 적이 한 번도 없다. 하지만 분기별 성적까지 포함하면 한때 애플, 삼성에 이어 소니랑 치고받고 하며 3위를 차지한 적도 있었다.[19] 하지만 중국 업체인 레노버, 화웨이에 밀려 2013년 3분기에 SA, IDC 공통으로 5위까지 밀려났으며, 4분기에는 그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담으로 2013년 3분기의 SA 집계에서는 잠정집계에서는 4위였으나 최종 집계결과 레노버의 판매량이 올라가면서 5위로 밀려났다. 순위보다도 3~4위를 차지한 화웨이와 레노버는 흑자로 추정 되지만 LG MC사업본부는 3분기에는 797억의 적자, 4분기에는 434억의 적자를 기록한 상태라 더욱 우려가 되는 상황이다. 사실 적자가 문제라기보다는 저렇게 마케팅 비용을 붓고도 순위는 되레 하락했다는게 더 문제이다. 애초에 3분기에 과도하게 부었다는 마케팅비가 2,000억원인데 이게 이번에 SA, IDC에서 LG를 제치고 4위를 차지한 레노버의 1분기 영업이익 수준인 걸 생각하면 최근 LG를 5위로 밀어낸 중국업체들은 더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4분기에 LG와 중국업체의 판매량 격차는 더욱 더 벌어졌고, 결국 2013년 1~2분기에 6개월 천하를 기록했던 LG는 2013년 최종 순위에서마저 4위로 밀려났다. 여기다가 레노버가 모토로라를 합병하여 버린 것도 LG에게는 악재다. 레노버가 모토로라를 합병한 상태로 계산하면 2013년 LG의 순위는 5위까지 떨어진다. 단 2013년 3분기의 가트너 순위에서는 레노버 3위, LG 4위, 화웨이 5위로 4위를 차지 하였다. 그러나 가트너는 SA나 IDC에 비하여 저명도나 신뢰도가 좀 떨어지는 편이다.

2015년 7월 29일 발표한 2015년 2분기 MC사업부 매출이 3조 6,484억 원인데 영업이익이 단 2억 원에 불과하다. 이 기간동안 LG는 1,450만 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했는데, 단순히 두 수치를 맞춰본다면 폰 한 대 당 나온 영업이익이 고작 13.8원이다. 즉 사실상 이익을 남기는 기업의 목적은 둘째치고 산소호흡기만 달고 있는 상태다.[20] 슈퍼 프리미엄 전략으로 이를 극복하겠다고 하지만 단통법의 실수를 전혀 깨닫지 못한 모습이다. 이후 10월 29일 발표한 2015년 2분기 MC사업부 매출은 3조 3,774억 원인데 영업적자가 776억 원이 나와 1,490만 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하고도 한 대당 영업적자가 5,208원이나 발생하여 LG전자 MC사업본부의 가치가 '0'이라는 기사마저 등장하고 있다.

2016년 1분기 점유율과 판매순위도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삼성과 2위인 애플을 제외하면 3, 4, 5위는 중국기업이 차지해 LG는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상당 부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실적 발표에서 LG전자가 300억 원을 적자전환 했다고 공시했다. 시장 평균전망치 1,100억원 흑자를 크게 밑도는 어닝 쇼크 수준으로 사업부별 실적은 별도로 공시하지 않았으나 G5 부진으로 인한 분기 최악실적인 4,300억원 적자를 넘어서는 4,600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월에 열리는 2017 MWC에서 차세대 플래그십 G6의 공개를 예고했는데 사실상 사업부의 존폐가 달린 상황인만큼 사활을 걸고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엄청난 적자 폭을 줄이지 못한다면 LG전자 전체가 위태로운 상황까지 내몰릴 형국이다. 하지만 결국 G6도 갤럭시 S8에 밀려 적자를 냈다.

2017년 3분기 역시 적자. 이로서 10분기 연속 적자를 달성했다. 2018년 2분기까지 역시 적자로 연속 13분기 적자를 달성하였다.

2018년 3분기도 역시 적자를 달성하여 연속 14분기 적자 상태이다. 그러나 적자 폭이 줄어들면서[21] 장기적으로 회생 가능성이 보이고 있으며 V40 ThinQ가 경쟁사들에게도 경쟁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완성도를 드디어 보여주고 있다.

결국 국내에서 생산하던 스마트폰 전 물량을 베트남과 브라질로 옮긴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2019년 4월 LG 사내 공지에서 MC사업본부 생산인력 감축 및 전배 계획을 올리면서 LG의 스마트폰 국내생산의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되었다. 생산관련부서 인원들을 대상으로 재직 기간에 관계 없이 약 700~800명 정도의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벼랑 끝' LG폰, 국내 생산 중단

2019년, LG V50 ThinQ가 통신사의 5G 고객 유치 목적으로 폭격된 보조금 덕분에 전설의 0원폰[22]으로 진화해 출시 3개월만에 LG 스마트폰 중에는 오랜만에 대성공을 거뒀으나, V50와 동시에 출시한 LG G8 ThinQ, 그리고 보조금이 꺼진 뒤 나온 LG V50S ThinQ는 LG의 보급형 스마트폰인 LG X4(2019)에게도 밀리며 장렬히 전사하고 말았다.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었는데, 기존 전략으로는 V50 후에 출시하는 V50S는 같은 사양에 칩셋, 메모리 등의 업데이트가 있는 마이너 업그레이드 모델이었어야 했는데 해상도, 카메라 등 많은 부분이 다운그레이드가 되어 좋은 평가를 받지 못 했다.[23] 더욱이 보조금 폭탄으로 페이백까지 받아가며 V50을 구매했는데, 딱히 좋아진 부분도 없는데 보조금이 꺼진 상황에서 매력적이지도 않은 V50S를 구매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

2019년 결산 결과 1조 9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2015~2019년 누적 적자가 5조 원에 가까운 4조 9,000억원이 쌓여 특단의 조치가 없다면 매우 암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에서도 "Life was Good" 또는 "Life is Gone"라고 조롱받을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수요는 삼성전자와 애플이 양분하고 있고, 중저가형 스마트폰의 수요도 삼성 갤럭시 A 시리즈, 국내 정식 출시된 샤오미에 야금야금 먹히고 있다. 지금이라도 MC사업을 접고 가전에 올인하라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이게 말이 쉽지 지금까지 투자한 모든 비용들을 포기하라는 말이니 LG 입장에서도 쉽지 않은 결정일 듯 하다. 매몰비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치더라도, LG가 강한 가전분야의 교체주기는 10년 남짓인 반면 스마트폰은 평균적으로 2년에 한번 교체하는게 보편적으로 자리잡은 상태인데 이정도의 시장을 포기한다는 결정은 결코 쉽지 않다.

삼성의 갤럭시 S20 시리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가 겹치면서 판매량이 저조한 상태이지만 여전히 1위의 철옹성을 고수하고 있다. 애플 또한 10-20대를 기반으로 한 장기적으로 꾸준하면서 탄탄한 수요 기반 마련에 성공했으며, 답이 없던 사후지원 상태를 애플스토어 오픈 및 애플케어+ 출시 등으로 차차 개선해 가는 모습을 보며 2위에 안착했다. 하지만 LG는 아직도 시대를 거슬러 오르는 전략으로 인해 20분기가 넘어가도록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말 그대로 백색가전 사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몽땅 스마트폰 사업에 퍼부으며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팬택처럼 스마트폰 주력 생산 기업이었다면 눈 뜨고 일어나니 파산해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다.[24]

권봉석 LG전자 사장은 2021년까지 MC사업부의 흑자 전환을 이루겠다고 포부를 밝혔으나, 전문가들의 반응은 부정적이며 투자증권 연구원들은 2021년에는 7,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른 기관도 코로나 여파가 있어도 MC사업부 빼고 LG전자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을 정도로 앞길이 힘들어 보인다. #

어떻게든 원가절감을 하기 위해 주문자생산( ODM)과 합작개발생산(JDM)을 진행하고, 중저가형 라인업인 Q시리즈와 X시리즈의 비중을 50% 이상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기존 'G 시리즈-V 시리즈'로 이루어지는 투-트랙 전략을 국내에서는 중저가형 제품, 해외에서는 플래그십 제품 판매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LG V60 ThinQ가 공개되었을 때 국내 출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V60 ThinQ 대신 LG G9 ThinQ가 출시될 예정이며 국내에 저가형 라인업 제품인 LG Q51이 출시되었다.

문제는 이런 투-트랙 전략조차 삐걱거리고 있다는 것. 국내에서는 중저가형 모델을 판매하겠다며 내놓은 LG Q51은 319,000원이라는 출고가에 어울리지 않는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다. 더 높은 스펙의 샤오미 홍미 노트 8T의 국내 판매가격이 239,000원이며 삼성전자의 경쟁 제품인 갤럭시 A30의 출고가도 349,800원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소비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Q51을 살 바에는 샤오미 홍미 노트를 살 것이며, 사후지원과 페이 결제 등 편의성을 생각해도 3만 원 더 주고 갤럭시 A30을 사는 게 낫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의외로 판매량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라고 한다. #

더욱이 원가절감을 위해 펼친 전략인 ODM 및 JDM 전환도 생각했던 것 만큼 매끄럽게 되지 않고 있다. 중국에서 수준급 ODM 제작이 가능한 회사들은 이미 샤오미 BBK( OPPO, Vivo) 같은 대형 제조사로부터 물량을 수주받고 있는 상황에 LG의 주문량이 비참할 정도로 적은 탓에 우선순위에 밀리는 상황이다. 외부조달로 돌렸는데도 경쟁자들만큼 원가절감이 안되고, 출시 시기도 상대적으로 밀리고, 외주 개발 업체의 급마저 낮춰야 할 판이라 전혀 사정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2020년 4월 12일, G 시리즈의 폐기로 인해 국내에서 출시할 메인스트림 급 제품인 G9은 LG VELVET으로 변경되었다. 시리즈를 이어나가지 않고 피쳐폰 시절처럼 제품마다 펫 네임을 붙일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벨벳 공개 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엄청난 비판 세례를 받고 있으며 사내 게시판에서도 스펙 대비 높은 가격 정책으로 인해 비판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런 비판적인 반응에도 한 LG전자 수석연구위원[25] LinkedIn에 " 대박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등의 현실과 맞지 않는 글을 작성하면서 여전히 임원들이 제대로 된 상황 파악을 못 하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 7월 7일, MC사업부는 2015년 이래 21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그나마 2,378억원의 적자를 본 전분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거나 조금 회복될 수 있다고 분석해 LG 입장에서는 그나마 위안 삼을 수 있는 부분이다. #

2020년 8월 24일, 5G를 지원하는 중급기인 LG Q92를 공개했다. 원가 절감 요소가 조금 있지만, VELVET보다 더 좋은 프로세서로도 가격이 49만원으로 책정되어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2020년 9월 7일, LG의 하반기 플래그십인 WING의 출고가가 109만원으로 책정될 확률이 높다는 기사가 나왔다. # 140-190만원을 예측하던 것보다는 확실히 낮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스냅드래곤의 가격이 굉장히 비싸져 100만원 이하는 스냅드래곤 765G, 100만원 이상은 스냅드래곤 865+를 탑재하는 게 2020년 트렌드인데, 디스플레이 두 개 넣었다는 이유로 765G를 탑재하고 100만원에 팔려고 하냐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그래도 VELVET보다 가성비가 낫다는 평가가 많아 평은 그리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12월 들어 스마트폰 개발, 영업 조직을 폐지하고 ODM사업담당을 신설해 ODM 비중을 내년에는 70%까지 올린다 #고 보도됐는데, MC사업본부의 핵심을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의사결정이어서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2.4. 2021년, 사업 종료

2020년 출시한 LG VELVET LG WING의 판매가 부진하자 2020년 말, 2021년 초에 구조조정설, 매각설 등이 흘러 나왔다.

2021년 1월 15일 인터넷 언론 매체 디일렉에서 LG가 개발 중이었던 LG Rollable를 포함한 모든 스마트폰 계획을 취소했으며, 26일 이뤄질 중대발표에서 MC사업부 폐지를 언급할 것이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복사 링크, 원본 삭제됨) 또한 직장인 익명 앱 블라인드에서 직원 이동을 암시하는 글이 올라왔다 지워졌다. # 회사 측에서는 사업부 폐지설이 사실 무근이라고 일축했다.

2021년 1월 20일, 권봉석 사장은 MC사업본부 구성원들에게 이메일로 "MC사업본부의 사업 운영 방향이 어떻게 정해지더라도 원칙적으로 구성원들의 고용은 유지되니 불안해할 필요 없다"라며 강조면서도, "사업 운영 방향이 결정되면 구성원에게 투명하고 신속하게 공유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그러나 다음 날인 1월 21일, 구광모 회장이 권봉석 사장으로부터 보고받은 MC사업본부 경영 효율화 방안을 보면 기존 MC사업본부 인력 상당수를 AI 분야에 재배치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 언론 보도 이후 MC사업부 인력들 상당수는 이직을 준비하거나 다른 계열사로 옮길 준비를 하느라 사업부 전체가 중지되었다고 한다. #(가입필요)

베트남 빈그룹, 구글이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 러시아 국부펀드까지 사업부 인수 의사를 밝혔으나 # 2021년 3월 21일, 협상이 잘 풀리지 않았는지 LG가 MC사업부를 매각하는 것이 아닌 사업부 자체를 시장에서 철수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올라왔다. # # 당초 인수 후보자들은 LG가 매각을 추진했던 베트남 공장과 일부 특허권을 넘어서 핵심 기술에 관련된 지적재산권과 핵심 인력들까지 인수를 원했으나 LG는 IoT, 자동차 전장 사업 등을 염두에 두고 인력과 지적재산권을 포함한 핵심기술은 매각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끝까지 고수하여, 거래가 성사되지 못했다고 한다.

결국 2021년 4월 5일 열린 이사회에서 휴대폰 사업 종료를 결정했다. # 이로써 LG의 MC사업본부는 1995년 첫 출시 이후 2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사업 종료일은 7월 31일이다.[26]

A/S는 최소 4년간 지원하며, OS 업그레이드는 최대 3년 간 사후지원한다고 밝혔다.

이후 무디스 피치는 LG전자의 신용등급을 1단계 높였고, S&P는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했다. # 잘 접었다

LG는 사업 종료 발표 후 삼성 견제 차원 및 부품 제조 사업을 위해 애플과 대대적인 협력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LG는 자사 임직원 몰에서 LG폰 대신 아이폰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LG전자 베스트샵에도 LG폰 철수 뒤 아이폰을 판매하겠다는 계획이다. LG 입장에선 원래부터 LG의 디스플레이 등의 부품 생산의 대다수 매출을 애플이 차지하고 있었으니 애플과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제조업에서 상당히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게 되고, 실패한 자사폰 대신 충성도가 강한 애플 팬들에 어필하여 사물인터넷을 앞세운 백색 가전 판매를 탄탄하게 다질수도 있기에,[27] 사실상 애플 - LG 모두의 윈윈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자 이동통신사들은 대기업의 횡포라고 칭하며 집단 반발에 나섰고, 이에 삼성이 이동통신사에 아이폰을 팔려면 갤럭시도 팔게끔 LG 측에 압력을 넣으라는 주문을 넣었다는 폭로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기사 수정됨)[28]

기사에 따르면, LG는 애플과의 관계를 개선함으로써 백색 가전 판매나 전자기기 부품 생산 뿐만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Apple Car 협업까지 노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참고로 LG전자는 2019년부터 마그나와 합작해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세우는 등 전기차 부품 생산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후 2021년 7월 31일, LG의 휴대전화 사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며 사업 시작 26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로부터 16일 뒤인 8월 16일부터 LG전자 베스트샵 매장에 아이폰, iPad, Apple Watch 등의 애플제품 판매를 개시했다. 아쉽지만 매장 내 A/S는 아직 불가능하고, 자급제 모델을 아직 팔지 못하고 있는데 Apple 공식 인증 리셀러 자격을 완전히 인정받지 못해 생긴 일로 보인다.[29] 다만 추후 A/S를 실시하거나 자급제 모델의 판매도 가능할 수도 있으며 2022년 7월부터 자급제 모델의 판매가 시작되면서 애플과 모종의 협의에서 합의를 얻어 리셀러 지위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2023년 9월부터 국내 일부 서비스센터에서 휴대폰 수리를 중단하기 시작했으며, # 이후 LG Pay 서비스도 2024년 7월 15일자로 종료된다.[30] #

2.5. LG 모바일 사운드 아카이브 LP

2021년 8월 23일 LG전자 홈페이지에서 26년 사업기간동안 출시한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었던 음원을 바이닐 LP로 500세트[31] 한정 제작하여 무상증정 이벤트를 실시 하였다.

LG폰과 함께한 추억의 댓글을 작성 응모하면 추첨으로 무상 증정하는 이벤트이다. 저작권 이슈가 있는 LP전용 음원을 제외한 자체 제작 음원은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하여 제조사 상관없이[32] 벨소리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이벤트 페이지에서 지원한다. #

해당 이벤트는 내부 시선을 의식해서인지 소극적으로 기사가 발행되었으나 하입비스트, 아이즈매거진, 얼리어답터, 에스콰이어 등과 같은 각종 유명 매거진과 커뮤니티에서 바이럴이 되고 있으며 3일만에 응모 댓글 3천개 이상 그것도 진심어린 정성스러운 댓글들이 많이 등록 되는 등 LG모바일의 역사를 소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샀다.

양장본으로 된 회색 케이스에 LP자켓이 들어가있으며 당시 국내 LP 바이닐 앨범에서 보여주지 못한 완성도 높은 패키징이 소장가치를 더욱더 높이었다. LP1에는 피쳐폰 시절의 벨소리들이 LP2에는 스마트폰의 벨소리들이 담겨져있으며 심지어 엔리오 모리꼬네가 만든 벨소리들도 포함되어 있다. LG가 제작한 100대의 주요 휴대폰의 아트워크 대형 포스터가 포함되어 있다. 포스터 하단에는 Dedicated To The People Who Made it. 이라는 문구가 적혀있어 오랜시간 LG폰을 사용한 고객과 임직원을 향한 헌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업계에서도 해당 이벤트에 대해 진정성있고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

1년 후에는 "Life's Good" 브랜드 벨소리의 연도별 버전 스튜디오 완곡을 담은 "LG Life's Good Sound Archive"를 1,000장 한정수량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3. 비판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전자/MC사업본부/비판 및 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1] PC시장에선 1티어급인 Microsoft마저도 이 분야에선 망했다. 그나마 블랙베리, 모토로라 등 기업과는 달리 모기업 자금빨로 버티고 있었지만 이게 매몰비용만 더더욱 늘리는 악수가 되었다. [2] 이때까지만 해도 동일한 단말기로 셀룰러 2개사 혹은 PCS 3사에서 모두 개통할수 있었다. 즉, 통신사 전용 단말기가 아니었다는 것으로 LG에서 해지한 단말기를 KTF에서 그대로 재개통할 수 있었다. 그런데 주파수가 달라서 한 단말기로 5개사 모두 개통은 안되고 셀룰러용 PCS용 두종류로 분할되었다. 물론 그당시에서 소소하지만 통신사 보조금은 있었다. 물론 일부 단말기들은 소프트웨어의 문제로 특정 통신사에서만 개통가능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통신사 전용 단말기화가 진행되어 동일한 단말기도 통신사마다 따로 나오고 상호 호환이 되지 않게된다. 3G WCDMA 시대(2002년 전)가 되기 전까지. [3] KP6100, 광고 [4] 눈에 띄는 변화로는 버튼(터치로 대체), 외부 돌출 안테나가 사라진 점이다. 공돌이 입장에선 당연히 있어야 할 물건을 제거한 셈. [5] 이 또한 전임 김쌍수시절 R&D의 힘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다만 마케팅에 소홀했다는 평 역시 지배적이다. [6] 1년 후에 출시한 옴니아의 PXA312보다도 실 성능은 우세했었다. [7] 화학은 LG화학의 주 사업 분야로 LG의 주력 산업이지 LG전자하고는 상관없다. [8] 트렌드가 바뀌는 것은 맞았지만 LG나 다른 제조사가 주저할 만도 했던 것이 2010년은 물론이고 2012년까지도 피처폰은 여전히 잘 팔렸다. 기사에 따르면 당해 4분기 휴대폰의 총 출하대수가 4억 7천만대였는데 여기에서 스마트폰의 출하댓수가 2억대 수준이었고 나머지 2억 7천만대는 여전히 피처폰이었다. [9] 노키아도 스마트폰 시장에 나름 대응을 했다. 심비안도 나름 스마트폰 OS이고 인텔/리눅스 재단과의 협업을 통해서 Meego를 개발중이었지만 이미 스마트폰 운영체제는 iOS Android가 대세였기에 힘을 써 보지 못했다. [10] 그나마 노키아는 더 이상 스마트폰으로는 승부를 볼 수 없다고 판단해 스마트폰 제조 부문을 마이크로소프트에 넘기고 통신 사업과 헬스 케어에 집중해 흑자를 내는 등 어느 정도 부활에 성공했지만, 블랙베리는 스마트폰 제조 파트너십을 맺은 TCL이 2020년 파트너쉽 재계약 포기 선언을 하면서 아예 회사가 증발해 버렸다. [11]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그게 삽질이라기보다는 보편적인 기업들의 행동뱡향이며, 단지 아이폰이 그 당시에 너무 획기적이었으며, 삼성 또한 변하는 트렌드를 너무 빨리 따라간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즉, 다른 회사는 정상적인 판단과 개발속도였지만 애플과 삼성이 비정상적으로 뛰어났던 것. 다른 산업의 발달 속도와 비교해 봐도 2010년대 초 스마트폰의 발전은 이례적으로 초고속이다. [12] 발표 자체는 2010년 3월 23일, CTIA 2010에서 했었다. [13] 옵티머스 Q 출시일: 2010년 6월 5일, 갤럭시 S 출시일: 2010년 7월 1일. 참고로 갤럭시 S가 국내에서 공개된 6월 8일은 iPhone 4가 미국에서 발표된 날이다. [14] 옵티머스 Q는 LG U+ 전용, 옵티머스 Z는 SK텔레콤, KT로 출시했다. 당시에는 통신사가 자사 통신망에서 판매할 휴대폰을 지정하는 형태였으므로 LG의 100% 잘못은 아니다. [15] 옵티머스 Q에서 쿼티 키패드와 트랙볼을 빼고 저장 공간을 줄이면 그대로 옵티머스 Z가 된다. [16] 남용 부회장이 자진 사퇴하기 바로 전 주에 LG의 성공과 한국 재벌스럽지 않게 구 씨가 아님에도 성공 가도를 달리는 전문 경영인 CEO니 뭐니해서 타임지에 꽤나 길게 기사가 났다. 그리고 남용은 LGT에서도 CEO직을 내려놓게 된 경력이 있다. [17] 6월 24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6월 24일부터 30일까지는 물량 주문을 받았고, 실제 판매는 7월 1일부터 시작했다. [18] 아심코의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 제조업체는 적자가 나기 시작하면 그대로 사망 테크를 타지만 예외적으로 LG는 모바일 이외에 매출의 원천이 많아 버텨냈다고 평가했다. [19] 2013년 1분기 ~ 2013년 2분기 [20] 물론 기업의 입장에선 이렇게 이익이 안 나도 영업활동은 계속 이어갈 수 밖에 없다.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데 들인 고정비용이 이미 막대하므로 남는 영업이익이 거의 없어도 거기서 그만 두면 오히려 손해를 보기 때문. [21] 물론 생산량을 적게 조정하면서 적자 폭이 줄어든 것일수도 있으나 적자 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건 기업이든 소비자에게든 좋은 현상이다. [22] 대리점에서 흔히 광고하는 공짜폰이 아니라 8~9만 원대 요금제를 6개월만 유지하면 할부원금 없이 구매하거나 역으로 페이백을 받는 경우도 많았다. [23] 대신 저장공간, 램 상향과 해상도 하락으로 기기의 성능은 좋아졌는데, 문제는 해상도와 카메라는 눈에 띄지만 성능은 멀리 갈것없이 V50과 비교했을때 조차 배터리를 제외하면 티가 나지 않아 장점으로 승화되지 못했다. [24] 그나마 다행이라면 LG는 팬택과는 달리 대기업이고, 백색가전에서 굉장한 수익을 거두고 있기 때문에, 누적된 적자여도 그룹 자체도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팬택은 작은 기업이라 스마트폰 사업만 하기 때문에, 이 사업에서 실적이 좋지 않으면 바로 회사가 휘청거린다. [25] 상무급 [26] 금성통신 시절까지 합하면 1988년 이후 33년만의 철수이다. [27] 대표적으로 LG 베스트샵은 한국에서 500개 이상의 지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계획까지 합쳐 한국에서 4개의 지점 밖에 가지고 있지 않은 Apple Store에 비해 접근성이 대단히 높다. 이 수많은 LG베스트샵에서 아이폰을 집중 판매한다면 애플은 그동안 많은 지적을 받아왔던 접근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상쇄하고 초거대 LG 유통망을 사용할 수 있으며, LG는 아이폰을 사러온 애플 팬을 상대로 자사 가전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플/친 애플 기업 충성도가 강한 애플 팬에게 LG 가전제품 구축을 크게 강조할 수 있는 이미지를 얻게 된다. 괜히 삼성이 패닉에 빠지고, 이동통신사에게 ‘LG의 아이폰 판매를 막아달라’고 청탁하는 짓까지 하고 있는 게 아닌 셈. 실제로 LG는 가전제품 광고에 아이폰을 이용해 컨트롤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자사 앱의 예시 역시 아이폰을 기준으로 하면서 아이폰과의 연동성에 집중하고 있음을 어필하고 있으며 삼성의 GOS 사태 이후 삼성의 AS가 문제가 되자 가전은 LG라는 인식이 더 강해졌다. [28] 사내에 갤럭시도 팔까 하는 의견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자존심 문제와 베스트샵이 있는 곳이면 삼성 디지털프라자도 옆에 있는 경우가 많아 폐기되었다. 냉정하게 LG 입장에서 경쟁사 제품을 팔아줄 이유가 하등 없기도 했다. [29] 애플 리셀러 자격을 받으려면 Mac을 포함한 애플 제품들을 차별없이 모두 취급하여야 하는데, 문제는 LG 측에서 자사 노트북을 잠식시킬 것으로 생각해 맥 판매 및 수리를 거부해버렸다. 그것 때문에 LG 측에서 특정 제품 라인업을 거부하더라도 애플 리셀러 지위를 얻을 수 있게 해달라는 협상이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협상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았거나 잘못된 기사인 것으로 보인다. [30] 환불 기능은 31일 까지 작동한다. [31] 단 추첨물량 외에 넘버링이 없는(AP판) 참여 아티스트 및 인플루언서 배포용 소량 추가 제작 분량이 있다고 한다. 잇섭이 이 중 후자의 물량을 받아서 인증했다. # [32] 아이폰에서도 가능하다 [33] 공식 슬로건이다. [34] 당시 LG가 gram을 만들던 당시 삼성전자에서는 이미 PC사업과 카메라 사업보다는 스마트폰 사업에 열중하고 있었다. 당시 삼성에서 센스 브랜드를 버리고 아티브를 만들던 시절 LG에서는 새로운 디자인의 일체형 컴퓨터를 발매하고 gram과 울트라 PC를 만들었다. [35] G5, V20, G6은 미국판 포함. [36] 결국 모토로라의 2022년 4월 재진출이 확정되었다. [37] 휴대폰 사업 종료 이후 출시된 만큼 이동통신( 5G, LTE 등) 모듈 없이 와이파이만 탑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