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3:20:19

2024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해에 발생한 다른 수도권 지하철 철도 노동조합의 총파업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수도권 철도 총파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상수송대책에 관한 문서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수도권 파업 및 철도노조 파업/비상대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전국철도노동조합 아이콘 화이트.svg 한국의 철도파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93488><colcolor=#fff> 1994년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1994년 전국 철도·지하철 파업사건
2013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13년 전국철도노동조합 파업사건
2016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16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2016년 전국지하철노동조합 총파업
2019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19년 한국철도공사 총파업
2022년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2022년 서울교통공사 총파업
2023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23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2023년 서울교통공사 총파업
2024년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2024년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서해철도주식회사 로고.svg 파일:용인에버라인운영_Logo.png
2024년 수도권 철도 총파업
}}}}}}}}} ||

2024년 전국철도 노동조합 총파업
교섭기간
1차: 2024.12.04.(수) 16:00
2차: 2024.12.10.(화) ~ 2024.12.11.(수) 15:35
요구사항
노사합의 이행 및 임금체불 해결, 외주 철회 및 인력충원
파업기간
2024.12.05.(목) 09:00 ~ 2024.12.11.(수) 19:00
결과
협상 타결에 따라
파업 종료
주요 잠정 합의사항
* 임금인상
* 4조 2교대 시행
* 임금체불 해결 등

1. 개요
1.1. 노조측 요구사항
2. 경과3. 기타 쟁점
3.1. 코레일의 딜레마3.2. 부당 징계
4. 반응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전국철도노동조합이 12월 5일부터 12월 11일까지 시행된 철도 파업이다.

1.1. 노조측 요구사항

철도노조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2. 경과

3. 기타 쟁점

3.1. 코레일의 딜레마

3.2. 부당 징계

4. 반응

5. 기타

이번 파업은 서울교통공사 노조 및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문은 물론 서해철도, 용인에버라인운영, 서울시메트로9호선 등 민자철도 3사도 연합해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노사간 타결[7]로 철회됨에 따라 지하철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코레일과 공동으로 운행하는 1, 3, 4호선, 동해선(광역철도)은 파업 영향으로 인해 완전 정상 운행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

또, 금번 파업으로 인해 영업 전 시운전 시수가 부족해질 수 있는 교외선 구간과 중앙선 안동~영천 복선전철화 구간, 동해선 삼척~영덕구간 개통일자가 연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8] 이러한 가능성으로 인해 해당 구간의 발매일은 현재 추후 안내로 계속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 우려는 결국 현실이 되어 교외선 구간에 대해서 개통식은 예정대로 27일에 진행하나 실 열차운행은 12월 31일이나 1월 초에 진행할 것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

한 때 대경선에 대해서도 12월 14일 개통에 있어 차질을 빚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국가철도공단 관계자에 따르면 개통은 예정대로 진행하나 파업으로 인하여 열차 운행횟수는 다소 줄어들 것이라는 보도를 함으로서 개통 자체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12월 11일, 협상이 타결되어 파업 종료로 우려한 열차 운행횟수 감소도 없이 대경선 운영은 계획대로 진행 될 전망이다.

한편, 철도노조의 파업 기간에 정치적 상황까지 맞물려 파업이 장기화 될까 우려했지만 다행히 노사간 합의 끝에 12월 11일 파업을 종료하고 정상운행에 나서면서 우려를 불식시켰다.

6. 둘러보기



[1] 기존에 기획재정부에 의해 삭감당했으며, 2018년 당시 부임했던 사장의 노사간 합의사항이다. 다만, 이후 기획재정부가 이를 지침 위반이라며 다시 80% 수준으로 원복시키는 중이었다. [2] 사측 주장이 아닌, 노조측 요구사안이다. [3] 관련지침: 뛰지 않을 것, 승하차 확인을 철저히 할 것, 생리현상 등이 생길 시 반드시 최근역에서 해결할 것 등 [4] 일부 커뮤니티 등지에선 앞차와 충분히 떨어져있거나 영향 범위에 아예 없는데도 앞차가 느리게 가서 정차한다는 등의 변명방송도 나왔다고 한다. [5] 운행 당일을 포함하여 향후 4일간의 운행 중지 열차만 나와 있으며 목록 외의 열차도 파업 기간 동안 돌발적으로 운행 중지되는 경우가 있으니 이용하기 전 반드시 운행 중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파업 기간 동안에는 승차권 반환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6] 사측이 정당한 요구를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7] 용인경전철은 파업을 철회하지 않았지만 대체 인력을 투입하기 때문에 정상 운행한다. [8] 동해선 광역전철 역시 2016년 철도 파업으로 시운전 시수를 채우지 못해 16년 11월 12일에서 무기한 연기되다 동년 12월 30일에 겨우 개통한 전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