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5:05:22

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북한 관련 뉴스
2023년 2024년 2025년
문서가 분리된 2024년에 발생한 북한 관련 사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7px -1px -11px"
1.5.~7. 2024년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1.14.~ 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
1.10.~15.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1.16.[a] 단천시 여객열차 전복 사고 보도
1.26.[b] 2021년 북한 내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보도
3.4.[c] 법원 전산망 해킹 사건 보도
5.24. 2024년 북한 내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보도
5.28.~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6.18. 2024년 북러정상회담
7.16. 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보도
7.24.~29. 2024년 압록강 유역 대홍수
9.13. 2024년 북한 핵시설 공개 사건
10.3.~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10.4.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10.15.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10.17.[d] 2024년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11.21. 국방발전-2024
11.21.[e] 북한 업비트 해킹 사건 보도
[a]사고 발생 일자는 2023년 12월 26일
[b]사건 발생은 2022년 경
[c]사건 발생은 2021~2023년 경
[d]1차 파병 시기는 10.8.~13.
[e]사건 발생은 2019년 10월
}}}}}}}}}

1. 개요2. 도발의 성격3. 배경4. 도발 횟수5. 목록
5.1. 1월 14일5.2. 1월 18일5.3. 1월 24일5.4. 1월 28일5.5. 1월 30일5.6. 2월 2일5.7. 2월 14일5.8. 3월 18일5.9. 4월 2일5.10. 4월 19일5.11. 4월 22일5.12. 5월 17일5.13. 5월 27일5.14. 5월 30일5.15. 6월 26일5.16. 7월 1일5.17. 9월 12일5.18. 9월 18일5.19. 9월 넷째 주 초반5.20. 10월 31일5.21. 11월 5일
5.21.1. 대한민국의 대응
6. 관련 분석7. 둘러보기

1. 개요

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을 정리한 문서. 한미연합사령부가 SRBM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는 초대형 방사포도 포함한다.

2. 도발의 성격

각 미사일 도발에 대한 도발 상대국 표시는 아래와 같은 기준에서 표현하였다.

3. 배경

3.1. 김정은의 남북통일 포기 및 주적 선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북관계/2020년대 문서
번 문단을
북한의 주적 선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북한의 대러 미사일 수출

러시아는 2024년 1월 2일 하르키우 미사일 공격 등 우크라이나 공격에 화성-11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4. 도발 횟수

유형 횟수 비고
대륙 간 탄도 미사일 2회[2] -
중거리 탄도 미사일 2회[3] -
단거리 탄도 미사일 5회[4] -
순항 미사일 6회[5] -
수중 드론 1회[6] -
지대공 미사일 2회[7] -
다연장로켓 1회[8] -
정찰 위성 1회[9] -

5. 목록

5.1. 1월 14일

1월 14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극초음속 미사일 1발)
평양시 일대 ▶
동해
14시 55분 경, 평양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 #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평가된다. 익명의 군 관계자는 2023년 공개한 화성-12나일지 분석하고 있다고 한다. # SBS는 고체연료 기반 IRBM을 예상했다. #
파일:북한 2024.1.14. 미사일.jpg
2024년 1월 14일 발사 미사일
결국 북한이 극초음속 고체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 도색만 놓고 보면 화성-11가의 연록색 도색을 차용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화성-14에 뿔(cone)을 얹은 모양새이다. 분사 형태가 치마(사다리꼴) 형태로 명백한 고체연료 미사일이다.

안킷 판다는 발사 공표 직후 '북한판 퍼싱 II'라는 평가를 내렸다. #

5.2. 1월 18일

1월 18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수중 드론
( 해일-5-23 1발)
미상 ▶
동해
북한은 1월 19일 국방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일명 수중 드론으로 불리는 수중핵무기체계 해일-5-23의 중요 시험을 동해 수역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단, 이번에는 지난 해일-1, 해일-2의 공개 때와는 달리 사진이나 항로, 잠항 시간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

이에 대해,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북한의 18일 수중 드론 시험에 대해 "핵추진 체계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과장되고 조작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라고 21일 밝혔다. #

5.3. 1월 24일

1월 24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순항 미사일
( 불화살-3-31 수 발)
미상 ▶
황해
파일:불화살-3-31.jpg
불화살-3-31 1차 시험 발사
북한이 서해 일대에서 순항미사일을 다발 발사했다. #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북한이 '전략순항미사일'이라고 주장하는 '화살-1, 2형' 혹은 그 개량형일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은 이 미사일의 구체적인 제원을 밝힐 경우 북한이 기만 선동을 펼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파악한 미사일의 제원을 북한보다 먼저 밝히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

그리고 다음날인 1월 25일, 북한 미사일총국은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신형 전략순항미사일인 불화살-3-31형을 첫 시험 발사했다고 밝혔다. 단, 비행 시간과 거리 등 구체적인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에 대해 성능 개량을 위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5.4. 1월 28일

1월 28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
( SLCM 2발)
함경남도 신포시 인근 해상 ▶
동해
파일:불화살-3-31 잠수함발사.jpg
불화살-3-31 2차 시험 발사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시 일대 해상에서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1월 28일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시 인근 해상에서 순항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북한은 다음날인 29일 노동신문을 통해 김정은이 새로 개발된 잠수함발사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 시험 발사를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북한이 시험 발사한 미사일은 2발로 보이며, 각각 7,421초, 7,445초간 동해 상공에서 비행해 섬 목표를 명중 타격했다. 다만, 북한은 미사일의 비행 거리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정은이 참관했으며, 해군은 김명식이 참관했으며 미싸일총국 병사들도 등장하였다. #

북한의 발표 이후,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발표가 과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5.5. 1월 30일

1월 30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순항 미사일
( 화살-2 수 발)
미상 ▶
황해
파일:화살-2 신형.jpg
2024년 1월 30일 서해상으로의 시험발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1월 30일 오전 7시쯤 서해상으로 순항 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

그리고 다음날인 1월 31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1월 30일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도색을 바꿔가며 혼동을 주고 있다. # #

5.6. 2월 2일

2월 2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순항 미사일
( 화살-1라-3, 수량 미상)
미상 ▶
황해
지대공 미사일
( 번개-7, 수량 미상)
미상 ▶
황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2월 2일 오전 11시쯤 북한이 서해상으로 발사한 순항 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와 군 관계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발사한 순항 미사일은 서해 내륙에서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파일:초대형전투부 순항미사일.jpg
순항 미사일 발사 및 타격 장면
파일:2024년 추정 번개-7 시험발사.jpg
지대공 미사일 발사 장면
그리고 다음 날인 2월 3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서해상에서 순항 미사일 초대형 전투부 위력 시험과 신형 반항공(지대공)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북한 미싸일총국이 대변인 발표를 통해 "해당 시험들은 신형무기체계들의 기능과 성능, 운용 등 여러 측면에서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총국과 관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상적인 활동의 일환"이라고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다만, 시험 발사 장소와 미사일의 비행 시간 등 자세한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 공개된 사진으로 보아 지대공 미사일은 번개-7로 알려진 미사일인 것으로 보인다.

5.7. 2월 14일

2월 14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순항 미사일
( 바다수리-6, 수량 미상)
미상 ▶
동해
파일:바다수리-6 1차 시험 발사.jpg
2월 14일 바다수리-6 시험 발사(1)
파일:바다수리-6 추가사진 (1).jpg
2월 14일 바다수리-6 시험 발사(2)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14일 오전 동해상으로 순항 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했다고 밝혔다. #

다음 날인 2월 15일, 북한은 노동신문을 통해 김정은이 신형 지대형미사일인 '바다수리-6형'의 검수 사격 시험을 지도했다고 밝혔다. # 군사전문가들은 '바다수리-6형'은 사거리 2-300km인 금성-3형 단거리 순항미사일의 개량형이거나 기능과 성능이 고도화된 일명 '북한판 하푼' 신형 단거리 순항미사일로 추정했다. #

5.8. 3월 18일

3월 18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KN-25, 6발 이상)
평양시 삼석구역
동해
알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3월 18일 오전 7시 44분부터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했다고 밝혔다. #.
파일:초대형방사포 6발.jpg
트럭형 초대형방사포 6발 동시 발사
3월 19일, 북한이 초대형방사포 트럭형( KN-25) 6발을 발사했음을 공표했다. 특이 사항으로 미상 TEL 2대가 뒤에서 대기하고 있는 모습이 식별되었다. 6발 발사와 섞어서 교란용으로 발사를 준비 중이었다거나, 다른 목적의 발사를 진행했을 수 있다. (해당 사진)

북한은 대놓고 적 수도를 타격하는 훈련이라고 밝혔다. # 장창하가 미싸일총국 군복을 입고 참석하였다. #

발사 사진 공개 이후, 대한민국 국군 당국자는 발사 발 수는 6발 이상이라고 밝혀 대기하던 TEL도 발사했을 것으로 보인다.

발사지점은 39°06'06.0"N 126°00'27.0"E으로 특정되었다. 평양시 삼석구역 중 강동군과 인접한 지역으로, 대동강 충적지대이다. #

5.9. 4월 2일

4월 2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화성-16나 1발)
평양시 삼석구역
동해

동해상으로 1발을 쏘았다. 극초음속 미사일로 평가된다. 그 중 조선인민군 2024년 공개 IRBM일 수 있다고 익명의 당국자가 밝혔다. # 마침 이 날은 한미일 연합 공중훈련이 있는 날이다. #
파일:16na.png
화성-16나 1차 발사

다음 날인 4월 3일, 원뿔형이 아닌 HGV 형태의 화성-16나를 공개하였다. 아울러 장창하가 미싸일총국장으로 호명되었다. 이어 오후에는 조선중앙TV를 통해 미사일 발사 장면도 공개되었다. 여러 각도에서 발사를 보여주었다. # 발사 시 사용되는 BGM이 보다 흥겹고 긴박한 느낌의 음악으로 바뀌었다.

5.10. 4월 19일

4월 19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순항 미사일
( 화살-1라-3, 수량 미상)
온천비행장
황해
지대공 미사일
( 별찌-1-2, 수량 미상)
온천비행장
황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4월 19일 오후 3시 30분쯤 북한이 서해상으로 발사한 순항 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 콜린 즈위르코 NKNews 기자는 이날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온천비행장에서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파일:별찌-1-2 4월20일.jpg
2024.4.19. 시험 발사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미싸일총국은 서해상에서 전략 순항 미사일 '화살-1라-3'형 초대형 전투부 위력시험과 신형 반항공(지대공) 미사일 '별찌-1-2'형 시험발사를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통신은 "해당 시험들은 신형 무기체계들의 전술기술적 성능 및 운용 등 여러 측면에서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미싸일총국과 관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상적인 사업의 일환이며 주변정세와는 무관한 활동"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시험발사를 통하여 해당 목적이 달성되였다"고 주장했다. 다만, TEL를 이용해 시험발사하는 사진을 공개했지만 구체적인 비행거리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

5.11. 4월 22일

4월 22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다연장로켓· 단거리 탄도 미사일
( KN-25, 4발)
평양시 삼석구역
동해
알섬
파일:2024.4.22. 초대형방사포.jpg
2024.4.22. 4발 발사

평양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하였다. # 이후 트럭형 초대형 방사포( KN-25) 4대에서 각 1발씩 4발을 발사한 것이 보도되었다. 김정은 말로는 '핵 반격 가상종합전술훈련'이라고. 알섬(화대군)이 타겟.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군산 공군기지나 계룡대를 모의실험한 것이라 평가했다. # 발사 장소는 화성-18, 조선인민군 2024년 공개 IRBM에서 사용된 인공호수 바로 옆인 39.112495N, 125.995009E이다. ( #)

5.12. 5월 17일

5월 17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화성-11라, 수 발)
강원도 원산시 일대 ▶
동해
파일:화성-11라 개량1.jpg
개량형 화성-11라 1차 시험 발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5월 17일 오후 3시 10분쯤 북한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비행체 수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

다음날인 5월 18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전날 쏜 탄도미사일이 '새로운 자치유도항법체계'를 도입한 개량형 화성-11라임을 공개하였다. 김정은의 참관 하에 시험사격이 진행되었다고. #

5.13. 5월 27일

5월 27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정찰 위성
( 북한 신형 로켓, 1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일대 ▶
황해
파일:북한 미사일 기습발사(2).jpg
NHK가 보도한 북한 미사일 폭발 장면[10]
파일:북한 미사일 기습 발사.jpg
NHK가 보도한 북한 미사일 폭발 장면(2)

5월 27일 22시 46분 일본 기준 북한으로부터 미사일이 발사되었다는 경보가 발령되었다. 22시 46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이후 일본 언론들은 곧바로 속보로 전환하여 북한 미사일이 공중폭발한 장면까지 방송에 내보냈다.

북한이 야밤에 기습 미사일을 발사를 하였지만 정작 북한과 붙어있는 대한민국에서는 아무런 소식도 없이 미사일 발사 후에도 속보가 없었기에 일본 뉴스로 소식을 먼저 접해야하는 불편함을 겪었다. 북한과 매우 근접한 서해 최전방 지역인 백령도 연평도가 있음에도 대한민국은 아무런 소식을 내보내지 않았다.

KBS가 한참 뒤, 속보를 내보냈으나 이미 미사일은 폭발하여 일본쪽이 입수한 영상을[11] 그대로 내보내는것에 불과하였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5월 27일 밤 10시 44분쯤 북한 동창 일대에서 서해 남쪽으로 발사된 '군사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항적 1개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

다음날인 5월 28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정찰위성 '만리경 1-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에 탑재해 발사했으며 1단계 비행 중 공중 폭발하여 실패했음을 자진 시인했다. #

국가안보실로부터 해당 건을 보고받은 대통령실은 긴급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

5.14. 5월 30일

5월 30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KN-25, 18발)
평양시 순안구역
동해
알섬
파일:600mm대대급발사1.jpg
파일:600mm대대급발사4.jpg
파일:600mm대대급발사5.jpg
2024.5.30. 18발 발사

평양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10여 발 발사하였다. 발사 미사일은 600mm초대형방사포로 특정되었다. # NHK 보도에 따르면 탄도 미사일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 바깥쪽에 이미 낙하한 것으로 보인다. #

대통령실은 해당 건을 보고 받고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을 주재로 안보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이후 무려 18발을 동시발사(salvo launching) 했음이 보도되었다. 또한 트럭형과 궤도형을 모두 선보였다.

5.15. 6월 26일


평양시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하였는데, 공중폭발하였다. 언론에 따르면 고체연료 기반 극초음속 미사일로 추정된다. 대연평도를 비롯 수도권에서 이 미사일의 항적운으로 추정되는 미상 물체와 인공 구름이 목격됐다.

하지만 북한은 MIRV 실험이었다면서 성공을 주장했다.

이후 화성-17과 유사하면서도 고체연료기반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형태를 공개했다.
파일:화성-17 고체화 개량형 시험 발사.jpg
고체연료로 발사되는 화성-17
파일:자칭 북한 MIRV.jpg
자칭 북한의 MIRV

5.16. 7월 1일

7월 1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화성-11다, 2발)
황해남도 장연군
동해

황해남도 장연군에서 5시 정각과 5시 15분 경 각 1발씩 총 2발을 발사하였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첫번째 미사일은 600km가량을 비행해 청진시 앞바다에 낙하했으나 두번째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120km에 그쳤다고 하며, 평양시 동쪽 지역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 내륙 폭발 가능성이나 이전에 이은 MIRV 탑재체 시험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연에서 화성-11가를 쏜 바 있어 어떤 미사일일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 #

후속 보도에 따르면 제1발은 화성-11가(KN-23)으로 추정되며 청진시 인근 지점을 타격했다고 한다. 제2발은 120km정도 날아간 뒤 공중폭발했다고 한다. #

이후 “ 화성포-11다-4.5”라고 발표했다. 4.5톤 급이라고 한다.

5.17. 9월 12일

9월 12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초대형방사포, 수 발)
평양시 일대 ▶
동해
알섬

평양시 일대에서 단거리 탄도 미사일 수 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360km를 비행했다. # 군은 현재 600mm초대형방사포로 추정했다.
파일:2024년 공개 600mm초대형방사포 TEL.jpg
2024년 9월 공개 TEL
이후 새로운 TEL에서 초대형방사포를 발사했음을 공표했다. #

5.18. 9월 18일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이다. 개천시 일대에서 SRBM을 2발 발사했다. 익명의 당국자는 화성포-11다-4.5라고 구체적인 기종을 특정했다. #
파일:화성-11다-4.5 모습.jpg
화성-11다-4.5의 모습
위 보도내용과 꼭 들어맞게도 화성포-11다-4.5 두 발 발사가 공표되었다. 순항미사일도 쏘았다고 한다. 화성-11다-4.5의 미사일 개체도 작게나마 공개되었다. #

또한 90도 직각발사가 이루어지는 순항 미사일도 공개되었다. 외형과 도색은 화살-1과 대동소이하다.

5.19. 9월 넷째 주 초반


신포 인근 해상에서 SLCM을 발사했으나, 10분 만에 실패하였다. 공식 보도는 없었고 정보당국 관계자를 통한 전언이다.

5.20. 10월 31일

10월 31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대륙간 탄도 미사일
( 화성-19 1발)
평양시 일대 ▶
동해
홋카이도 해역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7시 10분 경 평양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 한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되어 약 1,000km 정도 비행 후 동해상으로 떨어졌다. 일본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미사일은 약 86분을 비행하였으며, 일본 EEZ 바깥인 홋카이도(北海道) 오쿠시리섬 서쪽 약 300km 지점에 낙하했다. # 군은 신형 고체 연료 기반 ICBM을 발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또한 이전에 북한이 공개한 12축(24륜) TEL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조사 중이다. #

이후 발사 5시간 여 만에 김정은 참관 하에 진행되었다고 공표했다. 흐릿한 사진 한 장만 공개하고 미사일 명칭도 미공개하였다.

이후 11월 1일 아침, 화성-19 시험발사였다고 공표했다.

5.21. 11월 5일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7시 30분 경 황해북도 사리원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KN-25로 추정되는 SRBM 최소 7발 이상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직전이다.

비행 거리는 약400㎞이다.

5.21.1. 대한민국의 대응

안흥 시험사격장에서 200km정도 거리에 위치한 해상 표적을 향해 현무-IIB를 발사했다. 안흥~사리원 거리에 맞추어 원점 타격을 상정하고 발사한 것이다. 현무-IIA나 현무-IIC가 아닌 현무-IIB를 사용한 것이 특징. TEL 전개 모습과 발사 육군 소속 통제관의 육성까지 공개했다. # #

6. 관련 분석

2024년 들어, 북한이 순항 미사일 발사에 열을 올리는 이유가 주목받고 있다. 한 가지 가설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들은 러시아로 수출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

7. 둘러보기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024FA2><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 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 화성-5·6(300km, 500km) · 화성-11다(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 화성-19(18,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 2009)[MS] · 은하 3호( 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 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 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 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2010년대 후반 정도에는 북한 김여정은 미국 겨냥 무기에 남조선이 뭐라 할 것 없다며 대미도발과 대남도발을 구분지으려 하기도 했으나, 2024년경에는 주적은 '대한민국'이고, 대한민국이란 식민지 속국이자 반신불수의 기형체라고 김정은이 주장했기에 김정은 정권 스스로도 대남 위협이 맞음을 인정한다. 특히 남한 지역에 핵무기를 쏘겠냐고 하여 정치적 논란이 컸지만, 이제는 진보 진영에서도 핵무기도 대남용으로 사용하리라는 선언은 했다고 판단하기도 한다. # [2] 6월 26일, 10월 31일 [3] 1월 14일, 4월 2일 [4] 3월 18일, 4월 22일, 5월 17일, 5월 30일, 9월 12일 [5] 1월 24일, 1월 28일, 1월 30일, 2월 2일, 2월 14일, 4월 19일 [6] 1월 18일 [7] 2월 2일, 4월 19일 [8] 4월 22일 [9] 5월 27일 [10] J알러트를 발령하였다. [11] 중국-북한 접경지인 중국의 접경도시 단둥에서 찍힌 폭발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