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5:02:11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999 수능에서 넘어옴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1998 수능 1999 수능
(1998.11.18.)
2000 수능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가 우선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른 문서들과 달리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여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적용 안 됨.)

1. 개요2. 시험의 상세3. 난이도4. 둘러보기 틀

1. 개요

6차 교육과정 세대의 첫 수능으로, 총 지원인원은 86만 5천명이고 응시인원은 총 84만명으로 집계되었다.[1] 대부분의 1980년생과 빠른 1981년생 및 n수생이 응시하였다.

1998년 11월 18일에 실시되었다. 처음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에서 주최한 시험이며, 69년 예비고사 첫 시행 이래 30년 대입 시험 사상 첫 만점자가 나오기도 하였다. 그 만점자의 주인공은 한성과학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오승은 양.[2][3][4] 또한 이 해부터 선택과목이 처음 도입되기도 하였다.

2. 시험의 상세

교시 영역 계열 구분 문항 배점 시간(분)
1 언어 영역 공통 65 120 90
2 수리 · 탐구 영역(Ⅰ) 인문, 자연, 예체능 30 80 100
3 수리 · 탐구 영역(Ⅱ) 사회탐구 영역 인문, 예체능 48 72 120
자연 32 48
과학탐구 영역 인문, 예체능 32 48
자연 48 72
4 외국어 영역 공통 55 80 80
합계 230 400 390

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1999학년도 수능부터 사회/과학탐구영역에 수능 사상 처음으로 선택과목 제도가 도입되었다. 수리탐구영역(Ⅱ)에서 인문계는 공통사회(57점)+선택사회(15점)+공통과학(48점), 자연계는 공통사회(48점)+공통과학(48점)+선택과학(24점)의 시험을 치렀다.

또 최초로 선택과목 제도가 도입되면서 선택과목의 유불리를 보완하기 위하여 표준점수라는 것도 최초로 도입되었으나, 6차수능에서는 표준점수가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 왜냐하면 선택과목이 하나밖에 없는 데다 그것도 10문제(인문계)/16문제(자연계)밖에 안 되었고 무엇보다도 원점수가 성적표에 찍혀 나왔으며,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상위권 대학에서 원점수를 많이 반영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95 수능부터 이어지고 있었던 예체능계열도 여전히 유지되었다. 예체능계열 시험 응시자들은 언어와 외국어는 다른 계열 응시자들과 시험을 똑같이 보고, 수리탐구1에서는 공통수학 100%, 수리탐구2에서는 선택과목 없이 공통사회(72점)+공통과학(48점)의 시험을 봤다.

여기에 EBS - TV 특별생방송에서 1999 대수능 정답 및 해설의 윤리 과목은 인천 부광고 교사로 재직했던 배경자 선생님[5](윤리 담당), 국사에는 강석오 선생님(서울 영동고 교사) 外 출연하여 해설으며, 1999년 2월 대구 영신고의 꼴찌 탈출기 편에 방송했다. <EBS교육방송시청활용을 통한 기적적인 학력향상의 핵심비결은 무엇일까?>

3. 난이도

전체 평균 점수가 249.6점으로 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비해 전체 평균 점수가 27.8점 올라가 꽤 쉽게 출제되었다고 평가된다. 계열별로 인문계 249.1점, 자연계 263.8점이 평균이었다.

개별적인 수준은 1998학년도 수능에 비해 언어와 외국어영역, 수리탐구Ⅱ(사과탐), 자연계 수리탐구 Ⅰ은 쉽게 출제되었으나, 인문계 수리탐구 Ⅰ(수학)은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언어영역은 120점 만점에 84.7점(100점 만점에 70.6점)으로 지난해의 77.7점(100점 만점에 64.7점)보다 7점(100점 만점 5.9점)올라갔다. 인문계는 115점 이상 인원이 6763명(1.64%), 110점 이상이 37950명(9.23%)이었고 자연계는 115점 이상 5067명(1.50%), 110점 이상이 31188명(9.26%) 이었다. 언어영역 만점자는 계열 통합으로 753명(0.09%)이었다. 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120점 만점에 113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약 94점,표준점수 최고점 133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

수리탐구 Ⅰ은 인문계의 평균점수가 80점 만점에 30.0점(100점 만점에 37.5점)였으며 작년에 비해 1.4점 정도(100점 만점에 1.8점) 상승했다. 또한 65점 이상이 16842명(4.10%)으로 이 점수권의 수험생 분포는 작년보다 많으나, 75점 이상이 2453명(0.60%)로 1% 이내의 최상위권에겐 작년 시험보다 어려웠고 전체적 수준도 7차 이후 시험 기준으로 꽤 어려웠던 편이다. 반면 자연계는 평균 점수가 36.7점(100점 만점에 45.9점)으로 작년보다 2.9점(100점 만점에 3.7점) 상승하였고, 70점 이상 인원 15385명(4.70%), 75점 이상 인원 6209명(1.84%)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약간 쉬웠다. 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인문계80점 만점에 6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81.25점,표준점수 최고점 161점), 자연계80점 만점에 70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87.5점, 표준점수 최고점 147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

외국어는 계열 구분없이 평균 점수가 80점 만점에 48.7점(100점 만점에 60.9점)으로 전해의 45.1점(100점 만점에 56.4점)에 비해 3.6점(100점 만점에 4.5점) 상승하였다. 인문계는 75점 이상 25778명(6.27%)였고 자연계는 75점 이상이 23439명(6.96%)이었다.계열 통합으로 만점자가 5635명 나왔다.

수리탐구Ⅱ는 인문계는 사탐이 평균 47.2점(100점 만점 65.5점)으로 작년에 비해 6점(100점 만점에 8.4점) 상승했다. 65점 이상이 24734명(6.01%), 70점 이상이 1597명(0.39%)으로 과탐은 평균 27.6점(100점 만점에 57.4점)으로 작년보다 7.7점(100점 만점에 15.9점) 상승했다. 45점 이상이 13775명(3.35%)으로 변별력이 낮았다. 자연계는 과탐이 평균 45.5점(100점 만점에 63.2점)으로 작년보다 11.8점(100점 만점에 16.4점) 상승했다. 70점 이상이 3878명(1.15%)로 작년보다 평이했고 어렵지 않았다. 사탐이 평균 31.3점(100점 만점 65.3점)으로 작년보다 5.1점(100점 만점에 10.6점) 상승했다. 45점 이상 7892명(2.34%). 전체적으로 6차 교육과정의 다른 시험들과 비교하면 00,01수능보다는 어려웠고 02~04수능보다는 쉬워 중간 수준은 되었다. 98수능이 더 어려워서 당시 수험생들의 체감수준은 무난했을 것으로 보인다. 계열 통합으로 총 3713명의 만점자가 나왔다.(사탐 2932명,과탐 781명)

전체 점수 분포는 원점수 300점 이상 인원이 20만 3000명에 달했다고 한다. 370점 이상은 인문계 6200명대(1.51%), 자연계 7700명대(2.29%), 380점 이상은 인문계 1900명대(0.47%), 자연계 2300명 정도(0.68%), 390점 이상은 인문계 200명 정도(0.05%), 자연계 250명 정도(0.08%)였다. 398점 이상(1~2개이하로 틀린 수험생)가 전국에 10명 정도 있었다고 한다. 이 분포 역시 1998학년도 수능에 비해 쉬워진 것이다. 또한 1998수능까지는 과거 3년동안 재학생의 평균 점수가 재수생들보다 높았으나, 1999수능부터 재수생들의 평균 점수가 242.7점으로 재학생들의 평균 점수(239.8점)보다 높게 나오기 시작했다. 이로인해 수능 만점은 한성과학고등학교 오승은이지만 수능과 대학별고사가 합산되는 서울대학교 전체 수석입학은 서현고등학교 장은선, 그리고 엠씨스퀘어를 사용하여 364.3점을 차지한 전국 차석인 부천고등학교 박형준, 그외 전국 수석 1등을 차지한 대구 영신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6] 379점을 차지한 이남현 , 으로 수능보다는 대학별고사의 중요도가 높아지게 된다.

1999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언어 113/120(만점의 94.16%) (만점자 753명)
수리영역 인문계 65/80(만점의 81.25%) (계열통합 만점자 1744명)
수리영역 자연계 70/80(만점의 87.5%) (계열통합 만점자 1744명)
외국어 77/80(만점의 96.25%) (만점자 5635명) (표준점수 최고점 131점)

4.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 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 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 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 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 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 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2025 2026 2027 2028
(시행 미정)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


[1] 200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비해 적지만 그래도 꽤 많은 축에 속한다. [2] 서울대 물리학과 입학. MIT 박사 과정을 거쳐 현재 하버드 의대 박사후 과정 연구원으로 재직 중. 그녀의 이름을 딴 문제집과 책이 나오기도 하였으나, 소송 크리로 절판됨. [3] 당시 언론에서 오승은 양의 수능 만점 소식을 오 양의 사진과 함께 중앙 일간지 1면에 대서 특필하기도 했다. 기자의 질문 " H.O.T.를 좋아하는가?" 에 대한 대답 "H.O.T.가 뭐죠?" 하지만 훗날 밝혔을 때 오승은도 H.O.T.를 알았다고 한다. 다만 잘은 모른다고 한게 와전된 것이다. [4] 사족을 하나 붙여보자면 오승은 양의 아버지 오형환 씨는 무려 행정고시 8회 수석을 했다. 또한 총무처, 소청심사위원, 지방행연수원장을 거쳐 국가전문행정연수원 초대 원장에 재임한 엘리트이다. [5] 前 인천초은고(여학교) 교장 재임 후 정년퇴임 함 [6] EBS 위성1TV 위성방송 수업 및 과외를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