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吹雪型駆逐艦(Fubuki-Class Destroyer) |
1. 개요
후부키급 구축함은 일본 제국 해군에서 운용한 구축함이다. 1921년,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체결로 인한 주력 함정 보유 수 제한에 대응하여 일본 해군은 조약의 제한을 받지 않는 보조 함정을 강화하여 주력 함정의 부족을 메꾸려는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따라 건조가 결정난 구축함에 '특형 구축함'이란 정식 명칭을 부여, 건조를 시작했다. 각 함선의 이름은 미네카제급 이전부터 쓰여오던 1등 구축함의 명명법으로 회귀해[1] 기상현상과 자연현상[2]을 따라 지어졌다.특형 구축함은 적 주력 군함에 대해선 뇌격전을 통해 피해를 줄 수 있도록, 적 보조 군함에 대해선 포격전을 통해 피해를 줄 수 있도록 다량의 어뢰 무장과 3년식 127mm 함포 6문을 장착하였다.
동시기 각국의 구축함이 3~4인치급 주포로 단장포 또는 연장포 형태의 수동식 오픈 마운트[3]를 선택한 데 비해, 특형 구축함은 5인치급의 연장 밀폐형 포탑을 선택하여 이전의 동 배수량 함정에 비해 화력이 두 배 가까이 향상되었고 함교 또한 완전 밀폐식으로 바뀌어 작전 지속 능력과 거주성 및 방어력을 높였으며, 구축함으로서는 최초로 정밀화된 화기관제장치를 설치하였다. 거기에 610mm 어뢰발사관 3연장 3기의 어뢰발사관을 갖추어 뇌격 능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후부키급은 20년대 설계된 함선이었기 때문에 이 당시의 구축함 설계사상의 영향으로 빈약한 대공•대잠 능력을 보여주었다. 다만 대전 중 개수를 통해 함선에 폭뢰나 대공무장, 레이더 등을 추가하여 대공•대잠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하였다.
일본 해군은 이러한 후부키급의 성능에 만족, 36척의 후부키급을 건조할 계획을 세웠으나 대형 구축함 대량 건조에 가해진 안팎으로의 여러 제약에 의해 최종 건조수량은 24척까지 줄어들게 된다. 그래도 24척이란 수는 여전히 일본의 조약형 구축함 중에서는 가장 많은 수량이다.
워싱턴~런던 해군 군축 조약 시기 건조된 일본 함정의 과무장 및 지나친 경량화 문제는 후부키급 또한 가지고 있어서, 동형함 두 척이 '4함대사건' 당시 태풍으로 인해 함수가 파손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후 동형의 모든 함정은 개수를 받아 중량이 300톤 가량 증가하게 되고 최고 속도 역시 38노트에서 35노트로 저하되었다.
일본의 조약형 구축함 중 가장 많은 수량이 건조된 구축함이며 태평양 전쟁중 가장 많은 전투에 참가한 구축함들이기에 패전 때까지 살아남은 우시오와 히비키, 비전투손실로 침몰한 미유키[4]를 제외한 21척 모두 미 해군 손에 의해 격침되는 등 손실이 컸다.
하지만 이중 단독으로 미국 구축함 3척을 상실시키고 미 전함에까지 전투 장애를 준 전과를 올린 함선이 있는 등 높은 손실율 만큼의 많은 전과를 세웠다.
전후까지 살아남은 우시오는 스크랩처리, 히비키는 소련에 배상함으로 넘겨졌다.(이후 베르늬→데카브리스트로 개칭)
2. 제원
후부키급 구축함 吹雪型駆逐艦 |
||
함 종 | 구축함 | |
이전함급 | 무츠키급 구축함 | |
다음함급 | 하츠하루급 구축함 | |
배 치 | 24 척 (손실 22척, 퇴역 2척) | |
건조기간 | 1926 년 - 1933 년 | |
운용기간 | 1928 년 - 1945 년[5] | |
배수량 | ||
기 준 | 1, 680 t[6] | |
만 재 | 2, 260 t[7] | |
크 기 | ||
전 장 |
갑 판 LOA |
118.5 m |
흘수선 LWL |
115.3 m | |
수선간장 LBP |
112 m | |
전 폭 | 갑 판 | 10.36 m |
흘수선 | 10.36 m | |
벌지 | (없 음) | |
흘 수 | 기준 3.2 m , 만재 3.5 m | |
건 현[8] | 2.75 m | |
동 력 | ||
방 식 | 함본식 터빈 2기 | |
기 관 | 특1형 후부키급, 2형 아야나미급 | 함본식 보일러 4기 |
특 3형 아카츠키급 | 함본식 보일러 3기 | |
추 진 | 프로펠러 (2 기) | |
연 료 | 중유 475 ~ 500 t | |
기관부 출력 | 50, 000 shp | |
최대속력 | 36.5 노트 | |
항속거리 | 5, 000 해리 (14 노트 순항 시) | |
레이더 및 광학장비 | ||
통 합 | (없 음) | |
대함레이더 | 1944년 이전 | (없 음) |
1944년 이후 | 2호 2형 전파탐신의 | |
대공레이더 | 1944년 이전 | (없 음) |
1944년 이후 | 1호 3형 전파탐신의 | |
탐조등 | 96식 90 cm 탐조등 (1 기) ? | |
무 장 | ||
주함포 | 기준 | 3년식 127mm 50구경장 함포 A/B형 (2연장 3기 총 6문) |
최종 사양[A] | 연장 1기 제거 | |
대공포 | 기준 | 7.7 mm 단장기총 (2 정)[10] |
최종 사양[A] | 주포탑 1기 제거[12] → 96식 25 mm 고각기총 (3연장, 연장, 단장), 13 mm 단장기총 등 으로 대체 | |
어 뢰 | 개장 전 | 610 mm 12년식 어뢰발사관 (3연장 3 기, 8년식 어뢰 18 발) |
1943년 이후 | 93식 산소어뢰 탑재 | |
폭 뢰 | 81식 폭뢰 투사기 2기, (91식 1형 폭뢰 18 발 ), 2호 대소해구[13] | |
기타사항 | ||
승조원 | 219 명 |
3. 파생형
위에도 서술했듯 후부키급의 서류상의 정식 명칭은 '특형 구축함'이다. 보통 전에 사용하던 함급을 개량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면 새로운 함급 이름을 붙이는데, 후부키급은 특이하게도 거듭된 개선을 거치면서도 원래의 함급명이 변하지 않고 계속 '특형 구축함'이라는 정식명칭을 유지했고, 대신 개선사항에 따라 특I형, 특II형, 특III형으로 나누어 구분했다. 현재는 그냥 특형 구축함 전부를 다 통틀어 후부키급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각 개량형의 첫번째 함선의 이름을 따서 특I형을 후부키급, 특II형을 아야나미급, 특III형을 아카츠키급이라 부르기도 한다.3.1. 특I형(후부키급)(フブキ)
특1형 후부키급 식별 포인트 | ||
1928 ~ 1929년 사이 건조된 10척이 해당된다. | ||
이후 함급과 구분되는 A형 주포탑[14]을 사용한다. # | ||
함교 조타실에 거측기가 있다. | ||
사격통제실이 노출되어있다. | ||
특2형 선체를 가진 우라나미를 제외하면 보일러 흡기구가 고전적인 형태이다. # |
특1형 후부키급 동형함표 | ||
|
||
제35호 구축함/후부키(吹雪, 눈보라) | ||
1926년 6월 19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2년 10월 11일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포격으로 격침. | 1942년 11월 15일 제적. | |
|
||
제36호 구축함/시라유키(白雪, 흰 눈) | ||
1927년 3월 19일 요코하마 도크에서 건조. | ||
1943년 3월 3일 비스마르크해 해전 중 물수제비 폭격에 맞아 격침. | 1943년 4월 1일 제적. | |
|
||
제37호 구축함/하츠유키(初雪, 첫 눈) | ||
1927년 4월 12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3년 7월 17일 부인에서 미 해군의 공습으로 격침. | 1943년 10월 15일 제적. | |
|
||
제38호 구축함/미유키(深雪 깊이 쌓인 눈, 눈의 미칭) | ||
1927년 4월 30일 우라가 도크 컴퍼니에서 건조. | ||
1934년 6월 29일 제주도 남쪽 해안에서 동형함 이나즈마와 충돌 후 침몰. | 1934년 8월 15일 제적. | |
|
||
제39호 구축함/무라쿠모(叢雲, 떼구름) | ||
1927년 4월 25일 후지나가타 공창에서 건조. | ||
1942년 10월 12일 과달카날 전역에서 미 해군의 공습으로 격침. | 1942년 11월 15일 제적. | |
|
||
제40호 구축함/시노노메(東雲, 먼 동) | ||
1926년 8월 12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1년 12월 17일 미리 근해에서 네덜란드 해군의 공습으로 격침. | 1942년 1월 15일 제적. | |
|
||
제41호 구축함/우스구모(薄雲, 엷게 깔린 구름) | ||
1926년 10월 21일 이시카와지마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7월 7일 미 해군 발라오급 잠수함 USS 스케이트(Skate, 홍어)에게 뇌격당해 대파, 해방함 에토로후에게 뇌격 처분당함. | 1944년 3월 31일 제적. | |
|
||
제42호 구축함/시라쿠모(白雲, 흰 구름) | ||
1926년 10월 27일 후지나가타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3월 16일 USS Tautog에게 뇌격당해 격침. | 1944년 3월 31일 제적. | |
|
||
제43호 구축함/이소나미(磯波, 물가에 밀려오는 물결) | ||
1926년 10월 18일 우라가 도크 컴퍼니에서 건조. | ||
1943년 4월 9일 USS Tautog에게 뇌격당해 격침. | 1943년 8월 1일 제적. | |
|
||
제44호 구축함/우라나미(浦波, 해변에 치는 파도) | ||
1927년 4월 28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15]. | ||
1944년 10월 26일 파나이 서쪽에서 공습으로 격침. | 1944년 12월 10일 제적. |
3.2. 특II형(아야나미급)(アヤナミ)[16]
특2형 아야나미급 식별 포인트 | ||
1930 ~ 1931년 사이 건조된 10척이 해당된다. | ||
부앙각[17]과 포좌[18]가 개선되어 대공 전투가 가능한 B형 포탑[19]을 탑재했다. | ||
함교가 확장되고 사격 통제실과 거측기실에 더 진보된 방위 나침반을 설치했다. | ||
보일러실의 흡기구가 뒤집은 그릇 형태로 변경되어 연돌을 둘러싸게 된다. |
특2형 아야나미급 동형함표 | ||
|
||
제45호 구축함/아야나미(綾波, 비단 물결) | ||
1928년 1월 20일 후지나가타 공창에서 건조. | ||
1942년 11월 15일 제 3차 솔로몬 해전 중 USS 워싱턴에게 피격 후 대파, 우라나미에게 뇌격 처분당함. | 1942년 12월 15일 제적. | |
|
||
[20]시키나미(敷波, 연속해서 밀려오는 물결) | ||
1928년 7월 6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9월 12일 솔로몬 전역에서 USS Growler에게 뇌격당해 격침. | 1944년 10월 10일 제적. | |
|
||
아사기리(朝霧, 아침 안개) | ||
1928년 12월 12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2년 8월 28일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 미 해군의 공습으로 격침. | 1942년 10월 1일 제적. | |
|
||
유우기리(夕霧, 저녁 안개) | ||
1929년 4월 1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3년 11월 26일 세인트 조지 곶 해전에서 미 해군 구축함들에 의해 격침. | 1943년 12월 12일 제적. | |
|
||
아마기리(天霧, 안개로 흐린 하늘) | ||
1928년 11월 28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4월 23일 수송선 엄호 도중 기뢰 접촉으로 인해 격침. | 1944년 6월 10일 제적. |
|
||
사기리(狭霧, 안개) | ||
1929년 3월 28일 우라가 도크 컴퍼니에서 건조. | ||
1941년 12월 24일 네덜란드 잠수함 HNLMSK K XVL에게 뇌격당해 격침. | 1942년 1월 15일 제적. | |
|
||
오보로(朧, 흐릿함) | ||
1929년 11월 29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2년 10월 17일 키스카 섬 복동 근해에서 미 육군항공대 B-26의 폭격에 직격 후 유폭으로 격침. | 1942년 11월 15일 제적. | |
|
||
아케보노(曙, 여명) | ||
1929년 11월 25일 후지나가타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11월 14일 마닐라 근해에서 공습에 이어 유구모급 아키시모의 폭발 여파로 파공, 격침. | 1945년 1월 10일 제적. | |
|
||
사자나미(漣, 잔물결) | ||
1929년 11월 25일 후지나가타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11월 14일 마닐라 근해에서 공습에 이어 유구모급 아키시모의 폭발 여파로 파공, 격침. | 1945년 1월 10일 제적. | |
|
||
아케보노(曙, 여명) | ||
1930년 3월 21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1월 14일 트루크 섬을 향한 수송 작전 중 USS Albacore의 뇌격으로 격침. | 1944년 3월 10일 제적. | |
|
||
우시오(潮, 조수, 바닷물, 해류) | ||
1929년 12월 24일 우라가 도크 컴퍼니에서 건조. | ||
전후 생존함.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패전을 맞이했다. 1948년 8월 4일 스크랩. | 1945년 9월 15일 제적. |
3.3. 특III형(아카츠키급)[21](アカッキ)
특3형 아카츠키급 식별 포인트 | ||
1931 ~ 1933년 사이 건조된 4척이 해당된다. | ||
신형 고압 보일러를 탑재하고 여타 설비도 개량하여 배수량, 부피를 절감하면서도 동 출력을 냈다. | ||
파편 방지 어뢰 발사관을 탑재해 파편, 악천후, 기총소사등에 더 안전해졌다.[22] | ||
보일러의 갯수가 줄어들어 1번 연돌이 얇은 형태로 바뀌었다. | ||
함교를 더 높여 발전된 사통을 탑재시켰고, 따라서 함교의 형태가 다르다. |
특3형 아카츠키급 동형함표 | ||
|
||
아카츠키(暁, 새벽) | ||
1930년 2월 17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2년 11월 13일 사보 섬 인근의 과달카날 해전에서 함포에 집중사격당하여 격침. | 1942년 12월 15일 제적. | |
|
||
히비키(響, 울림) | ||
1930년 2월 21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전후생존함. 1945년 12월 1일 복원함[23]으로 재지정 후 1947년 4월 5일 소련에 양도. | 1945년 10월 5일 제적. | |
|
||
이카즈치(雷, 천둥) | ||
1930년 3월 7일 우라가 도크 컴퍼니에서 건조. | ||
1944년 4월 13일 괌 남남동 부근에서 USS Harder에게 뇌격당해 격침. | 1944년 6월 10일 제적. | |
|
||
이나즈마(電, 번개) | ||
1928년 7월 6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서 건조. | ||
1944년 9월 12일 솔로몬 전역에서 USS Growler에게 뇌격당해 격침. | 1944년 10월 10일 제적. |
4. 미디어에서의 등장
- 네이비필드에서 특수어뢰정 및 잠수함 트리로 가는 첫번째 함선으로 출현한다.
-
함대 컬렉션
1번함 후부키가 함대 컬렉션 TVA의 주인공이며, 시작할 때 기본으로 주는 다섯 명의 칸무스 중 네 명(후부키, 무라쿠모, 사자나미, 이나즈마)을 특형 구축함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특형 구축함이 등장한다. 또한 후부키급 하나로 묶이지 않고 후부키급(특1급), 아야나미급(특2급), 아카츠키급(특3급)이렇게 나뉘어있다.
-
전함소녀
특1형의 후부키, 시라유키, 하츠유키, 미유키, 특2형의 아야나미, 시키나미, 특3형의 아카츠키, 히비키, 이카즈치, 이나즈마가 등장한다. 후부키는 스킬로 다른 특형 구축함들에게 버프를 주고 있어 일본 구축함대의 맏언니가 되었으며, 시라유키는 같은 함대의 특형 구축함들을 보호해주고, 아야나미는 야간 깡패가 되는 등 각 함선에 얽힌 전과를 토대로 각각 함선들의 개성을 살려 나가고 있다. 스핀오프작인 창청의 미라주에서는 가상의 함급인 특4형 구축함인 나츠키리가 등장한다.
- 월드 오브 워쉽에서 특1형이 스톡 함체로 등장한다. 알파버전에서는 일본 구축함으로 9티어에 위치해 있었는데, 더 후기에 나온 하츠하루급은 7티어, 카게로급은 8티어라는 이상한 상황이 벌어졌었다. 하츠하루급의 경우 런던 해군 군축조약 조건에 맞춰 후부키급을 경량화시킨 함급이라 후기형이라도 낮은 티어 배정을 받은 것을 납득할 수 있으며 이후 베타 버전으로 올라오면서 후부키급은 8티어, 카게로급은 9티어로 정정되었다. 이후 일본 구축함 분기 트리 신설로 후부키급과 아카츠키급이 분리되어 각각 6티어, 7티어로 재배치되었다.
- 워 썬더에서 일본 해상 트리의 2번째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인게임 네임태그는 후부키라고 보이지만 스펙시트에서 보여주는 풀네임을 보면 특2형이다.
-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에서 일본의 주력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 전함제국 강철의 함대
1성함으로 나온다. 그런데 얻은 유저가 단 한명도 없다.
- 스틸 오션에서 일본 3티어 구축함으로 나온다.
- Hearts of Iron IV에서 일본의 1922년형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다만 너무 1922년형은 좀 아닌지 미네카제급 구축함의 파생형으로 나온다. 스탯이 0/0/0/0인 미네카제급에 비해 2/2/2/4로 나름 쓸만해보이지만 1936년형인 아사시오급 구축함에 비해 약하다.... 심지어 시작 시 1936년형 함정은 초중전함 야마토급 전함과 아사시오급 구축함을 제외하면 바로 생산가능하다....
5. 둘러보기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6. 관련 문서
[1]
워싱턴 조약 체결 이전까지는 88함대 계획 등 대규모 건함 계획으로 인해 작명할 이름이 남지 않을 것을 우려해 '제XX호 구축함'의 형태로 작명법을 변경했으나 조약 체결로 인해 건조 계획이 대폭 줄어듦에 따라 이름 부족의 우려가 사라져 다시 기존의 작명법으로 회귀했으며, 이미 숫자 형태로 이름이 지어졌던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와카타케급 등도 예전 작명법에 따른 새 이름을 부여받았다.
[2]
구 일본 해군의 함정 명명법에 따르면 전함은 옛 일본의 번국명, 항공모함은 용이나 봉황, 학 같은 상서로운 생물, 순양전함이나 중순양함은 산 이름, 경순양함은 강 이름, 1등구축함은 기상현상 혹은 자연현상, 2등구축함은 식물 이름에서 따 왔다. 현재 일본
해상자위대도 이 전통을 큰 변경 없이 따르고 있기 때문에 옛 일본군 함명이 해상자위대
호위함과 겹치는 것이 많다. 반대로 말하자면 모든 전투함정을 - 심지어 2만톤이 넘는 헬기모함까지 - 호위함이라고 부르는 자위대에서 함정 이름을 보면 실제로 이게 어느 정도 급의 역할을 상정한 함인지 알 수 있다.
[3]
노천에 노출된 포는 기상이나 해상상황이 악화되면 포의 조작이 어려워지며, 피격시 파편에 의해 무력화되기 쉽다.
[4]
1934년
제주도 근해에서 동형함 이나즈마와 충돌 후 침몰했다. 지금도 침몰한 곳에 있다고.
[5]
일본 해군 기준
[6]
「駆逐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昭和十八年七月」 p. 41
[7]
「駆逐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昭和十八年七月」p. 2
[8]
흘수선에서 갑판 위 까지 높이
[A]
1943년 이후 일부 생존함
[10]
특1형 준공 기준
[A]
[12]
시라유키, 우라나미, 아마기리, 이나즈마 등이 해당 개조를 거친 것으로 추정.
[13]
소해장비
[14]
최대 40도까지 앙각 조절 가능, 각 포신 별도 조작 불가.
[15]
우라나미의 경우는 본래는 특II형으로 건조될 예정이었지만, 1927년 제네바 해군 군축회의의 경과를 보고 준공을 앞당기는 바람에 특II형에 탑재될 신형 포탑을 탑재하지 못하고 특II형의 함체에 특I형에서 쓰던 구형포탑을 그대로 탑재하여 건조되었다. 따라서 특I형이긴 하지만 특II형의 특징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특I형改라고 따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16]
후부키급으로 구분할 경우엔 후부키급 11~20번함에 해당한다.
[17]
최대 75도
[18]
각 포신을 별도로 조작 가능
[19]
장갑 최대 3.2 mm, 총 중량 31 톤
[20]
제XX호 구축함 방식의 명명은 아야나미가 마지막이다.
[21]
아야나미급과 마찬가지로 후부키급 21~24번함이 되는 경우도 있다.
[22]
Fitzsimons, Illustrated Encyclopedia of 20th Century Weapons and Warfare p.1040.
[23]
국외의 패잔병 귀국에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