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3:47:32

솔다티급 구축함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왕립 해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고속 어뢰정 <colbgcolor=#fefefe,#393b42> M,A,S 어뢰정
구축함 호위 어뢰정 스피카급, 오르사급, 아리에테급, 치클로네급
구축함 알레산드로 포에리오급, 카를로 밀레발로급, 팔레스트로급, 제네랄리급, 쿠르타토네급, 레오네급, 퀸티노 셀라급, 나자리오 사우로급, 투르비네급, 나비가토리급, 다르도급(프레치아급), 폴고레급, 마에스트랄레급, 알프레도 오리아니급, 솔다티급(*), 코만단티 메달리에 도로급(*)
잠수함 발릴라급, 아르고나우타급, 아르키메데급, 시레나급, 페를라급, 아두아급, 브린급, 아르고급, 아차이오급, 마르첼로급, 로몰로급(*)
장갑순양함 산 조르지오급
방호순양함 니노 빅시오급(**)
경순양함 콘도티에리급, 코스탄조 치아노급, 카피타니 로마니급(*), 타란토급, 에트나급E
중순양함 프로젝트 1923년형, 트렌토급, 차라급, 볼차노, 프로젝트 안살도E, 프로젝트 안살도 초중순양함E
항공모함 전함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 재건조 계획, 전함 임페로 재건조 계획, 아퀼라(*), 스파르비에로(*)
수상기모함 주세페 미랄리아
순양전함 1928년형(**), 1930년형(**), 1933년형(**)
전함 쿠니베르티 17,000톤 노급(**), 단테 알리기에리(**), 프로젝트 페라티(**), 콘테 디 카보우르급, 카이오 두일리오급,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급(**), 리토리오급(*), 프로젝트 UP.41형E(*)
노획함 순양함: 카타로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 FR11파일:프랑스 국기.svg , FR12파일:프랑스 국기.svg
구축함: 프레무다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 시베니코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 류비야나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 FR21파일:프랑스 국기.svg , FR22파일:프랑스 국기.svg , FR23파일:프랑스 국기.svg , FR24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1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2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3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4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5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6파일:프랑스 국기.svg , FR37파일:프랑스 국기.svg
잠수함: 프란체스코 리스몬도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 안토니오 바자몬티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 FR118파일:프랑스 국기.svg
기타 2차대전기 이탈리아 포획 함선
포함 에리트레아 포함, 디아나 포함
(*) 표기: 해당 함급의 일부 또는 전부가 건조 중단된 함급
(**) 표기: 1차 세계 대전 전후 2차 세계 대전 이전 해체 및 계획 취소되었지만 편의상 틀에 넣은 함급
윗첨차E 표기: 수출용 함급, 취소선 표기: 계획만 및 취소된 함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함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300px-Artigliere_AWM-305865.jpg 파일:Soldati-class_Destroyer_Granatiere,_1941.jpg
la cacciatorpediniere classe Soldati

1. 제원2. 개요3. 개발 및 활동4. 특징5. 동형함 목록
5.1. 각 함의 이니셜
6. 매체에서의 등장

1. 제원

파일:TLOEbWr.gif
솔다티급 구축함
선행함 오리아니급 구축함
후계함 임페투오소급 구축함[1]
배수량 1,650톤(기준)
2,590톤(만재)[2]
전장 106.7m
전폭 10.2m
흘수선 4.4m
동력기관 2축 벨루초(Belluzzo) 또는 파슨스 터빈 2기
야로우(Yallow) 보일러 3기
출력 48,000 shp (35,800 kW)
속도 38노트
항속거리 20노트로 2,200 해리
승무원 206명
주포 안살도 120/50 Mod. 36, 37, 40 연장포탑 2기[3] (총 4~5문)
대공포 브레다 20/65 연장 기관포 4~6기 (총 8~12정)[4]
어뢰 533mm 3연장 어뢰관 2기 (총 6문)

2. 개요

이탈리아 왕립 해군의 구축함 솔다티급 구축함(la cacciatorpediniere classe Soldati).[5]

3. 개발 및 활동

이전부터 꾸준히 구축함을 건조하고 개량해온 이탈리아는 1936년, 신형 구축함 12척을 만들려고 했다. 이탈리아 해군은 기존 함급의 설계를 따라가 오리아니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신형을 설계하게 되었고[6] 1938년, 솔다티급을 건조하게 되었다. 솔다티급은 두개의 하부 함급으로 나누는데 1형과 2형이 있다. 1형은 120/50 Mod. 36,37 연장포 2기와 120/15 단장포 1기에 533mm 3연장 어뢰관 2기로 무장하고 있다.[7] 대공무장은 13.2mm 호치키스 기관총이 있었다. 2형은 1938년에 건조한 1형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중 카라비니에레(Carabiniere)의 설계를 따라간다. 7척을 건조 하려고 했는데 이탈리아의 항복으로 총 5척만 완공되었다. 2형은 1형은 건조하다가 무장을 처음부터 다르게 한 카라비니에레를 기반으로 해서 120/50 Mod. 40[8] 연장포 2기에 단장포 하나에[9] 어뢰관은 그대로 533mm 3연장 2기이다. 대공무장은 강화해서 브레다 20/65 기관포로 교체했으며 EC3/ter 'Gufo' 레이더를 장착했다.

다만 전쟁이 터진뒤 솔다티급은 무장이 자주 바뀌는데 일관성이 없어서 좀 확인하기 힘들다. 일단 1941년부터 아스카리(Ascari), 카미치아 네라(Camicia Nera), 제니에레(Geniere), 란치에레(Lanciere)는 120/15 단장포를 120/50 단장포로 교체해 화력을 증가시켰다. 한편 1943년, 카라비니에레(Carabiniere), 그라나티에레(Granatiere), 푸실리에레(Fusiliere), 레지오나리오(Legionario), 벨리테(Velite)는 어뢰관 하나를 제거하고 브레다 37/54 기관포 2정을 장착했으며 이중 푸실리에레와 벨리테는 120/15 단장포 자리에도 37/54 기관포를 장착하기도 했다.

솔다티급은대전 중 총17척이 건조되었으며 그 중 10척이 침몰했다. 2척은 미완성이었으며 살아남은 7척중 3척은 프랑스에게 배상으로 넘어갔고 2척은 소련에게, 나머지 2척은 신생 이탈리아 공화국이 운용했다. 이 중 '푸실리에레(Fuciliere)'와 '카미치아 네라(Camicia Nera)'는 종전 이후 소련에 배상함으로 넘겨져 룍키(Лёгкий)라프키(Ловкий)로 개명된 다음 소련 해군에 의해 운용되었다.

4. 특징

이탈리아 구축함의 집대성이라고 보면 된다. 특히 이탈리아의 구축함 건조의 노하우를 볼 수 있는데, 38노트라는 빠른 속력과 적절한 120mm 연장포탑, 현측 좌우로 다 쏠 수 있는 533mm 어뢰관 6문이라는 조합으로 크게 모난데없이 하자없는 성능을 보여줬다. 이탈리아 구축함의 특징인 대형 함교도 견재하며 다르도급 구축함시절 무게중심 문제같은 것도 없다. 다만 밀폐식 포탑과 양용포 사용까지 도달하지 못한 점은 아쉬운 점이긴 하다. 카피타니 로마니급 경순양함을 보면 알겠지만 스스로도 밀폐식 포탑과 양용포의 장점을 알고 있었지만, 양용포의 개발이 늦어졌고 특히나 1943년에 항복으로 더이상 개량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던 점이 크다.[10] 단점이 있다면 역시 항속거리가 짧다는 점. 이건 이탈리아가 지중해에서 활동 할 것을 예상하고 만든 수치라 자국에서 운용하는데 큰 지장은 없었겠지만 2,000해리는 역시 좀 아슬아슬하곤 했다고.

5. 동형함 목록

솔다티(Soldati)는 병사를 뜻하며 솔다티급의 모든 함명은 다양한 병종에서 따왔다. 종종 카미치아 네라급이라고도 부른다.
함명 건조 취역 경력
알피노(Alpino)[11] 1937년 5월 2일 1939년 4월 20일 1943년 4월 19일, 미군 공습으로 라 스페치아(La Spezia)항에서 격침
아르틸리에레(Artigliere)[12] 1937년 2월 15일 1938년 11월 14일 1940년 10월 30일 격침[13]
아스카리(Ascari)[14] 1937년 12월 11일 1939년 5월 6일 1943년 3월 24일, 기뢰에 접촉해 격침[15]
아비에레(Aviere)[16] 1937년 1월 16일 1937년 8월 31일 1942년 12월 17일, 영국 S급 잠수함 HMS 스플렌디드(Splendid)의 뇌격에 격침.[17]
베르살리에레(Bersagliere)[18] 1937년 4월 21일 1939년 4월 1일 1943년 1월 7일, 시칠리아 팔레르모 항에서 공습으로 격침
카미치아 네라(Camicia Nera)[19][20] 1937년 1월 21일 1938년 6월 30일 종전까지 살아남았다가 소련에 배상함으로 넘어감.[21]
카라비니에레(Carabiniere)[22] 1937년 2월 1일 1938년 7월 23일 전후까지 살아남아 1965년 퇴역
코라치에레(Corazziere)[23] 1937년 10월 7일 1939년 3월 4일 1943년 9월 9일 제노바 항에서 자침.[24]
푸실리에레(Fuciliere)[25] 1937년 5월 2일 1939년 1월 10일 전후까지 살아남아 소련에 배상으로 넘어감.[26]
제니에레(Geniere)[27] 1937년 8월 26일 1938년 12월 14일 1943년 3월 1일, 미군의 팔레르모 항 공습으로 격침[28]
그라나티에레(Granatiere)[29] 1937년 4월 5일 1939년 2월 1일 전후까지 살아남아 1958년 7월 1일 퇴역
란시에레(Lanciere)[30] 1937년 2월 1일 1939년 3월 25일 1942년 3월 23일 폭풍으로 침몰[31]
봄바르디에레(Bombardiere)[32][33] 1940년 10월 7일 1942년 7월 15일 1943년 1월 17일, 영국 U급 잠수함 HMS 유나이티드(United)의 뇌격으로 격침
카리스타(Carrista)[34] 1941년 9월 11일 건조 중단 독일이 접수해 TA34라고 이름을 붙였지만 결국 미완성.
코르사로(Corsaro)[35] 1941년 1월 23일 1942년 5월 15일 1943년 1월 9일, 기뢰에 접촉해 침몰
레지오나리오(Legionario)[36] 1940년 10월 21일 1942년 3월 1일 1943년 연합군으로 전향. 1948년 8월 15일 프랑스에 인도됨.[37]
미트랄리에레(Mitragliere)[38] 1940년 10월 7일 1942년 2월 1일 1944년 연합군으로 전향. 1948년 8월 8일 프랑스에 인도.[39]
스쿠아드리스타(Squadrista)[40][41] 1941년 9월 4일 건조 중단 1944년 9월 4일 연합군 공습으로 격침.[42]
벨리테(Velite)[43] 1941년 4월 19일 1942년 8월 31일 전후까지 살아남아 1948년 7월 24일 프랑스에 인도.[44]

5.1. 각 함의 이니셜

/revision/latest?cb=20160806215049
위 사진의 이니셜을 보면 그라나티에레(GN)이다.
이탈리아 왕립 해군은 소형함은 선수에 이니셜을 적어서 구별했다.
함명 이니셜
알피노 AP
아르틸리에레 AR
아스카리 AI
아비에레 AV
베르살리에레 BG
카미치아 네라 CN(AR)[45]
카라비니에레 CB
코라치에레 CZ(CR)
푸실리에레 FC
제니에레 GE
그라나티에레 GN
란시에레 LN
봄바르디에레 BR
카리스타 CR
코르사로 CA
레지오나리오 LG
미트랄리에레 MT
스쿠아드리스타 SQ
벨리테 VL

6. 매체에서의 등장


워 썬더 개발일지에 등장했다. 그리고 실제로 인게임상에 코라치에레와 제니아르가 추가되었다. 코라치에레는 정규 트리이며 제니아르는 프리미엄 함선이다. 그리고 둘 다 격침된 배들이다.

전함소녀에서 카미챠 네라, 아비에레가 등장한다.

벽람항로에서 사르데냐(또는 사르디니아) 제국 소속으로 카라비니에레가 등장한다.

[1] 계획상으로는 코만단티 메달리에 도로급 구축함 [2] 이탈리아 문서에서는 기준 1,850톤, 만재 2,550톤 [3] 추가 단장포탑 1개 [4] 처음 설계할 때는 13.2mm 호치키스 기관총 [5] 라 카치아토르페디니에레 클라세 솔다티, 이탈리아어로 카치아토르페디니에레(cacciatorpediniere)는 과거 어뢰정 구축함( TBD)때 생간 단어를 그대로 쓴 표현이다. 직역하면 어뢰정 사냥꾼 [6] 이탈리아는 마에스트랄레급 구축함을 건조한 뒤 마에스트랄레급의 설계가 가장 좋다고 봐서 이탈리아 구축함설계의 기반이 된다. [7] 왜 하나만 구경장이 짧은 단장포이냐면 이 포는 조명탄을 쏘기 위해서 장착했기 때문이다. [8] 단, 카라비니에레는 120/50 Mod. 36을 장착하고 있다. 왜냐하면 1형이기 때문. [9] 120/15가 아니라 120/50 [10] 다만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 부포탑으로 120mm 연장포탑을 개발을 한 적이 있는데 구축함에 달지 않는 이유는 아마도 호환성이 아닌가 싶다. [11] 산악병 [12] 포병 [13] 요크급 중순양함 HMS 요크(York)에게 케이프 파세로(Cape Passero) 해전에서 피격된 뒤 피해를 감당하지 못함 [14] 유럽인들이 현지 원주민을 고용 및 징집해서 무장한 병사. 예를 들면 탕가 전투때 독일군에 대부분을 차지했던 흑인 원주민병사들이 있다. [15] 이때 북아프리카 전역이 끝날 때 무렵이라 튀니지에서 탈출하는 독일, 이탈리아 병사들이 타고 있었다. [16] (포괄적인 의미로)항공 조종사 [17] HMS 스플렌디드는 1943년 4월 21일, 독일 구축함(그리스 해군 구축함을 나포) 헤르메스에게 폭뢰공격을 당해 격침된다. [18]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경보병 연대 베르살리에리(Bersaglieri). 모자에 검은 수탉 깃털을 꼽고 다녀서 검은 수탉 부대라고도 함. [19] 검은 셔츠단, 이름탓인지 제일 빨리 건조 된 것도, 취역한것도 아닌데 네임쉽 취급하기도 한다. 카미치아 네라급 구축함으로 적어도 리다이렉트 됨. [20] 1943년 7월 30일에 침몰한 아르틸리에레의 이름을 계승함 [21] 이때 개명돼서 라프키(Ловкий)로 불리다가 1960년 퇴역 [22] 카라비니에리, 이탈리아 헌병군. [23] 코라치에리. 원래 의미는 퀴레시어 기병이지만 왕실 근위대 역할을 맡았고 현재도 그 역할을 하고 있음.(물론 지금은 수상 호위를 한다.) [24] 하지만 독일군이 다시 인양했지만 1944년 9월 4일 연합군의 공습으로 격침 [25] 소총(Fucile)수 [26] 룍키(Лёгкий)로 개명되어 1960년에 퇴역함 [27] 정비병. 영어로 쓰면 엔지니어(Engineer) [28] 근데 드라이 도크안에 있어서 침몰이라 보기는 좀 애매하다.그 이전에 물위에 안 떠있는 배를 무력화시키면 뭐라고 불러야 할까? [29] 척탄병 [30] 랜서, 창기병 [31] 이때 이탈리아 함대는 마침 2차 시르테 해전에서 영국군을 이기고 돌아가는 길이었다(...) 이 폭풍으로 란시에레말고 마에스트랄레급 구축함 시로코(Scirocco)도 침몰했다. [32] 폭격수. [33] 여기부터 솔다티급 2형이다. [34] 전차병 [35] 콜세어, 바르바리 해적, 사략선.병종, 아니 그이전에 군인인가? [36] 레기온, 군단병 [37] 뒤샤포(Duchaffault)로 개명. 1954년 6월 12일 퇴역 [38] 기관총(Mitragliatrice) 사수 [39] 쥐리앵 드 라 그라비에르(Jurien de la Gravière)로 개명. 1954년 6월 12일 퇴역 [40] 파시스트 당 조직원 [41] 1943년 코르사로로 개명 [42] 1943년 9월 제노바에서 독일이 나포해 TA33이로 명명함. 라 스페치아 항으로 이동했지만 공습으로 격침 [43] 투창병 [44] 취역한 지 20일만인 1942년 9월 21일 영국 S급 잠수함 HMS 스플렌디드에 뇌격당했지만 어찌어찌 겨우 항구로 돌아가 수리하게 됨. 1943년 수리가 끝나고 연합군에 전향. 이후 프랑스에 인도되어 뒤페르(Duperré)로 개명되어 1961년 퇴역함. [45] 개명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