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
,
사당
魂 殿
1. 개요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가 죽은 뒤 신주를 모시는 전각으로, 왕과 왕비를 위해 궁궐 내에 마련되는 사당이다. 3년상 동안에는 이 곳이 종묘 대신이며, 3년상이 끝나면 종묘로 신어(신주와 어진)를 옮기고 혼전은 철거된다.[1][2]혼전과 빈소는 다르다. 빈소는 승하하고 발인하는 5개월 동안 조문을 받는 역할을 하고, 재궁[3]을 왕릉에 묻고 나면 신주는 우주궤에 넣어 재궁을 싣고 왔던 상여에 올리고 궁궐로 돌아와서 미리 지정되어 있던 혼전에 봉안하는 반우(返虞)라는 의식이 행해진다. 이 때부터는 혼전에서 제례를 올리다가 3년상이 끝나면 종묘로 옮겨 제례를 올린다.
2. 역사
고려시대에는 국상이 나면 선덕전(宣德殿), 연영전(延英殿) 등 궁궐 내의 전각에 빈소를 마련하여 혼당(魂堂)으로 삼았다.조선시대 최초의 혼전은 1396년에 설치된 신덕왕후의 혼전인데, 이 때는 따로 전호를 내리지 않고 그저 실록에는 "현비가 거처하던 인안전(仁安殿)에 혼전을 설치한다."라는 기록만 존재한다.
태조는 1398년 경복궁 내에 신의왕후의 혼전인 인소전(仁昭殿)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1408년 태조가 사망하자 태조의 신위도 인소전에 함께 봉안되었고, 이 때 전각 이름이 문소전이 되었다.
이어서 정종과 정안왕후의 혼전인 인덕전(仁德殿)이 정종이 살던 인덕궁 내에, 태종과 원경왕후의 혼전인 광효전(廣孝殿)이 생겼는데, 당시에는 3년상이 끝난 뒤에도 신어가 계속해서 남아 종묘와는 별도로 운영되며 궁궐 내의 종묘 역할을 하였다.
세종 대에 들어가서야 "한 세대마다 이렇게 혼전이 생기면 나중에 가서는 궁궐이 혼전으로 꽉 차겠다."는 의견이 나와서 1432년, 광효전을 문소전으로 합하고 경복궁에 봉성전(奉誠殿)을 건립하여 원묘로서 관리하였다.[4] 봉성전은 건립 한 달 후에 문소전(文昭殿)으로 이름을 바꾸고 원묘제를 이어가다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 내의 문소전이 불타 중단된다.
세종 대에 원묘제가 생긴 이후 혼전은 원묘제와는 별개로 운영되었는데, 문소전과 광효전처럼 3년상이 지난 후에도 놔두지 않고 3년상을 다 치르면 철거되어 종묘에 봉안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3. 상세
궁궐 내 전각 중 한 곳을 임의로 혼전으로 지정하여 사용하는데, 양란 이후에는 주로 정식 편전 건물을 사용했다. 이 때문에 건물중에는 사실상 편전이 아닌 혼전으로 사용된 기간이 많은 경우도 있다. 전호(殿號)를 부여하고 전각 이름은 새로 부여된 전호로 바뀐다. 예를 들어 덕수궁 함녕전의 경우는 고종이 승하하자 함녕전에 고종의 혼전을 설치하고 고종의 전호를 효덕전(孝德殿)으로 정하는데, 이 때 함녕전의 이름이 3년동안 효덕전으로 바뀌어 있다가 고종의 신주와 어진이 종묘로 옮겨 봉안되자 다시 함녕전의 이름을 되찾았다.왕후의 경우에는 부군인 왕보다 늦게 승하하게 되면 왕과 같이 3년상을 치르지만 부군인 왕보다 일찍 승하하면 기년상(1년상)으로 치른다. 11개월에 연제(練祭)를 행하고 13개월에 상제(祥祭)를 행하며 15개월에 담제(禫祭)를 지냈다.
왕후의 신주는 왕의 신주와 함께 종묘에 봉안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담제가 끝난 후에도 왕후의 신주는 혼전에 남아서 왕이 승하하여 담제를 치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왕의 신주와 함께 종묘에 봉안된다. 그 때까지 왕후의 혼전은 계속 궁궐에 남아 있다가 왕의 혼전이 철거될 때 같이 철거된다. 반면, 왕이 왕후보다 일찍 승하하면, 왕의 신주는 정상적으로 3년상을 치르고 담제를 치르자마자 혼자 종묘에 봉안되고, 후에 대비가 된 왕후가 죽어 3년상까지 마치면 그 때 가서 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있는 왕의 신주 옆에 봉안한다.
4. 전호(殿號)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시호와 묘호, 전호를 올리는데, 모두 승하한 인물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가끔 묘호나 시호 대신 전호를 써서 승하하신 왕이나 왕비를 가리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명성황후에 대한 회고록을 쓴 한 궁녀는 명성황후를 가리키며 "경효전(景孝殿)께서는..."이라고 적기도 했다.특히 시호와 묘호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호를 가장 먼저 올리기 때문에 시호와 묘호가 정해지기 전의 대행왕이나 대행왕비는 전호(殿號)로 통칭했다.
5. 기타
단종과 정순왕후, 폐비 윤씨,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 등은 사망 당시 왕과 왕비가 아닌 폐서인의 신분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따로 전호가 없다.6. 목록
태조~성종 시기전호 | 인물 | 존속기간 | 장소 |
문소전 (文昭殿) |
태조 신의왕후 |
1398년 ~ 1592년 |
경복궁 → 개성 광명사 → 창덕궁 인소전 → 경복궁 문소전 |
?[5] | 신덕왕후 |
1396년 ~ 1411년 |
경복궁 인안전 |
인덕전 (仁德殿) |
정종 정안왕후 |
1412년 ~ 1421년 |
인덕궁 인덕전 |
광효전 (廣孝殿) |
태종 원경왕후 |
1420년 ~ 1424년 |
창덕궁 광효전 |
휘덕전 (輝德殿) |
세종 소헌왕후 |
1446년 ~ 1452년 |
창덕궁 보평청 |
경희전 (景禧殿) |
문종 현덕왕후 |
1441년 ~ 1452년 |
장의동 본궁 → 경복궁 자선당 |
영창전 (永昌殿) |
세조 |
1468년 ~ 1470년 |
경복궁 자선당[6] |
경안전 (慶安殿) |
예종 |
1469년 ~ 1472년 |
경복궁 동궁 |
소경전 (昭敬殿) |
공혜왕후 |
1474년 ~ 1497년 |
경복궁[7] |
태경전 (泰慶殿) |
정희왕후 |
1483년 ~ 1485년 |
경복궁 자선당 |
영사전 (永思殿) |
성종 |
1494년 ~ 1496년 |
경복궁 자선당 |
영소전 (永昭殿) |
안순왕후 |
1499년 ~ 1501년 |
경복궁 자선당 |
영경전 (永慶殿) |
장경왕후 |
1515년 ~ 1545년 |
경복궁[8] |
효경전 (孝敬殿) |
정현왕후 |
1530년 ~ 1532년 |
창경궁 문정전 |
경사전 (景思殿) |
중종 |
1545년 ~ 1547년 |
창덕궁 선정전 → 창경궁 문정전 |
영모전 (永慕殿) |
인종 |
1545년 ~ 1547년 |
창덕궁 선정전 |
문덕전 (文德殿) |
문정왕후 |
1565년 ~ 1567년 |
창경궁 |
문사전 (文思殿) |
명종 |
1567년 ~ 1569년 |
미상 |
경모전 (敬慕殿) |
인순왕후 |
1575년 ~ 1580년 |
창경궁 문정전 |
효모전 (孝慕殿) |
인성왕후 |
1578년 ~ 1580년 |
미상 |
효경전 (孝敬殿) |
의인왕후 |
1600년 ~ 1610년 |
덕수궁 |
영모전 (永慕殿) |
선조 |
1608년 ~ 1610년 |
덕수궁 |
효사전 (孝思殿) |
인목왕후 |
1632년 ~ 1634년 |
경희궁 |
숙녕전 (肅寧殿) |
인렬왕후 |
1635년 ~ 1651년 |
창덕궁 |
영사전 (永思殿) |
인조 |
1649년 ~ 1651년 |
창경궁 문정전 |
경모전 (敬慕殿) |
효종 |
1659년 ~ 1661년 |
창경궁 문정전 |
경사전 (敬思殿) |
인선왕후 |
1674년 ~ 1676년 |
창경궁 문정전 |
효경전 (孝敬殿) |
현종 |
1674년 ~ 1676년 |
창경궁 환경전 |
영소전 (永昭殿) |
인경왕후 |
1680년 ~ 1722년 |
경희궁 계상당 |
영모전 (永慕殿) |
명성왕후 |
1683년 ~ 1685년 |
창경궁 문정전 |
효사전 (孝思殿) |
장렬왕후 |
1688년 ~ 1690년 |
창경궁 문정전 |
영녕전 (永寧殿) |
인현왕후 |
1701년 ~ 1722년 |
창경궁 문정전 → 경희궁 계상당 |
효녕전 (孝寧殿) |
숙종 |
1720년 ~ 1722년 |
창경궁 문정전 |
경소전 (敬昭殿) |
경종 |
1724년 ~ 1726년 |
창경궁 문정전 |
경희전 (敬徽殿) |
선의왕후 |
1730년 ~ 1732년 |
창경궁 문정전 |
희녕전 (徽寧殿) |
정성왕후 |
1757년 ~ 1778년 |
창경궁 문정전 |
효소전 (孝昭殿) |
인원왕후 |
1757년 ~ 1759년 |
창경궁 문정전 |
효명전 (孝明殿) |
영조 |
1776년 ~ 1778년 |
경희궁 태령전 |
효원전 (孝元殿) |
정조 |
1800년 ~ 1802년 |
창덕궁 선정전 |
효안전 (孝安殿) |
정순왕후 |
1805년 ~ 1807년 |
창경궁 문정전 |
효희전 (孝禧殿) |
효의왕후 |
1821년 ~ 1823년 |
창경궁 통화전 |
효성전 (孝成殿) |
순조 |
1834년 ~ 1836년 |
경희궁 자정전 → 창덕궁 선정전 |
휘정전 (徽定殿) |
효현왕후 |
1843년 ~ 1851년 |
창경궁 문정전 |
효정전 (孝定殿) |
헌종 |
1849년 ~ 1851년 |
창덕궁 선정전 |
효정전 (孝正殿) |
순원왕후 |
1857년 ~ 1859년 |
창경궁 문정전 |
효문전 (孝文殿) |
철종 |
1863년 ~ 1865년 |
창덕궁 선정전 |
효휘전 (孝徽殿) |
철인왕후 |
1878년 ~ 1880년 |
창경궁 문정전 |
경효전 (景孝殿) |
명성황후 |
1896년 ~ 1921년 |
경복궁 문경전 → 덕수궁 덕홍전 → 덕수궁 수풍당 |
효혜전 (孝惠殿) |
효정왕후 |
1903년 ~ 1905년 |
덕수궁 인소전 |
의효전 (懿孝殿) |
순명효황후 |
1904년 ~ 1928년 |
덕수궁 경소전 → 창덕궁 의효전[9] |
효덕전 (孝德殿) |
고종 |
1919년 ~ 1921년 |
덕수궁 함녕전 |
효령전 (孝寧殿) |
순종 |
1926년 ~ 1928년 |
미상 |
[1]
건물 자체를 철거하는 것이 아니라 혼전을 만들 때는 용도에 맞게끔 건물 내부를 개조하는데, 이를 다시 일반 건물로 바꾸는 것을 철거한다고 한다.
[2]
나중에는 경복궁과 덕수궁을 중건할때 아예 혼전 전용의 건물[10]이 지어져서 철거를 하지 않았다.
[3]
왕과 왕후, 세자와 세자빈의 시신을 넣은 관을 말한다.
[4]
이 때 인덕전은 봉성전에 들어가지 못했는데, 정종은 정식 임금으로 인정되질 않았서였다.
[5]
전호를 따로 내리지 않은 듯 하고, 신덕왕후가 거처하던 인안전을 혼전으로 삼는다는 기록만 있다.
[6]
옛 경희전을 고쳐 사용했다고 한다.
[7]
성종실록에 나와있지 않아 경복궁 어디에 설치했는지는 알 수 없다.
[8]
실록에는 어느 전각이라고 나와있지 않고, 1545년에 중종이 승하하면서 중종의 혼전인 경사전에 같이 봉안하였다고 나온다.
[9]
덕수궁 선원전 일대가 헐리면서 건물을 창덕궁으로 이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