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18:46:07

한국프로농구 최우수 신인

1. 개요2. 수상 조건3. 역대 수상자4. 역대 수상 구단5. 신인상 수상 시즌에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기록한 선수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농구연맹에서 당년 최고의 활약을 펼친 신인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2. 수상 조건

2019-20 시즌까지는 해당 시즌에 처음으로 등록이 된 신인 선수들만 수상이 가능했다. 문제는 이 '신인 선수'의 기준이 경기 출전 여부가 아니라 선수 등록 여부로 결정되었다는 것. 덕분에 드래프트에서 지명된 뒤 부상으로 첫 시즌을 통으로 날리고 2년차 시즌부터 뛰게 될 경우 아무리 잘하더라도 신인상을 받을 수가 없었다. 첫 시즌 자동으로 선수 등록이 되었고 그 시즌에 이미 다른 선수들과의 경쟁에서 밀렸다고 간주하기 때문.[1] 이런 엄격한 규정 탓에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도 신인상에 도전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게 되는 케이스가 나오면서 2020-21 시즌부터 관련 규정이 변경되었다. 2년차 선수까지 대상을 확대하되 해당 시즌 출전 가능 경기 1/2 이상 출전해야 한다.[2] 그리고 2022-23 시즌 한정으로 아시아 쿼터제로 들어온 선수들도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신인상 자격이 주어졌다.[3]

퍼포먼스, 임팩트, 기록을 보는 NBA와는 다르게 특유의 팀플레이, 팀문화를 강조하는 KBL에선 유독 최우수 신인 수상에도 팀성적을 가장 많이 본다. 그 대표적인 예로 1998-99 시즌 서장훈은 25득점, 14리바운드라는 괴물같은 성적을 기록하고도 팀이 플레이오프에 가지 못했기 때문에 수상에 실패했다. 그래도 점점 NBA 시청 인구가 늘어나고 세계농구를 접하는 기회가 늘어나면서 그 풍토도 변하고 있다.

3. 역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KBL
역대 신인선수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없음 주희정
고려대 나래 / 가드
신기성
고려대 나래 / 가드
김성철
경희대 SBS / 포워드
이규섭
고려대 삼성 / 포워드
<rowcolor=#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김승현
동국대 동양 / 가드
김주성
중앙대 TG / 포워드
이현호
고려대 삼성 / 포워드
양동근
한양대 모비스 / 가드
방성윤
연세대 SK / 포워드
<rowcolor=#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이현민
경희대 LG / 가드
김태술
연세대 SK / 가드
하승진
연세대 KCC / 센터
박성진
중앙대 전자랜드 / 가드
박찬희
경희대 인삼공사 / 가드
<rowcolor=#fff>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오세근
중앙대 KGC / 센터
최부경
건국대 SK / 포워드
김종규
경희대 LG / 센터
이승현
고려대 오리온스 / 포워드
정성우
상명대 LG / 가드
<rowcolor=#fff>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강상재
고려대 전자랜드 / 포워드
안영준
연세대 SK / 포워드
변준형
동국대 KGC / 가드
김훈
연세대 DB / 포워드
오재현
한양대 SK / 가드
<rowcolor=#fff>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이우석
고려대 현대모비스 / 가드
아바리엔토스
파 이스턴대 현대모비스 / 가드
유기상
연세대 LG / 가드

/

/
}}}}}}}}}}}}}}} ||
시즌 이름 소속팀 포지션 출신교 KBL 입단
1997-98 주희정 원주 나래 블루버드 가드 고려대학교 연습생
1998-99 신기성 원주 나래 블루버드 가드 고려대학교 1998년 1라운드 7순위
1999-00 김성철 안양 SBS 스타즈 포워드 경희대학교 1999년 1라운드 4순위
2000-01 이규섭[4] 수원 삼성 썬더스 포워드 고려대학교 2000년 1라운드 1순위
2001-02 김승현 대구 동양 오리온스 가드 동국대학교 2001년 1라운드 3순위
2002-03 김주성 원주 TG 엑써스 포워드 중앙대학교 2002년 1라운드 1순위
2003-04 이현호[5] 서울 삼성 썬더스 포워드 고려대학교 2003년 2라운드 8순위
2004-05 양동근 울산 모비스 피버스 가드 한양대학교 2004년 1라운드 1순위
2005-06 방성윤 서울 SK 나이츠 포워드 연세대학교 2005년 1라운드 1순위
2006-07 이현민 창원 LG 세이커스 가드 경희대학교 2006년 1라운드 3순위
2007-08 김태술 서울 SK 나이츠 가드 연세대학교 2007년 1라운드 1순위
2008-09 하승진 전주 KCC 이지스 센터 연세대학교 2008년 1라운드 1순위
2009-10 박성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가드 중앙대학교 2009년 1라운드 1순위
2010-11 박찬희 안양 한국인삼공사 가드 경희대학교 2010년 1라운드 1순위
2011-12 오세근 안양 KGC인삼공사 센터 중앙대학교 2011년 1라운드 1순위
2012-13 최부경 서울 SK 나이츠 포워드 건국대학교 2012년 1라운드 2순위
2013-14 김종규 창원 LG 세이커스 센터 경희대학교 2013년 1라운드 1순위
2014-15 이승현 고양 오리온스 포워드 고려대학교 2014년 1라운드 1순위
2015-16 정성우 창원 LG 세이커스 가드 상명대학교 2015년 1라운드 6순위
2016-17 강상재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포워드 고려대학교 2016년 1라운드 3순위
2017-18 안영준 서울 SK 나이츠 포워드 연세대학교 2017년 1라운드 4순위
2018-19 변준형 안양 KGC인삼공사 가드 동국대학교 2018년 1라운드 2순위
2019-20 김훈 원주 DB 프로미 포워드 연세대학교 2019년 2라운드 5순위
2020-21 오재현 서울 SK 나이츠 가드 한양대학교 2020년 2라운드 1순위
2021-22 이우석[6]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가드 고려대학교 2020년 1라운드 3순위
2022-23 아바리엔토스[7]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가드 파 이스턴 대학교 2022년 아시아쿼터 자유계약
2023-24 유기상 창원 LG 세이커스 가드 연세대학교 2023년 1라운드 3순위

4. 역대 수상 구단

소속 횟수 시즌
서울 SK 나이츠 5회 2005-06, 2007-08, 2012-13, 2017-18, 2020-21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4회 1999-00, 2010-11, 2011-12, 2018-19
원주 DB 프로미 4회 1997-98, 1998-99, 2002-03, 2019-20
창원 LG 세이커스 4회 2006-07, 2013-14, 2015-16, 2023-24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3회 2004-05, 2021-22, 2022-23
서울 삼성 썬더스 2회 2000-01, 2003-04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회 2001-02, 2014-15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회 2009-10, 2016-17
부산 KCC 이지스 1회 2008-09
수원 kt 소닉붐 0회 -

5. 신인상 수상 시즌에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기록한 선수

6. 기타

7. 관련 문서



[1] NBA는 부상 등의 사유로 규정 경기수를 채우지 못한 신인 선수는 다음 시즌에도 신인상 자격을 부여한다. [2] 단, 등록 첫 시즌에 출전 가능 경기 1/2 이상을 출전할 경우 차기 시즌 신인왕 후보에서 제외된다. [3] 이 경우에도 국내 선수들의 자격과 마찬가지로 입단 시점에서 KBL 외 타 프로팀 경력이 1시즌 이하에 이전 소속 팀에서 해당 1시즌 1/2 미만 출전인 선수에게만 자격이 주어진다. 이 때문에 이선 알바노가 신인왕 후보에서 제외된 것. [4] 최초의 전체 1순위 지명 수상자. [5] 최초의 2라운드 지명 수상자. [6] 최초의 2년차 수상자. [7] 최초의 외국 국적 수상자. [8] KBO 리그에서는 2006년 류현진이 신인상과 MVP를 모두 휩쓴 적이 있다. [9] V리그에서는 김연경이 신인상과 MVP 그리고 챔피언결정전 MVP까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