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란도르상 신인상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5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56년 | 이케우치 준코, 이시하라 유지로, 카와구치 히로시, 쿠사나기 고지로, 시라카와 유미, 스기타 히로코, 타카쿠라 켄 |
1957년 | 단 레이코, 에하라 신지로, 키타자와 노리코, 나카다이 타츠야, 시라카와 유미, 모리 미키, 츠구바 히사코, 카와사키 케이조 | |
1958년 | 아사오카 루리코, 카노 준코, 아사오카 루리코, 쿠와노 미유키, 오오조라 마유미, 사토 마코토, 치노 카쿠코 | |
1959년 | 혼고 코지로, 호시 테루미, 미즈키 조, 나카타니 이치로, 나츠키 요스케, 시미즈 마유미, 야마모토 토요조 | }}}}}}}}} |
196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60년 | 아카기 케이이치로, 후지마키 준, 호시 유리코, 카와구치 토모코, 마츠카타 히로키, 미카미 신이치로, 요시다 테루오 |
1961년 | 이와시타 시마, 카야마 유조, 미타 요시코, 타미야 지로, 야마자키 츠토무, 요시나가 사유리 | |
1962년 | 바이쇼 치에코, 하마 미에, 하마다 미츠오, 스가타 미치코, 치바 신이치, 야마모토 케이 | |
1963년 | 이즈미 마사코, 카가 마리코, 키타오오지 킨야, 나카가와 유키, 나카오 미에, 타카다 미와, 타카하시 코지 | |
1964년 | 후지무라 시호, 혼마 치요코, 마츠모토 하쿠오, 카토 고, 카야마 요시코, 마츠바라 치에코, 요시무라 지츠코 | |
1965년 | 에나미 쿄코, 후지 스미코, 나이토 요코, 오가와 마유미, 타케와키 무가, 와타리 테츠야 | |
1966년 | 구리주카 아사히, 구로사와 토시오, 오오하라 레이코, 야마구치 타카시, 야마모토 요코, 오오쿠스 미치요 | |
1967년 | 아즈사 에이코, 쿠리하라 코마키, 나카야마 진, 오가와 토모코, 사카이 와카코, 스기 료타로 | |
1968년 | 이쿠타 에츠코, 미네기시 토오루, 나카야마 마리, 오카 미츠코, 타카하시 에츠시, 타니 하야토 | |
1969년 | 아츠미 마리, 오키 마사야, 오자키 나나, 타이치 키와코, 타카하시 노리코, 타치바나 마스미 | }}}}}}}}} |
197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70년 | 하라다 다이지로, 모리타 겐사쿠, 나츠 준코, 오카다 유스케, 오카모토 노부토, 사카이 마사아키, 사토 오리에, 타케하라 에이코, 우메다 토모코, 와타세 츠네히코, 야나미 에이코 |
1971년 | 미개최 | |
1972년 | 이케 레이코, 콘도 마사오미, 사카키바라 루미, 타카하시 케이코, 미후네 시로, 야마구치 카린, 요시자와 쿄코 | |
1973년 | 우츠노미야 마사요, 스기모토 미키, 시가키 타로, 마츠자카 케이코, 무라노 타케노리, 야마모토 센, 타나카 마리, 후지오카 히로시, 혼다 미치코, 마키 히로코 | |
1974년 | 아사다 미요코, 코즈에 히토미, 시마다 요코, 세키네 세츠코, 니시나 아키코, 하기와라 켄이치, 미우라 토모카즈, 모모이 카오리, 다이몬 마사아키, 타카하시 요코, 나카지마 유타카 | |
1975년 | 아키요시 쿠미코, 쿠사카리 마사오, 이케가미 키미코, 단 후미, 시호미 에츠코, 나카무라 마사토시, 하기오 미도리 | |
1976년 | 히가시 테루미, 오카다 나나, 오오타케 시노부, 다나카 겐, 카타히라 나기사, 네즈 진파치, 미츠바야시 쿄코, 카츠노 히로시, 사오토메 아이, 타키가와 유미 | |
1977년 | 아사지 요코, 이와키 코이치, 에토 준, 하라다 미에코, 마야 쿄코 | |
1978년 | 아라이 하루미, 아사노 유코, 이노우에 준이치, 시미즈 켄타로, 나츠키 요코, 타케시타 케이코, 타케다 테츠야, 나가시마 에이코 | |
1979년 | 쿠니히로 토미유키, 나가시마 토시유키, 후지 마리코, 모리시타 아이코, 유리 치카코 | }}}}}}}}} |
198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80년 | 쿠마가이 마미, 코테가와 유코, 시바타 쿄헤이, 마츠다이라 켄, 미야우치 준 |
1981년 | 카네다 켄이치, 칸자키 아이, 키시모토 카요코, 타키타 사카에, 히구치 카나코 | |
1982년 | 카가 다케시, 사나다 히로유키, 다나카 유코, 나츠메 마사코, 후루오야 마사토 | |
1983년 | 카자마 모리오, 콘노 미사코, 나카이 키이치, 나토리 유코, 류 다이스케 | |
1984년 | 사토 코이치, 토키토 사부로, 나카이 키에, 하라다 토모요, 야쿠쇼 코지 | |
1985년 | 이시하라 마리코, 에노키 타카아키, 와타나베 토루, 후지타니 미와코 | |
1986년 | 키쿠치 모모코, 킷카와 코지, 사와구치 야스코, 야나기사와 신고 | |
1987년 | 사이토 유키, 진나이 타카노리, 나카야마 미호, 야스다 나루미, 와타나베 켄 | |
1988년 | 고쿠쇼 사유리, 토미타 야스코, 고토 쿠미코, 미나미노 요코, 나카무라 토오루 | |
1989년 | 아소 유미, 오가타 나오토,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카미 히로시, 와카무라 마유미 | }}}}}}}}} |
199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90년 | 이모리 미유키, 스즈키 호나미, 미나미 카호, 모토키 마사히로, 야나기바 토시로 |
1991년 | 쿠도 유키, 타카시마 마사노부, 나카지마 토모코, 노무라 히로노부, 마키세 리호 | |
1992년 | 이시다 히카리, 센도 노부코, 와쿠이 에미, 나가세 마사토시, 요시오카 히데타카, 다나카 미노루 | |
1993년 | 카토 마사야, 시미즈 미사, 아카이 히데카즈, 유키 나에, 카라사와 토시아키 | |
1994년 | 사쿠라이 사치코, 와시오 이사코, 스미다 유키, 츠츠이 미치타카, 하기와라 마사토, 무라타 타케히로 | |
1995년 | 야마구치 토모코, 스즈키 안즈, 하다 미치코, 키시타니 고로, 토요카와 에츠시, 기무라 타쿠야 | |
1996년 | 토키와 타카코(대상), 츠루타 마유, 잇시키 사에, 나가사와 토시야, 타카하시 카츠노리, 시이나 킷페이 | |
1997년 | 마츠 다카코(대상), 이이지마 나오코, 세토 아사카, 카미카와 타카야, 니시무라 마사히코 | |
1998년 | 칸노 미호(대상), 키무라 요시노, 다나카 미사토, 아사노 타다노부, 우치노 세이요 | |
1999년 | 마츠시마 나나코(대상), 카시와바라 타카시, 카네코 켄, 사카이 미키, 후카다 쿄코 | }}}}}}}}} |
200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00년 | 나카타니 미키(대상), 이케우치 히로유키, 이시이 마사노리, 카토 하루히코, 나카무라 슌스케 |
2001년 | 이토 히데아키, 쿠보즈카 요스케, 오이카와 미츠히로, 이케와키 치즈루, 카토 아이, 야다 아키코 | |
2002년 | 쿠니나카 료코, 사카구치 켄지, 다케우치 유코, 츠마부키 사토시, 후지키 나오히토, 요네쿠라 료코 | |
2003년 | 오자와 유키요시, 키쿠카와 레이, 시바사키 코우, 나카마 유키에, 후지와라 타츠야 | |
2004년 | 우에토 아야, 오다기리 조, 코유키, 테라지마 시노부, 나카무라 시도, 야마다 타카유키 | |
2005년 | 이시하라 사토미, 이토 미사키, 나가사와 마사미, 나리미야 히로키, 야마모토 코지 | |
2006년 | 이토 아츠시, 우치야마 리나, 사와지리 에리카, 하야미 모코미치, 호리키타 마키 | |
2007년 | 아오이 유우, 아야세 하루카, 우에노 주리, 게키단 히토리, 타마키 히로시, 마츠야마 켄이치 | |
2008년 | 아라가키 유이, 오구리 슌, 칸지야 시호리, 단 레이, 오오모리 나오 | |
2009년 | 에이타, 쿠로키 메이사, 토다 에리카, 마츠다 쇼타, 미우라 하루마, 미야자키 아오이 | }}}}}}}}} |
201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10년 | 에이쿠라 나나, 오카다 마사키, 시다 미라이, 타베 미카코, 마츠다 류헤이, 미즈시마 히로 |
2011년 | 키치세 미치코, 키리타니 켄타, 사토 타케루, 마츠시타 나오, 미츠시마 히카리, 무카이 오사무 | |
2012년 | 코라 켄고, 이노우에 마오, 안, 하세가와 히로키, 요시타카 유리코 | |
2013년 | 소메타니 쇼타, 오노 마치코, 마츠자카 토리, 타케이 에미, 모리야마 미라이, 마키 요코 | |
2014년 | 아야노 고, 키무라 후미노, 히가시데 마사히로, 노넨 레나, 후쿠시 소타, 하시모토 아이 | |
2015년 | 이케마츠 소스케, 키타가와 케이코, 사이토 타쿠미, 쿠로키 하루, 스즈키 료헤이, 니카이도 후미 | |
2016년 | 에모토 타스쿠, 아리무라 카스미, 스다 마사키, 츠치야 타오, 타마야마 테츠지, 요시다 요 | |
2017년 | 사카구치 켄타로, 타카하타 미츠키, 딘 후지오카, 하루, 호시노 겐, 히로세 스즈 | |
2018년 | 타카하시 잇세이, 카도와키 무기, 타케우치 료마, 스기사키 하나, 무로 츠요시, 요시오카 리호 | |
2019년 | 시손 쥰, 아오이 와카나, 다나카 케이, 나가노 메이, 나카무라 토모야, 마츠오카 마유 | }}}}}}}}} |
2020년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20년 | 카미키 류노스케, 안도 사쿠라, 요코하마 류세이, 키요하라 카야, 요시자와 료, 하시모토 칸나 |
2021년 | 카쿠 켄토, 이토 사이리, 키타무라 타쿠미, 카미시라이시 모네, 쿠보타 마사타카, 하마베 미나미, 나리타 료, 모리 나나 | |
2022년 | 나카노 타이가, 에구치 노리코, 야기라 유야, 카와구치 하루나, 야마다 유키, 히로세 아리스 | |
2023년 | 나카가와 타이시, 아시다 마나, 마츠시타 코헤이, 키시이 유키노, 마미야 쇼타로, 나오 | |
2024년 | 이소무라 하야토, 이마다 미오, 마에다 고든, 코시바 후우카, 메구로 렌, 홋타 마유 | }}}}}}}}} |
<colbgcolor=#ECEDED><colcolor=#5E9E5A> 하라다 토모요 [ruby(原田, ruby=はらだ)] [ruby(知世, ruby=ともよ)] | Tomoyo Harada |
|
|
|
출생 | 1967년 11월 28일 ([age(1967-11-28)]세)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60cm, A형 |
가족 | 아버지, 어머니, 언니 하라다 키와코 |
학력 | 히노데여자고등학교 (졸업) |
소속사 | Schon HARADA Inc. |
데뷔 | 1982년 '카도카와 영화 대형 신인 모집' 특별상 |
링크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배우 겸 가수.80년대를 대표하는 빅네임 아이돌( 마츠다 세이코, 나카모리 아키나, 카와이 나오코 등)에 비하면 다소 네임밸류가 낮은 편이지만, 이는 아이돌 활동 당시에 한정했을 때의 이야기고, 만 50을 넘긴 현재까지도 싱어송라이터로서 쉬지 않고 꾸준히 활동하며, 거의 매년 풀렝쓰 앨범을 한 장 이상 발매하고 있는 생존왕. 80년대의 아이돌 대홍수시대에 쏟아져나온 아이돌 가운데 현재까지 연예계에 남아있는 이가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보면 하라다 토모요처럼 정점을 찍은 적은 없지만, 꾸준히 롱런하는 것 역시 보통일은 아닐 것이다.
팬이 아닌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늙지 않는 동안 속성의 보유자로 널리 알려져있는데 여기서 함정인건 세월앞에 장사없듯이 탈모가 있어 지금과 같이 보브컷을 고집하고 동안 속성을 현재까지 이르렀다.
2. 활동
2.1. 데뷔부터 1980년대
2세 무렵부터 언니 키와코와 함께 발레를 배우다가, 1982년 중3 시절 " KADOKAWA영화 대형신인 모집"에 응모해 특별상을 수상하고, 14세에 연예계에 입문하게 된다. 데뷔 직후부터 TV드라마와 영화에서 히로인을 연기하는데, 영화 데뷔작 시간을 달리는 소녀에서 일본아카데미상 외 각종 영화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며, 야쿠시마루 히로코[1]의 뒤를 잇는 대형신인으로 푸시를 받았다.
고교 진학 후에도 꾸준히 영화에 출연해 愛情物語(애정이야기. 1984년작), 天国にいちばん近い島(천국에 가장 가까운 섬. 1984년작), 早春物語(이른봄의 이야기. 1985년작)을 연속으로 출연 및 해당작품들의 주제가를 취입하기로 했다. 특히 스크린 데뷔작이었던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주제가[2]가 크게 히트하며, TBS 더 베스트 텐, NHK 홍백가합전에도 출연하게 된다.
1986년에는 카도카와 하루키 사무소로부터 독립해 영화 私をスキーに連れてって(나를 스키에 데려가줘. 1987년작), 彼女が水着にきがえたら(그녀가 수영복으로 갈아입으면. 1989년작) 등의 트렌디영화를 중심으로 배우활동을 이어간다.
2.2. 1990년대
활동영역은 여전히 영화, 드라마, 음악, 모델 등 다방면이긴 했으나, 서서히 아이돌의 이미지가 희석되기 시작한 시기로 매년 한 편 이상의 드라마 또는 영화에 출연했고, 음악 쪽으로는 일본의 전설적인 밴드 가운데 하나인 문라이더즈의 보컬 스즈키 케이이치(鈴木慶一)라던가, 90년대 중후반의 스웨디시 팝 유행의 중심에 서있었던 프로듀서 토레 요한슨(Tore Johansson)[3]의 프로듀싱을 바탕으로 비교적 준수한 음반들을 발표한다.
에쿠니 가오리의 원작을 영화화한 낙하하는 저녁(1998년작)의 주연으로 캐스팅, 영화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 정식 초청작품이 되었으며, 그 외에 1995년 아지노모토AGF의 커피 브랜드 Blendy의 모델로 기용되어 약 20년 이상 모델로 꾸준히 출연하면서, 동일 브랜드 동일 모델이라는 부분에서 일본 최장수의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2.3. 2000년대
2005년의 결혼[4]을 전후로 활동량이 크게 줄었는데, 실제로 음반이나 영화나 완연한 하락세를 그리고 있어서, 전성기라 할 수 있는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싱글이 587,000장을 판매한 것에 비하면 이 시기 즈음 발매한 싱글의 판매량 또한 매우 초라한 수준이라 2002년에 발매한 싱글 空と糸 -talking on air-(하늘과 실)는 NTT 도코모의 CM 타이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작 13,000장을 판매하는데 그쳤다. 보통 2년 정도에 한 장의 풀렝쓰 앨범을 발매했던 과거와 달리 2000년대에는 그 텀 또한 길어져 길게는 5년 이상 앨범을 발표하지 못하기도 했다.
2000년대에 발매된 앨범들의 대부분은 일본의 어쿠스틱기타 듀오인 Naomi & Goro의 멤버이자 기타리스트인 이토 고로(伊藤ゴロー)가 프로듀스를 하고 있는데, 프로듀스의 색채도 색채거니와 하라다 본인의 나이도 있고 해서 음악 전반적인 구성은 재즈를 베이스로 한 곡들이 제법 많아졌다.
2.4. 2010년대
2011년에는 영화 도쿄 오아시스에 키쿠치 역으로 출연하였다.2013년 이혼을 하며 이혼의 원인으로 하라다 토모요의 성벽(性癖)에 문제가 있어서 이혼을 하게 됐다는 질 낮은 소문이 돌기도 했으나, 껍데기를 까보면 실상 별 시덥잖거나, 그렁 거 엄슴류의 찌라시에 불과했다.
이혼 이후 잠시 숨을 고른 후, 2015년부터 갑자기 폭발적인 활동량을 보여주고 있는데, 크게 침체된 상태였던 음악 부분에서 갑자기 반등하는 앨범 恋愛小説(연애소설)[5]을 발표하며 활동량이 늘어나고, 이듬해인 2016년에는 후속기획인 恋愛小説2~若葉のころ~[6]까지 연속으로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프로듀서는 상기한 이토 고로로 2018년까지 꾸준히 하라다의 앨범을 프로듀스하고 있다.
리메이크에 재미를 붙이셨는지 2017년에는 과거 자신의 히트곡들의 셀프 리메이크앨범인 音楽と私(음악과 나)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한 곡들 가운데 베스트로 편집한 私の音楽(나의 음악)을 연달아 발표한다. 다만 반응 자체는 연애소설 연작들이 워낙에 평이 좋은데다, 리메이크라고 해도 결국 수많은 베스트앨범 가운데 하나인지라 전작들에 비하면 묻힌 편.
늙지 않는 여자라는 네타가 꾸준히 나오는 것도 2010년대에 들어서인데, 연애소설의 앨범 자켓(본 문단의 대표이미지)은 그 이미지가 정점을 찍은 작품이기도 하고, 50대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젊고 세련된 패션센스 덕분에 그런 이미지가 짙어보이기도 한다. 다만 2016년 이후의 사진들을 보면 세월은 어쩔 수 없는 것인지, 더 이상 가려지지 않는 잔주름은...
2019년에는 17세 연하의 배우 다나카 케이와 함께 드라마 あなたの番です(당신 차례입니다)에서 무려 부부 역할로 출연했다. 다만 아무리 동안 속성의 보유자라도 17세 연하의 배우와 비슷한 연배로 등장하는 건 아니고, 남편보다 15살 많은 아내라는 설정.
동년에는 4장의 리메이크앨범 이후 처음, 2014년 Noon moon 앨범 이후 4년 만에 오리지널 앨범인 L'Heure Bleue를 발매한다. 다만 1년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가창자의 목소리는 상당히 탁해져있고, 전반적인 곡구성에 있어서도 평은 썩 그리 좋지 못한 편.
2020년 아시다 마나와 함께 영화 "별의 아이"에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3. 대표곡
3.1. 시간을 달리는 소녀(時をかける少女)
최고의 판매고를 올린 싱글이지만, 정작 가수로는 아직 완성된 시기는 아니었기 때문에, 하라다의 안티팬들은 2010년대씩이나 되어서도 노래 못하는 여자라고 싫어한다(...)
3.2. 그와 그녀의 소네트(彼と彼女のソネット)
엘자 룅기니가 1985년에 발표한 T'en Vas Pas(Papa, Please don't go)가 일본에서 메가히트를 기록하면서[7] 시티팝 좀 듣는 사람들이 즐겨듣는 싱어송라이터 가운데 하나인 오오누키 타에코가 일본어 가사로 번안해 몇몇 여가수들에게 곡을 제공했고, 하라다는 86년에 싱글로, 87년에 앨범(Schmatz 앨범)으로 취입한다. 하라다의 곡 가운데 팬들이 오랜 세월 사랑하는 곡 중 하나지만, 정작 발매 당시의 판매량은 26,000장. 이후 토레 요한슨이 프로듀싱하던 시절에 두 차례 셀프 리메이크.(싱글 T'en Va Pas 및 97년작 Flowers 앨범에 수록된 탬버린 버전)
여담으로 86년에 토미사와 세이코(富澤聖子)[8], 97년에는 성우 미야무라 유코가, 2005년에는 BEMANI 아티스트 가운데 하나인 Sana와 번안자의 음악절친의 금수저 딸이 리메이크하는 등,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곡이기도 하며, 번안자 오오누키 타에코 역시 이 곡을 여러 차례, 여러 버전으로 취입하거나 공연한 적이 있다.
3.3. 로망스(ロマンス)
1997년작으로 작곡은 90년대 중반 일본에 등장한 스웨디시 팝 무브먼트의 핵심인물인 스웨덴 뮤지션 울프투레슨(Ulf Turesson)이 편곡은 토레요한슨(Tore Johansson)이 하였다. 영상 링크는 위에서부터 1997년 버전, 2017년 리메이크 버전이다. 서서히 하락세가 눈에 띄기 시작한 90년대에 그나마 히트한 대표곡으로 판매량은 68,000장. 이 싱글로 토레 요한슨과의 작업이 정점을 찍은 후, 99년부터 셀프 프로듀스를 시작하면서 이토 고로를 만날 때까지 밑도 끝도 없는 하락세가 시작된다.
3.4. 꿈에서 만난다면(夢で逢えたら)
2002년작.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오오타키 에이이치(大瀧詠一)의 명곡을 DEEN과 듀엣으로 리메이크. 워낙에 많은 아티스트들이 리메이크한 곡이기도 했고, DEEN과의 콜라보 자체가 단발성으로 끝난 관계로 별다른 반향을 얻지는 못했다.
3.5. 夢の人 (I've Just Seen a Face)
2015년작. 하라다 후기 디스코그라피 최고의 작품들로 인정받는 연애소설 시리즈의 포문을 연 곡. 비틀즈 원곡을 리메이크한 곡으로 원곡 자체가 컨트리 뮤직이다보니 폴맥 본인의 공연에서의 연주도 그렇거니와, 상당수의 리메이크들이 원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곡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파격적인 시도다보니 이토 고로의 프로듀싱이 정점에 달한 프로젝트라 볼 수 있다.
3.6. 銀河絵日記(은하그림일기)
2018년작. L'Heure Bleue 수록 A사이드. 앨범 전반에 대한 평이 썩 그리 좋지는 않아서 아마존 재팬에는 뮤직비디오 DVD가 포함된 초회한정판의 재고가 2019년 6월 기준으로 아직까지 남아있어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1]
薬師丸ひろ子. 일본의 여배우 겸 가수. 카도카와영화 중심으로 출연해 인기를 끌고, 가수로서도 현재까지도 꾸준히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2]
마츠토야 유미가 제공
[3]
그가 제작에 참가한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BONNIE PINK,
카디건스,
Suede,
New Order 등이 있다.
[4]
2013년 이혼
[5]
Universal Music에서 기획한 러브송 리메이크 프로젝트
[6]
어린 시절 언니와 함께 듣던 올드 제이팝의 리메이크 프로젝트
[7]
일본의 번안 타이틀은 슬픔의 아다지오(哀しみのアダージョ)
[8]
최초의 일본어 리메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