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22:19:04

풍운(KBS)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 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 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 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 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 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 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 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 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 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 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 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풍운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 TV부문 대상
등신불
(1982)
풍운
(1983)
신왕오천축국전
(1984)
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 TV부문 작품상
등신불
(1982)
풍운
(1983)
타인의 생애
불타는 바다
(1984)
}}} ||
KBS 대하드라마
풍운 (1982)
風雲 / Wind and Cloud
파일:풍운 오프닝 FHD 리마스터축소.png
<colbgcolor=#b89429><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일요일 20:00
방송 기간 1982년 1월 10일 ~ 1982년 12월 26일
방송 횟수 51부작[1]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제작진 <colbgcolor=#b89429><colcolor=white> 연출 황은진
극본 신봉승
조연출 이영국
기술감독 이수송
조명감독 정대식
음악 임택수
미술감독 최연호
고증 황호근, 박정식
야외촬영 함창기, 김기찬, 한용희
편집 민대식
카메라 김기철, 김광균, 이수정, 하창길
원작 유주현 저,
소설 《대원군》
해설 최현
출연 이순재, 서우림, 박칠용, 안정훈, 김영애, 강수연, 임혁, 반효정, 신동훈, 김세윤, 송재호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
3.1. 조선 왕실3.2. 안동 김씨 세력3.3. 풍양 조씨 세력3.4. 여흥 민씨 세력3.5. 흥선대원군의 측근3.6. 개화파3.7. 천주교인3.8. 동학농민운동3.9. 청나라3.10. 일본3.11. 러시아3.12. 그 외
4. 여담5. KBS Drama Classic 연속 무료 스트리밍

[clearfix]

1. 개요

1982년 1월 10일부터 1982년 12월 26일까지 방영된 2번째 KBS 대하드라마.

묵사 유주현 작가가 1965년부터 2년 동안 조선일보에 연재한 소설 <대원군>이 원작이며 개화기가 배경으로 흥선대원군이 주인공이다. 1972년에 방영된 동명의 MBC 드라마판 이후 두 번째로 TV 드라마화된 작품이었으나, 정작 원작자 유주현은 완결을 못 보고 그 해 5월 26일에 눈을 감았다.

훗날 MBC 조선왕조 오백년의 극본을 맡을 신봉승 작가가 극본을, 황은진 PD가 연출을, 임택수가 음악, 최현이 해설을 각각 맡았고, 고증은 민속연구가 황호근과 박정식, 글씨는 여산 권갑석(1924~2008)이 각각 맡았다. 총 51부작.[2] 상당히 괜찮은 드라마라는 평가이며 그래서 그런지 신봉승 작가는 이 시대의 이야기를 10년 뒤에 조선왕조 5백년: 대원군 편과 찬란한 여명으로 각각 리메이크했다.

2. 특징

파일:attachment/이순재/daewongunlsj.jpg
당시 출연 영상 캡쳐. 원본은 2010년 6월 10일 방영된 <MBC 스페셜> '순재 날다' 편이며, 대원군의 사진이랑 비교하면 싱크로율이 매우 높다.

주인공 흥선 대원군 역을 맡았던 배우는 이순재. 이순재 스스로도 이 드라마에서 맡았던 흥선대원군 역을 가장 인상 깊은 배역이자 또 한 번 연기하고 싶은 배역으로 꼽았으며, MBC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코너의 2009년 1월 14일 방영분에서 '양질의 드라마'였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

고종 역을 맡았던 박칠용의 경우, 서울신문사의 주간 연예잡지 <TV가이드> 1984년 2월 11일자(제132호) 41쪽 기사에 캐스팅 비화가 언급됐는데, 담당 연출자 황은진 PD가 14회에 나올 고종의 성인 역을 고심하다가 우연히 여의도 KBS 별관 로비에서 지나가던 박칠용을 불러세워 낙점시켰다고 한다. 황 PD는 마침 박칠용이 실제 고종과 외모가 비슷한 점을 생각해서 결정했는데 정작 박칠용 본인은 얼떨결에 낙점된 터라 당황했으나, 뼈를 깎는 노력으로 고종의 내면까지 잘 끌어냈다. 2년 후 <독립문>을 비롯해 1986년 <임이여 임일레라> 및 <초혼가>, 1987년 <높푸른 뫼 월남 이상재>, 1994년 <다큐멘터리극장>, 1996년 SBS 3.1절 특집드라마 <안중근> 등 6작품에서 같은 역할로 더 나왔다. 또 이동인 승려 역을 맡은 김순철은 연기를 위해 삭발 투혼을 내뿜어 주목을 받았으며, 박영목이 박규수 역으로 나올 때 분장한 수염 모양은 <찬란한 여명>의 면암 최익현, <용의 눈물>의 박신, <태조 왕건>의 마 사부 등을 할 때 수염 분장에 영향을 줬다.

2020년 10월부터 유튜브 공식채널 'KBS Drama Classic'에서 유실된 10화를 제외한 채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했으나 2024년 1월 22일부로 내려간다고 공지 상태. 2021년 2월에는 '같이삽시다' 채널에서 총괄편이 올라왔다.

3. 등장인물

3.1. 조선 왕실

3.2. 안동 김씨 세력

3.3. 풍양 조씨 세력

3.4. 여흥 민씨 세력

3.5. 흥선대원군의 측근

3.6. 개화파

3.7. 천주교인

3.8. 동학농민운동

3.9. 청나라

3.10. 일본

3.11. 러시아

3.12. 그 외

4. 여담

5. KBS Drama Classic 연속 무료 스트리밍

지금까지 총 2회의 스트리밍이 진행되었으며, 현재까지 본 채널에서 진행한 사극 스트리밍 중 가장 오래 전에 방영된 작품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진행된 모든 사극 스트리밍 중 시청자 수 최저 1위와 2위의 기록도 가지고 있는 등 여러가지 스트리밍에서 나오는 기록들의 다수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다.[7]

스트리밍 자체는 2022년에 사망한 고 강수연 배우의 추모 일환으로 시작된 스트리밍이었다. 당시에도 별도 계획되지 않았으나 강수연 배우의 사망 소식이 들려온 이후 추가로 반영된 작품이다. 그러나 드라마 자체가 너무 오래 전에 방영된 작품[8]이고, 현재의 사극 분위기와 이질적인 분위기가 많아 시청자들이 보기에 많이 꺼려지는 부분이 가장 결정적으로 작용하며 지금까지 단 1번도 1,000명은 커녕 600명도 넘어본 적이 없다.

그러다보니 현재 스트리밍 시청자들에게 풍운이라는 작품은 시청자 수가 저조할 때 나오는 의례적인 고유명사와 같은 반응이 되어버렸다. 2차 스트리밍 이후로는 풍운 스트리밍 기간을 풍운 강점기라고 부르는 지경에 이를 정도...[9][10] 그러다보니 2022년 12월 ~ 2023년 1월 스트리밍 당시 2달 연속 스트리밍이 반영되도록 계획 되어 있었으나 시청자들의 목록 제외 요청이 빗발치며 목록에서 중도 퇴출당하는 등 여러모로 대접도 좋지가 않은 편이다. 시청자들의 반응이 이렇다보니 추가 스트리밍 편성의 가능성도 현재로써는 희박한 상황.

2024년 1월 22일 본 채널에서 풍운을 서비스 목록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하며 '풍운 300 결사대', '풍운강점기'라는 오명을 남기며 스트리밍 최저 시청자 수 기록을 남겼던 풍운 스트리밍도 다시 서비스가 재개되지 않는 이상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 외에도 이순재, 김영애, 선우용여, 김영철 등 원로 배우들의 젊은 시절 모습을 보고 놀라워하는 사람들의 채팅도 많다.


[1] 총괄편 4회까지 포함하면 총 55부작. [2] 조선일보 1982년 12월 28일 12면.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참조.(클릭) [3] 참고로 대신들 앞에서 4분 가량 연설하는 장면을 찍기 위해 금연을 결심했다고 한다. [4] 1982년 10월 말 정동환 배우의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교체됨. [5] 논크레딧. [6] 여담이지만 후에 명성황후에서 흥선대원군 역을 맡는다. [7] 스트리밍 작품 중 가장 오래전에 방영, 전체 스트리밍 최저 시청자 수 1위와 2위, 작품별 스트리밍 시청자 기록 최저 [8] 1982년 방영 작품으로 대부분의 스트리밍 시청자들이 방영 당시에는 보지 못한 작품이다. [9] 시청자 수가 3자리 수대로 접어들거나 600명대 수준에 불과하면 이거 풍운이냐? 풍운만도 못하냐?와 같이 스트리밍 저조의 고유명사화가 되어가고 있다. [10] 1~2차 스트리밍 당시 풍운 스트리밍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본 약 300명 정도의 시청자들에게는 영화 300에서 딴 300명의 풍운전사, 풍운 결사대라는 별명이 붙는다. [11] 태조왕건에 출연했던 배우들을 중심으로 인물 드립은 간간히 이어지기는 했지만, 워낙 오래전 방영된 작품이라 시청자들의 진입 장벽도 높고 모르는 배우들도 많아 전반적으로 낯설어 하는 분위기가 많았다. [12] 이 달 7일부터 '용의 눈물', '정도전', '불멸의 이순신' '천추태후' 순으로 연속 스트리밍이 전개되고 있다. 지난 달까지는 스트리밍이 한 번 종료되면 일정 기간을 두고 다른 작품의 스트리밍이 진행되었지만, 이번 달부터 한 작품의 유튜브 스트리밍이 끝나면 바로 다음 작품의 스트리밍을 하도록 변경했다. [13] 오죽했으면 풍운 스트리밍이 끝나고 '태조 왕건'으로 넘어갈 때 시청자들은 '풍운 강점기'라는 말을 할 정도였다. [14] 해당 작품 이후에 태조 왕건이 12월 27일부터 2023년 1월 6일(당초 1월 3일 종료 예정이었지만, 관리자 사무실 공사로 인해 12월 30일부터 1월 2일 10시까지 일시 중단)까지 스트리밍했고, 뒤이어 다시 '용의 눈물'부터 연속 스트리밍 두 번째 로테이션을 하고 있다. [15] 관복 색깔에서 기인함. [16] 김영애, 강수연 둘 다 각각 2017년, 2022년에 세상을 떠나 고인이 되었다. [17] 김영애가 생전 현대극에서 냉철한 재벌 회장 및 사모 역을 맡은 빈도 수가 많아서 생긴 별명이다. [18] 익선관이 보라색이라서. [19] 최응의 야민정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