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4:01:53

콤프턴 파장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 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 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 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 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 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 SU(3))
입자· 만물이론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 보손 · ( 둘러보기)} · 강입자( 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 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 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 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 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 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 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 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 위그너의 친구) · 교재 }}}}}}}}}

1. 개요2. 공식
2.1. 환산 콤프턴 파장
3. 예시4. 활용5. 관련 문서


Compton wavelength

1. 개요

콤프턴 파장은 아서 홀리 콤프턴에 의해 발견된 콤프턴 효과에서 나타나는 전자의 콤프턴 파장을 모든 입자로 일반화한 개념으로, 질량-에너지 동등성과 연관이 있는 개념이다. 주목하고자 하는 입자가 가진 정지 질량 에너지가 모두 빛 에너지로 바뀌는 상황을 상정할 때 그 빛의 파장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math(\lambda)]로 표기하는데, 특별히 콤프턴 파장임을 나타내기 위해 콤프턴(Compton)의 C를 아래첨자로 써서 [math(\lambda_{\rm C})]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math(\lambda_{\rm C})]는 전자의 콤프턴 파장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는 다른 입자들의 콤프턴 파장 표기와의 통일성을 위해 일반화된 콤프턴 파장은 [math(\lambda_{\rm C})]로, 전자의 콤프턴 파장은 [math(\lambda_{\rm C,\,e})]로 나타냈다.

얼핏 물질파와 비슷해보이지만 근본적으로 둘은 다르다. 물질파는 입자의 정지 질량 - 에너지 전환과 관계 없이 입자의 운동량에 의해 정의되므로 입자가 갖는 이중성과 관련이 깊은 물리량은 물질파이다.

2. 공식

광속 [math(c)], 플랑크 상수 [math(h)]에 대하여, 입자의 정지 질량 에너지는 [math(E = mc^2)]이고 빛의 에너지는 [math(E = h\nu = \dfrac{hc}\lambda)]로 표현되므로 두 식을 연립해서
[math(\begin{aligned} E &= mc^2 = \frac{hc}{\lambda_{\rm C}} \\ \therefore \lambda_{\rm C} &= \frac h{mc}\end{aligned})]

2.1. 환산 콤프턴 파장

플랑크 상수 [math(h)]와 디랙 상수 [math(\hbar = \dfrac h{2\pi})]의 관계처럼, [math(\lambda_{\rm C})]를 [math(2\pi)]로 나눈 값, 즉 [math(\dfrac h{2\pi mc} = \dfrac\hbar{mc})]로 정의된다. [math(\;\bar{}\!\!\!\:\lambda_{\rm C})] 또는 단순히 [math(\bar\lambda_{\rm C})]로도 나타낸다. 양자역학에서는 [math(h)]보단 [math(\hbar)]가 일반적이므로 응용면에서는 이쪽이 좀 더 쓰기 편하다. 다만 활용 항목의 대부분은 자연 단위계를 기반으로 나타내므로 환산 콤프턴 파장을 쓰는 경우는 보기 힘들다.
[math(m = m_{rm P} = sqrt{dfrac{hbar c}G})]인 어떤 입자의 질량이 모두 빛 에너지로 전환될 경우
[math(\;\bar{}\!\!\!\:\lambda_{\rm C} = \dfrac\hbar{m_{\rm P}c} = \dfrac\hbar{\sqrt{\dfrac{\hbar c}G}c} = \sqrt{\dfrac{\hbar G}{c^3}} = l_{\rm P})]
위와 같이 그 빛의 환산 콤프턴 파장은 플랑크 길이가 된다.

3. 예시

공식의 [math(m)]에 각 입자의 정지 질량을 대입해서 얻어진다. 이하의 값의 출처는 모두 2018 CODATA 값이다.

4. 활용

4.1. 슈뢰딩거 방정식

수소형 원자의 경우 퍼텐셜 에너지가 쿨롱 법칙에 따라 [math(V(r) = -\dfrac1{4\pi\varepsilon_0}\dfrac{Ze^2}r)]로 주어지므로
[math(i\hbar\dfrac\partial{\partial t}\psi = -{\left(\dfrac{\hbar^2}{2m}\boldsymbol\nabla^2 + \dfrac1{4\pi\varepsilon_0}\dfrac{Ze^2}r\right)}\psi)]
양변을 [math(\hbar c)]로 나누면 우변에서 제1항의 계수가 [math(\cfrac{\;\bar{}\!\!\!\:\lambda_{\rm C}}2)]가 되고 제2항에 미세구조상수 [math(\alpha = \cfrac{e^2}{4\pi\varepsilon_0\hbar c})]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math(\dfrac ic\dfrac\partial{\partial t}\psi = -{\left(\dfrac{\;\bar{}\!\!\!\:\lambda_{\rm C}}2\boldsymbol\nabla^2 + \dfrac{\alpha Z}r\right)}\psi)]
로 표현이 가능하다.

4.2. 클라인-고든 방정식

[math(\boldsymbol\nabla^2\varPsi - \dfrac1{c^2}\dfrac{\partial^2}{\partial t^2}\varPsi = {\left(\dfrac{mc}\hbar\right)}^2\varPsi)]
에서 우변의 계수가 [math(\dfrac1{{\;\bar{}\!\!\!\:\lambda_{\rm C}}^2})]이므로 달랑베르시안 [math(\square)]까지 도입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left(\square + \dfrac1{{\;\bar{}\!\!\!\:\lambda_{\rm C}}^2}\right)}\varPsi = 0)]

4.3. 디랙 방정식

[math(-i\gamma^\mu\partial_\mu\psi + {\left(\dfrac{mc}\hbar\right)}\psi = 0)]
이므로 상기 클라인-고든 방정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math({\left(-i\gamma^\mu\partial_\mu + \dfrac1{\;\bar{}\!\!\!\:\lambda_{\rm C}}\right)}\psi = 0)]
으로 나타낼 수 있다.

4.4. 뤼드베리 상수

뤼드베리 상수 [math(R_\infty)]는 미세 구조 상수 [math(\alpha)]와 전자의 콤프턴 파장 [math(\lambda_{\rm C,\,e})] 혹은 전자의 환산 콤프턴 파장 [math(\;\bar{}\!\!\!\:\lambda_{\rm C,\,e})] 을 이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math(\begin{aligned} R_\infty &= \frac{m_{\rm e}e^4}{64\pi^3{\varepsilon_0}^2c\hbar^3} \\ &= \frac1{4\pi}{\left(\frac{e^2}{4\pi\varepsilon_0c\hbar}\right)}^2\frac1{\dfrac\hbar{m_{\rm e}c}} \\ &= \frac{\alpha^2}{4\pi\;\bar{}\!\!\!\:\lambda_{\rm C,\,e}} = \frac{\alpha^2}{2\lambda_{\rm C,\,e}}\end{aligned})]
위 식을 이용하면 각종 물리 상수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뤼드베리 상수 식을 비교적 용이하게 외울 수 있다. 미세 구조 상수는 전자 2개의 정전기적 척력 에너지 공식 [math(E = \cfrac{e^2}{4\pi\varepsilon_0r})]에서 [math(r \to c\hbar)]로 치환된 꼴과 같고 [math(\;\bar{}\!\!\!\:\lambda_{\rm C,\,e} = \cfrac\hbar{m_{\rm e}c} = \cfrac{\lambda_{\rm C,\,e}}{2\pi})]로 비교적 간단하므로 [math(R_\infty = \dfrac{\alpha^2}{2\lambda_{\rm C,\,e}})]로 암기해놓으면 편하다. 아울러 미세 구조 상수는 무차원량이며 콤프턴 파장은 차원이 [math(\sf L)]이므로 뤼드베리 상수가 [math(\sf L^{-1})] 차원을 갖는다는 것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5. 관련 문서


[1] 일반적으로는 아래 첨자를 [math(\rm C)] 혹은 [math(\rm e)]로만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