챌린저 전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순항전차에 대한 내용은
A30 챌린저 문서, 이 전차의 후속차량에 대한 내용은
챌린저 2
문서
참고하십시오.
|
FV4030/4 Challenger |
1. 개요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챌린저 1 기동 영상 |
2. 제원
FV4030/4 Challenger FV4030/4 챌린저 |
|
개발사 | 로열 오드넌스 팩토리즈 |
빅커스 디펜스 시스템즈 | |
중량 | 59.5톤 |
전장 | 11.5m (포신 길이 포함) |
전폭 | 3.51m |
전고 | 2.95m |
승무원 | 4명 (전차장, 포수, 탄약수, 조종수) |
장갑 | 복합장갑 (영국제 Chobham 장갑) |
주포 | 120mm L/55 로열 오드넌스 L11A5 강선포 |
120mm L/55 로열 오드넌스 L30A1 강선포[1] | |
부무장 | 7.62mm L8A2 |
7.62mm L37A2 | |
엔진 | Rolls-Royce/ Perkins CV12 디젤 엔진 (1200마력) |
출력비 | 19.34 hp/t |
현가장치 | 하이드로가스 서스펜션 |
항속 거리 | 450km(도로) |
최대 속도 | 56km/h |
생산 대수 | 420대 |
3. 개발 과정
원래 챌린저 1은 영국군의 요구로 개발이 시작된 전차는 아니었다.1970년대에 영국제 치프틴 전차를 도입했던 팔레비 왕조 시대의 이란은 당대 서방 전차 중 극강의 방어력과 화력을 자랑했던 치프틴을 높이 평가했고, 이에 근거하여 이란군 차세대 전차 산업으로 치프틴 기반 신형전차를 영국에 의뢰했다. 이 무렵 영국 육군 역시 치프틴을 대체할 치프틴 이후의 3세대 주력전차를 요구했기 때문에, 치프틴을 개발한 레일랜드 사를 인수한 빅커스 사는 새로운 전차 개발에 나서게 된다.
당시 이란 차세대 전차 산업으로는 치프틴을 베이스로 Shir 1(FV4030/2)과 Shir 2(FV4030/3) 전차가 개발되고 있었으며, 동시에 다른 프로젝트인 MBT-80이 차세대 영국군 MBT 계획으로 개발되고 있었다. 그러나 1979년에 발생한 이란 혁명으로 인해 Shir 1과 Shir 2의 수출 판로가 막히게 됐다.[2] 전차 수출 프로젝트가 무산되면서 빅커스사는 경영 위기에 빠졌고, 영국 정부는 빅커스사의 파산을 막기 위해 신속한 차세대 전차 선정에 나섰고, 빅커스 사는 Shir 2를 기반으로 영국군 요구 사항에 맞게 대폭 개량한 FV4030/4 전차 설계안을 만들었다.
동시기에 MBT-80와 '샤'로 2개의 전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던 만큼 영국군은 프로젝트 둘 중 하나 만을 골라야하는 상황이었는데, 영국군은 최종적으로 방호력과 운용 안정성, 화력, 예산 등의 면에서 샤 2의 개량안인 FV4030/4에 MBT-80 보다 더 높은 평가를 내렸다. 결국 FV4030/4가 채택되면서 빅커스는 Shir 프로젝트에 투자한 개발비를 회수할 수 있게 되었고, 영국 육군은 수출형 전차 기반임을 감안해도 충분한 성능의 전차를 제식화하게 되어 둘 다 만족할만한 결론이 나오게 됐다. 1983년부터 FV4030/4는 챌린저라는 이름으로 실전배치가 이루어진다.
4. 배치 이후
챌린저는 영국군이 제식 채용한 전차 중 처음으로 복합장갑을 채용한 전차이다. 이 영국제 복합장갑은 초밤아머로 불리며, 동세대 서방제 전차중 챌린저의 방어력은 KE 500mm로, 열화우라늄 복합장갑이 적용된 M1A1 HA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가장 높았다. 챌린저는 서방권 3세대 전차 중에 가장 무거운 전차였음에도, 엔진출력은 가장 낮은 전차 중 하나라[3] 기동성 면에서 당시 만들어진 타 서구권 MBT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렸으나, 영국군은 교전 교리상 전차의 기동성 우선도가 낮았기에 큰 단점은 아니었다. 단, 치프틴의 심각한 기동성은 이미 영국군이 인식하고 개량을 요구했다.1987년 NATO지상 사격 대회에 출전한 챌린저 전차병 팀들이 매우 안좋은 성적을 보여 망신을 당했다. 치프틴을 굴릴 때는 상위권의 성적을 올리던 것과 비교되어 더 망신살이 뻗쳤다.[4]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앞서 대회에서 문제를 보였던 승무원들의 미숙을 해결하기 위해 훈련 과정을 강화하고, 더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 전자 장비와 사통 장비를 개선하기 위해 전차량에 TOGS[5] 와 GPS 등을 장착했다.
결국 걸프전에서 157대의 챌린저 1을 파견하여 300대가 넘는 이라크군 전차를 파괴하면서 단 한 대도 손실되지 않았으며,[6] 4.7km 밖에 있는 T-55를 날탄 일격에 격파하는 등의 우수한 업적을 달성하게 된다.
덧붙여, 걸프전을 전후해 챌린저 1에도 여러가지 개량이 가해지게 되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Mk.3 개량이다.
|
하지만 챌린저는 영국군이 처음부터 요구한 전차가 아니었던 만큼 영국군은 1980년대 후반이 되면서 새로운 전차 계획을 요구했다. 이에 빅커스사는 영국제 MVEE 차체[8]에 빅커스 MBT Mk.7의 Universal 포탑을 개량한 포탑을 장착하고 강화된 신형 초밤장갑을 적용한 FV4034 전차를 개발하였고, 1991년 영국 국방성에서 FV4034의 구매와 채택을 확정지으면서 영국군의 차기 전차로 채택되었다. 이 FV4034 전차가 받은 제식명이 챌린저 2로, 이때 FV4030/4 챌린저는 챌린저 1으로 개명된다.
1998년부터 영국군의 전차들이 챌린저 2로 대체되면서 챌린저 1의 퇴역이 시작되었으며 2001년에 영국군에서 완전히 퇴역하게 된다. 이 때 퇴역하게 된 챌린저 1을 포함해 총 392대의 챌린저 1이 요르단으로 수출됐다. 챌린저 2가 본격적으로 배치되자 챌린저 1이 빠르게 퇴역한 이유는 챌린저 2와의 부품 호환성 문제가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9]
5. 형식
5.1. Mk 1
최초 생산형. 1983년에서 1985년동안 109대가 생산되었다.5.2. Mk 2
포탑 우측에 열영상 포수 조준경(TOGS) 장비를 장착했다. 1985년에서 1986년동안 155대가 생산되었다. 이 파생형까지 습식 탄약고를 유지했다.5.3. Mk 3
탄약고를 포함한 내부 개선, 사격통제장치 개선, 약간의 차체 수정이 가해졌고[10], 후방 연료탱크를 간편하고 빠르게 분리할 수 있다. 1986년에서 1990년동안 156대가 생산되었다.6. 파생형
-
Challenger Control/Command
장거리 통신장비를 탑재한 지휘차량.
-
Challenger ARRV(CRARRV)
챌린저 1 차체 기반 기갑 수리 및 구난차량. 현재도 영국군에서 챌린저 2와 더불어 사용중이다.
-
Challenger Dozer
지뢰 제거 체계를 갖춘 피어슨 전투 도저 블레이드 차량.
-
Challenger Training Tank(CTT)
훈련용 차량. 포탑 대신 교관 2명, 훈련생 4명이 탈 수 있는 상부 구조물이 대체했다. 주행 훈련용으로 쓰이며, 불도저 차량이나 구난차량으로도 쓸 수 있다.
-
알 후세인 전차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 개발 설계국에서 개발한 챌린저 1의 개량형이다. 요르단 전 국왕 후세인 1세를 따와서 명명되었다. 루아그( RUAG)사의 스위스제 GTC 120mm 50구경장 활강포 장착과 레이시온 사의 사격통제 시스템 장착 등의 개량을 거쳤으며, 추가 개량이 시도되면서 여러 현지 개량형 차량들이 나오게 됐다.
-
Challenger 1 Falcon
KADDB에서 개발한 팔콘 무인포탑을 장착한 버전이다. 2003년 프로토타입이 공개되었고, 요르단군의 챌린저들을 이 사양으로 개량하는 계획도 있었지만 해당 계획은 2016년에 보류되었다.
7. 실전
7.1. 걸프 전쟁
영국군 소속으로 221대가 투입되었다.7.2. 보스니아 전쟁
|
IFOR 소속 챌린저 1 Mk. 3 |
7.3. 코소보 전쟁
KFOR 소속으로 투입되었다.8. 운용국
8.1. 영국
|
덕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 챌린저 1 |
8.2. 요르단
영국에서 퇴역이 시작된 이후 402대 가량을 수입하였으며, 영국 외의 유일한 챌린저 1 사용 국가이다. 도입 이후 개량을 거쳐 알후세인 전차로 업그레이드 되었다.이후 르클레르 전차와 첸타우로 장갑차, SPz 마르더로 서서히 대체되었고, 2023년 1월에 전량 퇴역해서 치장물자로 전환되었다.
8.3. 오만
공병용 CRARRV 4대를 운용중.8.4. 우크라이나
챌린저 2와 함께 CRARRV를 공여받았다.9. 미디어
9.1. 영화
9.1.1. 미스터 빈의 홀리데이
미스터 빈의 캠코더를 깔아뭉게버렸다.9.2. 드라마
9.2.1. 닥터후
시즌 2 크리스마스 스페셜에서 나타나 라크너스 여제의 우주선을 박살내버렸다.9.3. 게임
9.3.1. 도미네이션즈
디지털 시대의 중장갑 기병인 MBT Mk4로 등장한다.자세한 내용은 중장갑 기병 문서 참고하십시오.
9.3.2. 워게임: 레드 드래곤
챌린저1 mk.1, mk.2, mk.3이 등장한다. 떡장, 피통 돼지, 적절한 명중률과 관통력을 보유했다. 안 좋은 기동&느린 연사 속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앞에 나온 성능들이 탁월한데다, 게임의 트렌드 자체가 챌린저 시리즈 전차들에게 맞게 돌아가고 있어, 현재 영국을 최강의 기갑 깡패 국가로 만든 전차들.9.3.3. WARNO
워게임 시리즈의 후속편인 워노에서도 등장한다. 1989년 배경의 게임으로 챌린저 1 Mk.2, Mk.3이 등장한다. 고급 탱크로 T-55나 T-62는 멀리서 쉽게 제압할 수 있고 T-80이나 T-72, T-64 개량형들과 전투력이 비슷하며 공산권 최강 전차인 T-80U보단 약하다.개활지 장거리 전투에 강하지만 값이 매우 비싼 편이므로 헛되이 죽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더 강한 T-80U는 매복해서 근접전이나 측면공격으로 상대하고 동급 전차들은 다른 유닛들과 함께 머릿수로 제압해야 한다. 또한 약한 전차들의 측면 매복을 조심해야 한다.
9.3.4. 아머드 워페어
현재 챌린저 1이 7티어 MBT로 구현되어있다. 풀업시 동티어에서 꽤 좋은 전차가 된다. 처음에는 mk.1 사양이지만, 업그레이드를 완료하면 mk.3+L30A1을 얹은 챌린저 1의 최종 개수형이 된다. 동티어 타주력전차에 비해 한 방 데미지나 관통력이 모자르나[11], (mk.3 사양 기준으로) 어마어마한 장갑과 동티어 1위 피통을 가지고 있다. 기동도 답답하긴 하지만 못 쓸 정도는 아니고, 무엇보다 기본 명중에서 탁월한 성능을 자랑한다. 명중에 대해 말이 많았으나, 제작진 입장은 '챌린저1의 성능은 실전에서 검증이 되었고, 명중은 밸런스 요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상관 없다.'이다.[12] 물론 현재 베타 단계이기 때문에 추가 성능 조정은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9.3.5. Tanktastic
여기서도 영국트리로 나오시는데 노업이 39티어다. 여기까지는 문제 없다. 그런데 이제부터 문제다...HEAT탄이 없다(...). 하긴 챌린저 2도 HEAT탄이 없다. 그런데 다행히도 탄이 있는데 고속철갑탄이다. 1이랑 2 다 같이 말이다. 다만 방어력과 체력은 좋아서 저티어계의 메르카바 4로 불리기도 한다. 단, 저티어에서 그렇다고 했다. 그리고 heat탄 없어도 충분히 고속철갑탄으로 상대가 가능하다. 고속철갑탄은 데미지가 적지만 장갑이 두꺼운 전차에게 사용하면 효과가 좋은 탄이기 때문에 노업 t72을 격파하는 것도 노릴 수 있다. 다만 50티어 이상으로 가면 t72이랑 차이가 엄청 많이 난다. 그리고 이때부터 노업 기준으로도 데미지가 421인 C1 아리에떼가 나올 수도 있다. 이런 아이들 만나면 결국 독 안에 든 쥐가 되는 것이니 되도록이면 풀업이나 티어 50이상으로 올리지 말자. 챌린저1은 풀업 안 해도 충분히 좋은 전차다.9.3.6. 워 썬더
현재 챌린저 1 이 DevBlog 등에서 모델링 사진과 함께 올라왔다. 이후 챌린저 1 Mk 2 가 1.77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고 Mk 3 버전이 신규전차로 1.85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챌린저 1 Mk.2 | 챌린저 1 Mk.3 |
현실에선 치프틴에도 적용되어있는, 피격시 포탄의 유폭을 막아주는 습식 탄약고가 게임에서는 구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챌린저는 차량내 탄약이 피격당한다면 거의 확실히 격파당한다. 문제는 챌린저 1의 탄약배치가 일단 뚫리면 탄약이 터지는 수준으로 되어있다는 것. 그리고 챌린저의 포탑과 달리 차체는 뚫기가 쉽다. 따라서 머리만 내놓고 저격하는 플레이가 강제되며, 운용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9.3.7. 강철의 왈츠
특전차의 중형 전차로 등장했다.10. 모형화
- 1/35
-
타미야 모형
1986년 제품이지만 사장이 영국군 매니아라는 썰이 있는 타미야답게 품질은 상당히 괜찮다. 동 시대 제품들에 비해 디테일이 좋은 편이다. 기본형과 Mk.3가 출시되었다.
- 1/72
- 1/76
-
레벨
1988년 금형이라 품질은 그저 그렇다.
11. 둘러보기
현대 요르단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요르단군 (1920~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أردنية |
||||
<colbgcolor=#ffffff,#191919> MBT |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 타리크R | |||
2세대 | M60A1R, M60A3 | ||||
3세대 | 칼리드, 알 후세인 | ||||
3.5세대 | 르클레르 전차L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FV701 페렛, AT105 색슨, 라텔, B1 첸타우로, M1224 맥스프로, 포스 프로텍션 쿠거 4x4/6x6, BAE 시스템즈 RG-33L, 파라마운트 그룹 마타도어, 음봄베 AIVL | |||
궤도장갑차 | M113A2MK-1J, YPR-765, 마르더 1A3, FV101 스콜피온, FV103 스파르탄, FV107 시미터 | ||||
차량 | 소형 | ||||
트럭 | FMTV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9A2/A2-90, M110A2 | |||
자주박격포 | M106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M163 VADS, PTRL, 판치르-S1E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판치르-S1E | ||||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WM-12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공여 및 도입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요르단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주포 개수형 버전
[2]
그나마 Shir 1의 경우 요르단이 사격 통제 장치 등을 조금 손 본 다음에 일부 차량을 도입했다.
[3]
대한민국 국군
K1 전차도 1200 마력이기는 하다. 더불어 3.5세대인 일본 육상 자위대의
10식 전차도 1200 마력 엔진을 쓰고있다. 물론 무게는 K1이나 10식이 챌린저1보다 가볍다. 이 기동성 문제는 같은 출력이지만 10톤 가까이 더 무거워진
챌린저 2에서도 지속된다.
[4]
이 당시 출전한 영국군 Royal Hussar 소속 승무원들은 TOGS가 안 달린 구식
치프틴을 몰았고, 이 대회 준비도 챌린저가 아닌 치프틴으로 했다고 한다. 즉, 챌린저 운용에 미숙했던 것이다.
[5]
Thermal Observation and Gunnery System. 열영상 장비와 포수 시스템의 약자이다.
[6]
대전차로켓에 여러발 피격당하고도 기지로 무사히 생환한 사례가 있다고 한다.
[7]
이전의
치프틴 전차와 비슷한 수준이다.
[8]
챌린저 1을 기반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차체의 기본 레이아웃은 챌린저 1과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변화는 많이 생겼다.
[9]
두 전차가 기술적으로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탄약체계는 같아도 부품 호환율은 많아도 10% 내외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챌린저 2의 포탑을 챌린저 1 차체에 올리는 등의 영국군이 검토했던 챌린저 1의 개량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10]
복합장갑과 방어력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11]
120mm,
125mm 활강포 대비. M1 전차가 장착한 105mm M68에 비하면 관통력은 살짝 열세, 데미지는 우세이다.
[12]
걸프전 당시 이라크에서 영국군 챌린저 1이 4.7km 밖에 있는 T-55를 초탄에 격파하는 등 여러 모로 챌린저 1이 활약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