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7:39:56

짜끄리 왕조

차크리 왕조에서 넘어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d309, #ffe800 20%, #ffe800 80%, #e6d309); color: #D500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d50000> 짜끄리 왕조
<rowcolor=#d50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라마 1세|라마 1세
(푸타욧파 쭐랄록)
]]
라마 2세
(푸탈릇라 나팔라이)
[[라마 3세|라마 3세
(낭끌라오)
]]
라마 4세
(몽꿋)
<rowcolor=#d50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라마 5세|라마 5세
(쭐랄롱꼰)
]]
라마 6세
(와치라웃)
라마 7세
(쁘라차티뽁)
[[라마 8세|라마 8세
(아난타 마히돈)
]]
<rowcolor=#d50000> 제9대 제10대
[[라마 9세|라마 9세
(푸미폰 아둔야뎃)
]]
라마 10세
(와치랄롱꼰)
}}}
태국 총리
아유타야 왕조 · 톤부리 왕조
}}}}}} ||

짜끄리 왕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51931 10%, #F4F5F8 10%, #F4F5F8 15%, #2D2A4A 15%, #2D2A4A 85%, #F4F5F8 85%, #F4F5F8 90%, #A51931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A51931> 상징 통 트라이롱
역사 역사 전반
사회 사회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태국 국왕 · 태국 총리 · 짜끄리 왕조 · 2020년 태국 민주화 운동
외교 외교 전반 · 태국 여권 · ASEAN · APEC · IPEF
경제 경제 전반 · 태국 바트
국방 태국군 · 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태국
교통 수완나품 국제공항 · 돈므앙 국제공항 · 푸켓 국제공항 · 철도 환경( 태국국유철도 · 방콕 도시철도) · 차오프라야 익스프레스 보트 · 클롱 샌 샙 보트 · 뚝뚝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세계유산 · 송끄란 · 쑤타이 · 태국어( 태국 문자) · 태국 영화 · 태국 방송
관광 관광 전반 · 방콕 왕궁 · 왓 아룬 · 왓 포 · 왓 프라깨오
스포츠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 타이 리그 1 · 태국 풋살 국가대표팀 ·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 무에타이
지리 방콕 · 이싼
민족 태국인 · 중국계 태국인 · 말레이계 태국인
}}}}}}}}} ||}}}

<colbgcolor=#ffe800><colcolor=#D50000>
짜끄리 왕조
ราชวงศ์จักรี
파일:2000px-Emblem_of_the_House_of_Chakri.svg.png
건립일 1782년 4월 6일
창립자 라마 1세
現 수장 라마 10세
국가 타이 왕국

1. 개요2. 역사3. 위상4. 재산5. 역대 국왕6.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the chakri dynasty.jpg

짜끄리 왕조(ราชวงศ์จักรี, Ratchawong Chakkri)는 오늘날 태국을 통치하는 군주의 왕조이다. 라따나꼬신 왕조, 방콕 왕조 등으로도 불리며, 로마자 표기에서 취음하여 차크리 왕조라고도 한다. 현재 라마 10세 태국 국왕으로 재위해 있다.

짜끄리는 왕가 성씨가 아니다. 직역하면 ' 차크람을 가진 자'라는 뜻으로 비슈누를 가리키는 태국어 표현이다. 원래는 짜끄리 왕조 이전의 아유타야 왕조 및 딱신 대왕 시절 태국의 대재상에게 붙었던 칭호인데 짜끄리 왕조 초대 국왕 라마 1세가 이를 자신이 개창한 왕조의 이름으로 채택한 것이다.[1]

2. 역사

시암을 세운 딱신 대왕은 말년에 정신병에 걸려 부처라고 자칭하고 포악한 정치를 펼친 탓에 강제로 구금되어 짜끄리에게 시해 당했다. 그러나 사실 딱신 왕은 버마의 공격에서 국민들을 지키려고 희생하던 자이며 태국인이 아닌 신분이 낮은 중국계 모친을 둔 짜끄리는 항상 차별의 대상이였고 전쟁 등 혼란 속에서 신뢰를 얻은 짜끄리는 항상 탁신 왕을 배신할 준비를 해두었다.

짜끄리 장군은 라마 1세로 즉위하면서 짜끄리 왕조를 개창했다. 라마 5세 시대에 이르면 제국주의의 물결이 동남아를 휩쓸게 되었다. 라마 5세는 서구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개혁을 행했다. 또한 서쪽의 영국(영국령 인도 제국)과 동쪽의 프랑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외교술(대나무 외교)을 행해, 그 과정에서 상당한 영토를 열강에 넘겨주는 대신 시암의 독립을 지킬 수 있었다.

1932년에는 혁명이라는 이름의 쿠데타가 일어나 국호도 타이(태국)으로 바뀌고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가 되면서 국왕의 권력은 크게 제한되었다. 그를 대신해 혁명을 일으킨 군사독재자 쁠랙 피분송크람이 독재를 행했다. 당시 국왕 라마 7세는 퇴위했고, 후계자인 라마 8세는 꼭두각시 노릇만 하다가 1946년에 사고로 사망했다.

1946년에 즉위한 라마 9세는 쁠랙 피분송크람이 권력을 잃은 후 여러 군부 실력자끼리의 다툼과 민주화 운동 사이에서 자신의 권위를 이용해 다툼의 중재자 역할을 맡아 1932년 쿠데타로 추락했던 국왕의 권위와 실질직 권력을 드높였다. 그의 행보는 많은 태국인들의 칭송을 받았지만 동시에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3. 위상

태국에서 국왕 및 왕가가 갖는 위상은 여타 입헌군주국에 비해서도 절대적이다. 이는 왕가가 제국주의의 물결에서 독립을 지키는 데 기여했고, 또한 현대 태국에서 정국을 안정시키는 주요 중재자로 기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명성 등이 바탕이 되어서인지, 태국에서는 과거 전제군주제 국가마냥 국왕 및 왕가 비판을 강력히 응징하고 있다. 태국에서 국왕 및 왕가에 대한 비판은 금지되어 있으며, 어기면 최고 징역 15년에 처해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태국에서 국왕 및 왕가를 비판하는 소수 세력은 비밀리에 활동한다. 2000년대 및 2010년대를 기점으로 왕실 비판이 상당히 늘기는 했지만 국가의 탄압 등의 이유로 그 세력은 미미하다.

경제, 정치, 군부, 관료, 민중에 깊은 영향력을 가진 왕가는 태국 정치지형을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한 키포인트다.

4. 재산

태국 왕가의 자산은 무려 50억 달러 규모로 세계 왕가 중에서 5위라고 한다. 1위 부터 4위가 산유국 임을 감안하면 비산유국 중에서는 가장 많다. 호주 ABC뉴스 등에서는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라마 9세)의 재산 규모는 약 300억~400억 달러(약 34조~45조 원) 수준으로, 전 세계 왕실 가운데 가장 많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태국 왕실의 재정을 담당하는 국왕자산관리국(Crown Property Bureau)은 태국 최대의 은행인 시암커머스뱅크와 최대 규모의 기업인 시암 시멘트 그룹 등 100여 개 기업을 소유하고 있다. 왕가의 재산이 태국 총자산의 10%를 차지한다. 즉 재벌 총수로서 정치와 재계 모두에 강력한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뜻. 또한 부동산 재벌이기도 하여 수도 방콕을 중심으로 7천만 제곱미터의 땅을 가져 한해에만 한화 900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기도 하다. 그 토지에는 관료건물 등도 있는데 관료들과 왕실의 밀접한 관계를 암시해준다. 기사

그외 쇼핑몰, 병원, 중공업,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 왕실이 관여하고 있다. 병원 의료 제도의 경우는 저렴한 의료비를 통해 서민 복지를 제공하거나 심지어는 무상 의료 병원을 지역별로 지정하는 등의 긍정적인 모습도 띠고 있으나 실제론 의료 서비스의 질이 낮다보니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도 이렇다할 개선책이 없다.

이렇게 태국 왕실이 재계를 장악한 원인은 19세기 태국이 근대화를 시작하면서 대부분의 기간사업이 왕실의 자금을 통해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사업에서 나는 이익은 물론 왕실로 흘러들어 갔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이렇다할 실권을 행사하지 못하니 정치 대신에 재력에 집중한 것이다.

왕실 재산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정부의 감시도 받지 않고 재산 관리 내역도 명확히 공개되지 않는다. 왕가가 신성불가침의 영역이기 때문에 재산 관리도 비공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왕가의 재정에 대한 비판을 하려고 해도 왕가에 대한 비판을 코렁탕으로 다스리는 나라다보니 쉽지 않다. 관련 기사
파일:nytimes_2015_12_04_thai.jpg
왕실 재정관리의 불투명성을 다루는 기사를 보도한 2015년 12월 3일자 뉴욕타임즈 태국판. 해당 내용이 위에 말한 왕실모독금지법 때문에 검열삭제 당했다. 검열 기사 내용

쿠데타가 잦고 정치 불안이 심한 현대 태국에서 외국인을 포함한 많은 사업가들이 가장 신뢰하는 파트너가 바로 왕실이다. 태국 정치 불안정의 주요 원인인 군부가 왕실을 건드릴 수 없기 때문에 왕실은 안정적으로 재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래서 태국 왕실과 선이 닿으면 안정적으로 사업을 유지할 수 있다.

5. 역대 국왕

짜끄리 왕조의 국왕들에게 붙은 '라마'는 힌두교 비슈누의 화신 라마를 의미하며, 왕의 이름이 아니다.

과거 태국의 국왕들은 신성화 차원에서 간혹 자신을 라마와 동일시하도록 했는데, 서구화를 이루게 되면서 서양의 왕국들이 ''XX n세"로 왕호를 칭하던 것을 본받고자 했으나 이는 군주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던 태국의 관습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국왕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고 1대 국왕 하는 식으로 대수를 붙여 말했는데, 여기에 태국 국왕을 상징하는 라마를 덧붙인 것이 "라마 X세" 식으로 정착한 것이다. 이러한 관습을 시작한 것은 라마 6세이다.
대수 왕호 재위기간
시작 종료
1대 라마 1세
풋타엿파쭐라록 대왕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พุทธยอดฟ้าจุฬาโลกมหาราช
(1736 ~ 1809)
1782년 4월 6일 1809년 9월 7일
2대 라마 2세
붓다 르뜰라 납할라이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พุทธเลิศหล้านภาลัย
(1766 ~ 1824)
1809년 9월 7일 1824년 7월 21일
3대 라마 3세
제싸다보드인드라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มินทรมหาเจษฏาบดินทร์ฯ พระนั่ง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1787 ~ 1851)
1824년 7월 21일 1851년 4월 2일
4대 라마 4세
몽꿋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จอม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1804 ~ 1868)
1851년 4월 3일 1868년 10월 1일
5대 라마 5세
쭐랄롱꼰 대왕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จุลจอม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พระปิยมหาราช
(1853 ~ 1910)
1868년 10월 2일 1910년 10월 23일
6대 라마 6세
바지라부드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มงกุฎ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1881 ~ 1925)
1910년 10월 23일 1925년 11월 26일
7대 라마 7세
쁘라자디뽁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ก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1893 ~ 1941)
1925년 11월 26일 1935년 3월 2일
8대 라마 8세
아난다 마히돈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เมนทรมหาอานันทมหิดล พระอัฐมรามาธิบดินทร
(1925~ 1946)
1935년 3월 2일 1946년 6월 9일
9대 라마 9세
푸미폰 아둔야뎃 대왕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มินทรมห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
(1927~ 2016)
1946년 6월 9일 2016년 10월 13일
10대 라마 10세
마하 와치랄롱꼰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มหาวชิราลงกรณ
(1952~ 현재)
2016년 10월 13일 재위 중

6. 기타

짜끄리 왕조에는 라마 1세부터 내려오는 흉흉한 예언이 전해지는데, 바로 9대에서 왕조의 수명이 다할 것이라는 예언이다. # 다만 이는 짜끄리 왕조에 비판적인 작품이기 때문에 비슷한 네팔 프리트비 나라얀의 설화를 태국에 맞춰 억지로 끼워넣은 것일 수도 있다. 이와 네팔의 그 설화도 네팔의 군주제가 폐지된 후에 본격적으로 유명해진 이다. 다만 이런 근거 없는 썰이 퍼진 것 자체가 태국 국민들의 민심이 예전에 비해 눈에 띄게 달라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가들은 총 131개(라마 1세의 형제들과 라마 1세부터 7세까지의 자손들이 시조인 91개, 부왕들이 시조인 40개)로 이 가문들은 랏짜사꾼(Ratchasakun, ราชสกุล)이라 불린다.


[1] 태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성씨가 없었는데 20세기 태국에서 서구화의 일환 및 주민등록 관리 편의를 위해 성씨가 도입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