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2e319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e3192>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2e3192>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가마실로 · 개좌로 · 고분로 · 공단동로 · 공단로 · 공단서로 · 구서로 · 구서온천천로 · 구서중앙로 · 금강로 · 금단로 · 금사로 · 금샘로 · 금정도서관로 · 금정로 · 기찰로 | |
ㄴ | 남문로 · 남산로 · 노포사송로 · 놀이마당로 | ||
ㄷ | 동대로 · 동문로 · 동부곡로 · 동천로 · 동현로 · 대두로 · 두구로 · 두실로 | ||
ㅁ | 명서로 · 무학송로 | ||
ㅂ | 반송로 · 벅구산로 · 범어사로 · 범어천로 · 부곡로 · 부곡온천천로 · 부산대학로 · 북문로 | ||
ㅅ | 사천로 · 산성로 · 삼어로 · 삼차로 · 상현로 · 서곡로 · 서금로 · 서동로 · 서동중심로 · 서명로 · 서부곡로 · 서부로 · 석대로 · 소정로 · 수림로 · 수원지로 · 식물원로 · 시실로 · 신천로 | ||
ㅇ | 안뜰로 · 영천로 · 오륜대로 · 오시게로 · 옥봉로 · 온천장로 · 윤산로 | ||
ㅈ | 장전로 · 장전온천천로 · 정관산업로 · 중군진로 | ||
ㅊ | 철마로 · 청룡로 · 청룡예전로 · 체육공원로 | ||
ㅍ | 팔송로 | ||
ㅎ | 하정로 · 학산로 · 회천로 | ||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10px -10px" | <tablebordercolor=#fe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e0><colcolor=#000> ㄱ | 가동3로 · 개좌로 · 고무로 · 고촌로 · 구연1로 · 구연2로 · 구연3로 · 구연4로 · 구연로 · 구연방곡로 · 기장해안로 | |
ㄷ | 당사로 · 대변1로 · 대변로 · 대청로 · 동부산관광1로 · 동부산관광2로 · 동부산관광3로 · 동부산관광4로 · 동부산관광5로 · 동부산관광6로 · 동부산관광7로 · 동부산관광8로 · 동부산관광9로 · 동부산관광10로 · 동부산관광로 · 두메로 | ||
ㅁ | 매학용수로 · 명례산단1로 · 명례산단2로 · 명례산단3로 · 명례산단4로 · 명례산단5로 · 명례산단6로 · 명례산단7로 · 명례산단로 · 모전로 · 무양로 | ||
ㅂ | 반룡로 · 반룡산단1로 · 반룡산단2로 · 반룡산단3로 · 반룡산단로 · 반룡산단진입로 · 반송로 · 방곡1로 · 방곡2로 · 방곡3로 · 방곡4로 · 방곡5로 · 방곡로 · 배산로 · 병산2로 · 병산로 | ||
ㅅ | 산단1로 · 산단2로 · 산단3로 · 산단4로 · 산단5로 · 산단6로 · 산단7로 · 산단8로 · 산단로 · 신소재산단1로 · 신소재산단2로 · 신소재산단로 · 신정관로 · 신좌천로 | ||
ㅇ | 안평로 · 에코산단1로 · 에코산단2로 · 에코산단로 · 여락송정로 · 예림1로 · 오리산단1로 · 오리산단2로 · 오리산단3로 · 오리산단4로 · 오리산단5로 · 오리산단6로 · 오리산단7로 · 오리산단8로 · 오리산단로 · 용수로 · 읍내로 · 의과학1로 · 의과학2로 · 의과학3로 · 의과학4로 · 의과학5로 · 의과학6로 · 의과학7로 · 의과학8로 · 의과학로 · 이화로 · 일광로 | ||
ㅈ | 장안로 · 장안산단1로 · 장안산단2로 · 장안산단3로 · 장안산단4로 · 장안산단5로 · 장안산단6로 · 장안산단7로 · 장안산단8로 · 장안산단9로 · 장안산단로 · 정관1로 · 정관2로 · 정관3로 · 정관4로 · 정관5로 · 정관6로 · 정관7로 · 정관8로 · 정관로 · 정관산업로 · 정관중앙로 · 좌천로 · 좌해로 · 죽성로 | ||
ㅊ | 차성남로 · 차성동로 · 차성로 · 차성서로 · 천산로 · 철마로 · 철마삼동로 · 철마천로 · 청강로 · 청연로 · 체육공원1로 · 체육공원2로 | ||
ㅌ | 통신사로 | ||
ㅎ | 학리등대로 · 해맞이로 · 해빛1로 · 해빛2로 · 해빛3로 · 해빛4로 · 해빛5로 · 해빛6로 · 해빛로 · 해송1로 · 해송2로 · 해송3로 · 해송4로 · 해송로 · 협동로 | ||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정관산업로 鼎冠産業路 | Jeonggwansaneop-ro |
|||
←
신평동 방면 윤산터널 |
77번 부산광역시도 |
우동 방면 → 미개통 |
|
←
석대동 방면 석대로 |
81번 부산광역시도 |
정관 방면 → 정관중앙로 |
|
←
매학리 방면 곰내길 |
25번 기장군도 |
매학리 방면 → 정관중앙로 |
|
노선 번호 | |||
77번 부산광역시도 81번 부산광역시도 25번 기장군도 |
|||
기점 |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회동교차로 | |||
종점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매학리 곰내터널입구 | |||
연장 | |||
11.6km | |||
관리 | |||
왕복 차로 수 | |||
4~8차로 | |||
주요 경유지 | |||
회동교차로 ↔ 개좌터널 ↔ 기장철마IC ↔ 곰내터널입구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회동교차로에서 출발하여 기장군 정관읍 매학리 곰내터널입구에서 끝나는 도로. 77번 부산광역시도, 81번 부산광역시도와 25번 기장군도의 일부이다.2. 역사
과거 81번 부산광역시도는 기장군도 17호선의 일부이기도 했던 개좌로와 곰내길이었다. 개좌고개와 곰내재를 넘어가는데, 특히 개좌재는 급경사와 심한 구배로 악명이 높았으며 대형사고도 몇 번 났다. 이후 정관산업로가 개설되면서 이설된 것.2009년 1월 7일에는 회동IC ~ 철마(중리 나들목)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으며 나머지 구간은 2009년 10월 21일에 개통되었다.[1] 개통 당시에는 회정로(Hoejeong-ro, 回鼎路)[2]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으나 도로명주소 개편 사업으로 인하여 정관산업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3. 구성
4. 교차점
중리나들목(백길)과 대곡나들목은 회동교차로 방향은 진입이 가능하며, 정관신도시 방향은 진출만 가능하다. 또한 중리나들목(웅천)과 정관나들목은 회동교차로 방향 진출만 가능하며, 정관신도시 방향은 진입만 가능하다.5. 연결 도로
기점인 회동IC에서는 번영로와 연결되어 경부고속도로, 구서동, 해운대구, 부산항 부두, 영도, 남포동 등으로 갈 수 있으며 종점에서는 정관중앙로를 통해 60번 지방도와 연결되어 양산시, 월평교차로, 임랑해수욕장 등으로 연결된다. 종점에서는 정관신도시 내로 진입할 수 있다.또한 회동IC와 장전지하차도를 잇는 윤산터널이 2020년 4월 20일에 개통되어 윤산터널과 산성터널을 경유하여 북구 화명동과 구포, 김해, 양산신도시, 부산신항, 거가대교, 거제시 방면으로의 이동이 한결 수월해졌다.
6. 효과
- 당연히 부산 시내에서 정관으로 들어가는 가장 빠른 길이 생겨나서 그쪽으로 교통량이 몰려들었다.
- 과거 개좌재를 통과할 수 없었던 대형 차량들이 철마면으로 진입하기 보다 쉬워졌다. 지금도 개좌재는 대형 차량의 통행이 금지되어있으며, 대신 자전거 운전자들은 업힐 체험 등을 이유로 개좌재로 몰려든다.
7. 주의사항
- 이 도로는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지만 자전거, 보행자는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차는 통행할 수 없다. 이에 대한 대체도로로는 개좌길嶺과 곰내길嶺[4]이 있다. 곰내터널 유치원 버스 전복 사고 관련기사로 인해 제한속도가 전구간 기존 80km/h에서 70km/h로 낮아지고, 개좌터널 - 곰내터널(정관방향) 구간단속 카메라가 생겼다. 단속 거리는 8.8km으로 거의 전구간이나 마찬가지라서 정관읍으로 진출하는 차량들은 자칫 속도냈다간 딱지 날라온다! 다만 철마면 또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량들은 구간단속이 적용되지 않아 과속하거나 1차로 정속주행하는 차량을 피해 칼치기를 하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출퇴근 시간대 차량통행량이 조금이라도 많아지만 1차로와 2차로 모두 50-70km/h로 정속 주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같은 이유로 자전거 운전자들은 정관신도시 방면 한정으로 석대로의 석대체육공원 ~ 회천IC 구간을 이용할 수 없다. 개좌재로 간답시고 석대로를 이용해서 쭉 가면 강제로 정관산업로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일부 구간에 대해 예외도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전거를 이용해서 개좌재로 간다고 하면 석대사거리에서 훅턴을 하거나 (명장동에서 진입시) 우회전을 하여 (석대동에서 진입시) 석대산단을 통과한 뒤 회동동에서 우회전하여 개좌로로 들어가야한다. 연산동이나 명장동에서 진입하는 경우 아예 금사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서동 라이프타운 쪽으로 가는 식으로 해서 개좌재로 들어가도 된다. 반대로 개좌재에서 도심으로 가는 경우에는 석대로 전 구간을 이용할 수 있다. 반송에서 출발하는 경우 아예 동부산대학교 쪽으로 틀어서 회동동화물차공영차고지를 거쳐 개좌로로 들어가도 되지만 업힐은 각오해야한다.
- 입석버스도 이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김포한강로와 비슷한 이유인데 정식으로 자동차전용도로 지정을 받지 않고 이륜차/자전거 통행 금지 조치만 되어있기 때문. 다만 입석버스인 107번과 184번 새로 신설된 105, 106번은 안전을 위해 시속 50km 이하로 운행한다.[5] 개좌로의 구배가 매우 심해 일반버스 입장에서는 대체도로가 없기 때문에 일반버스 통행을 위해[6] 유사제한만 실시했는데, 만약 개좌로의 구배가 심하지 않았다면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었을 확률이 100%다.
8. 헬게이트
이 고속화도로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으로 이루어진 정관신도시에서 그나마 부산 도심 방면으로 빠르게 나갈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도로이기 때문에 러시 아워 출/퇴근 시간대에는 교통체증으로 인하여 헬게이트가 열린다.. 또 명절이 되면 도로가 완전히 주차장이 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주변 나가는 도로들까지 다 마비 되어 버린다 더군다나 집중호우나 폭설로 인하여 교통이 마비되면 이 도로 또한 같이 마비되기 때문에 이 도로 이용을 할 수 없게 된다. 2014 동남권 폭우 사태 때 도로 전반이 침수되는 바람에 정관신도시는 완전히 고립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폭설이 와도 문제가 심각해지는데 정관신도시 문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곳을 빠져나가는 도로가 60번 지방도와 정관산업로 단 둘 뿐이라서 생기는 문제이다.60번 지방도는 기장군 좌천리와 반대편 월평교차로를 연결하여 동서로와 직결되기 때문에 애초에 부산 도심으로 나가는데 전혀 도움이 안 된다.[7] 따라서 출/퇴근 시간에는 차량들이 죄다 정관산업로로 몰린다.
9. 경유 노선
에전에는 이 도로를 급행버스들만 경유하였는데 2014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때 개통된 184번 시내버스도 이 도로를 경유하게 되었다.[8] 또한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때 1007번에서 형간전환되어 만들어진 107번도 이 도로를 지나가며 2017년 12월 30일부터 105번도 지나가게 되었다. 2023년 11월 11일부로 1010번 마저도 형간전환되어 만들어진 106번도 이 도로를 지난다. 그렇게 되면서 이 도로를 경유하는 급행노선은 1008번이 유일하다.9.1. 일반버스
9.2. 급행버스
10. 기타
부산 시민 대다수가 사후에 마지막으로 타는 대표적인 도로들 중 하나이다.[9] 이른 새벽이나 아침 시간대에 정관산업로 정관 방향으로 나가보면곰내터널 출구에서 1.5km만 가면 60번 지방도가 나오고 다시 입체교차 구간이 시작되며 두명마을 일대를 제외하면 울산 북구 농소까지 신호없이 갈 수 있다. 참고로 이예로-외현로간 접속도로가 개통되면 포항시 북구 흥해읍까지 무신호로 갈 수 있다.
최근 산성터널, 윤산터널이 개통하면서 도심방향으로 화명, 김해공항, 덕천, 사상이 적힌 표지판이 설치되어있다.
[1]
정관신도시, 동부산 중심축으로, 《내일신문》 2009년 11월 2일
[2]
금정구
회동동과
정관신도시의 앞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3]
해당 교차로는 2022년 현재 개통되지 않아 진출이 불가능하다. 부산시도 77호선 (외부순환도로)의 일부인 반송터널로 연결 되는 것으로 예정 되어있다.
[4]
이 길을
73번만이 유일하게 경유한다.
[5]
비슷한 이유로 300번과 111-1번이 운행하고 있는
산성터널과 520번이 운행하고 있는
거가대로의 부산시내 구간이 이런 식으로 운영 중이다.
[6]
일반버스가 꽉 찼다고 못 타면 승객은 승객대로 손해, 운수업체는 운수업체대로 손해인데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된 구간을 조금이라도 경유하면 실제로 그렇게 된다(...)
[7]
그냥 이 도로는
양산신도시나
물금읍,
북부산권으로 갈 때 이용할 수 있는 도로다.
[8]
대신 직통으로 가지 않고
철마면 웅천리, 백길마을, 철마초등학교, 대곡마을을 경유하여 간다.
[9]
대표적인 또 다른 도로는
번영로 대부분 영락공원에서
화장하고 정관에 있는
부산추모공원이나 인근에 있는 백운공원묘원 및 대정공원묘원 등지에 안장하는데,
영락공원에서
금정도서관로를 통해
노포동 쪽으로 진출할 수 없어서 모든
장의차들은 영락 IC<>
경부고속도로<>
번영로<>정관산업로를 타고 상술된 장지에 모셔진다.
[10]
장례행렬 차량들의 경우 최하위 차선(맨 바깥차선)을 타면서 비상깜빡이를 켬으로써 운구 중임을 알리므로
떼빙에 기인된 위험은 그나마 덜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