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7:38:35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준3급

준3급 한자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wiki style="margin:-8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logoHomeSc-removebg-preview (1).png '''''' }}}
급수별 배정한자
8급
50字
7급Ⅱ
100字
7급
150字
6급Ⅱ
225字
6급
300字
5급Ⅱ
400字
5급
500字
4급Ⅱ
750字
4급
1,000字
3급Ⅱ
1,500字
3급
1,817字
2급
2,355字
1급
3,500字
특급Ⅱ
4,650字
특급
5,978字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 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문제 유형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목록
2.1. ㄱ2.2. ㄴ2.3. ㄷ2.4. ㄹ2.5. ㅁ2.6. ㅂ2.7. ㅅ2.8. ㅆ2.9. ㅇ2.10. ㅈ2.11. ㅊ2.12. ㅌ2.13. ㅍ2.14. ㅎ
3. 총합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3급II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을 정리 해 놓은 문서.

이 레벨부터는 학생 수험생의 비율이 줄어들고 성인 수험생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인정이 되기 때문에 취준생들이 많이 취득한다.

2. 목록

2.1.


아름다울 가:

시렁 가:

다리 각

집 각

새길 간

줄기 간

간절할 간:

간 간(:)[1]

거울 감

굳셀 강

벼리 강

강철 강

대개 개:

낄 개:

덮을 개(:)[2]

상거할 거:

하늘/마를 건

칼 검:

사이 뜰 격

이별할 결

겸할 겸

겸손할 겸

이랑/잠깐 경

지름길/길 경

굳을 경

밭갈 경

맺을 계(:)[3]

계수나무 계:

열 계:

시내 계

기계 계:

시어미 고
稿
원고/볏짚 고

북 고

울 곡

골 곡

바칠 공:

이바지할 공:

두려울 공(:)[4]

공손할 공

자랑할 과:

적을 과:

너그러울 관

꿸 관(:)[5]

집 관

익숙할 관

갓 관

미칠 광

무너질 괴:

괴이할 괴(:)[6]

공교할 교

견줄/비교할 교

오랠 구:

잡을 구

언덕 구

국화 국

활 궁

주먹 권:

귀신 귀:

버섯 균

이길 극

새 금

비단 금:

거문고 금

미칠 급

말탈 기

빌 기

경기 기

그 기

꾀할 기

긴할 긴
ㄱ: 71자

2.2.


허락할 낙

계집 낭

견딜 내:

편안 녕

종 노

골/뇌수 뇌

진흙 니
ㄴ: 7자

2.3.


차 다 | 차 차

아침 단

다만 단:

붉을 단

맑을 담

밟을 답

엿 당[7]

당나라/당황할 당(:)[8]

대 대

빌릴/뀔 대:

건널 도

복숭아 도

넘어질 도:

질그릇 도

길 도:

칼 도

갑자기 돌

얼 동:
ㄷ: 18자

2.4.


이을/얽을 락

난간 란

난초 란

물결 랑(:)[9]

사랑채/행랑 랑

사내 랑

서늘할 량

들보/돌다리 량

힘쓸 려:

책력 력

쇠불릴/단련할 련:

연꽃 련

연이을 련

그리워할/그릴 련:

찢어질 렬

신령 령

고개 령

이슬 로(:)[10]

화로 로
祿
녹 록

희롱할 롱:

의뢰할 뢰:

우레 뢰

샐 루:

다락 루

여러/자주 루

인륜 륜

비율 률 | 거느릴 솔

밤 률

높을 륭

언덕 릉

벼슬아치/관리 리:

밟을 리:

속 리:

임할 림
ㄹ: 35자

2.5.


갈 마

삼 마(:)[11]

넓을 막

없을 막

장막 막

늦을 만:

망령될 망:

중매 매

매화 매

보리 맥

맏 맹(:)[12]

사나울 맹:

소경/눈멀 맹

맹세 맹

잘 면
綿
솜 면

면할 면:

꺼질/멸할 멸

새길 명

꾀 모

모양 모

그릴 모:

화목할 목

빠질 몰

어두울 몽

꿈 몽
貿
무역할 무:

무성할 무:

먹 묵

잠잠할 묵

무늬 문

말 물

작을 미

꼬리 미:
ㅁ: 34자

2.6.


핍박할 박

엷을 박

가지/일반 반

소반 반

밥 반

뽑을 발

꽃다울 방

무리 배:

북돋울 배:

밀칠 배[13]

맏 백

번성할 번

무릇 범(:)[14]

푸를 벽

남녘 병:

족보 보:

기울 보:

덮을 부 | 다시 복

배 복

봉새 봉:

봉할 봉

봉우리 봉

만날 봉

부호 부(:)[15]

부칠 부:

뜰 부

부세 부:

썩을 부:

붙을 부(:)[16]
簿
문서 부:

도울 부

달릴 분

떨칠 분:

어지러울 분

떨칠 불

왕비 비

계집종 비:

살찔 비

낮을 비:
ㅂ: 39자

2.7.


간사할 사

모래 사[17]

맡을 사

긴뱀 사

비낄 사

말/글 사

제사 사

깎을 삭

수풀 삼

서리 상

치마 상

뽕나무 상

잃을 상(:)

자세할 상

오히려 상(:)[18]

모양 상

갚을 상

찾을 색 |
노 삭

막힐 색 |
변방 새

용서할 서:

실마리 서:

천천할 서(:)[19]

마을 서:

아낄 석

풀 석

선 선

돌 선

호소할 소

사를 소(:)[20]

소통할 소

되살아날 소

송사할 송:

쇠사슬 쇄:

인쇄할 쇄:

쇠할 쇠

근심 수

목숨 수

장수 수

다를 수

보낼 수

따를 수

쓰일/쓸 수

드리울 수

짐승 수

맑을 숙

익을 숙

열흘 순

눈 깜짝일 순

돌/순행할 순

펼 술

젖을 습

주울 습 |
열 십

엄습할 습

탈 승

오를 승

중 승

모실 시:

꾸밀 식

삼갈 신:

심할 심

살필 심(:)[21]
ㅅ: 61자

2.8.


두 쌍
ㅆ: 1자

2.9.


맑을 아(:)[22]

나 아:

언덕 아

버금 아(:)[23]

싹 아

어금니 아

낯 안:

언덕 안:

바위 암

우러를 앙:

가운데 앙

슬플 애

같을 약 |
반야 야

사양할 양:

흙덩이 양:

날릴 양[24]

거느릴 어:

생각할 억

누를 억

전염병 역

또 역

부릴 역

번역할 역

역 역
沿
물따라갈/따를 연(:)

연할 연:

잔치 연:

제비 연(:)[25]

기쁠 열

물들 염:

소금 염

불꽃 염

그림자 영:

기릴/명예 예:

까마귀 오

깨달을 오:

옥 옥

기와 와:

느릴 완:

욕심 욕

하고자할 욕

욕될 욕

근심 우

짝 우:

집 우:

어리석을 우

깃 우:

운 운:

넘을 월

밥통 위

거짓 위

이를 위

오히려 유

그윽할 유

어릴 유

부드러울 유

벼리 유

넉넉할 유:

꾈 유

멀 유

불을 윤:

새 을

음란할 음

이미 이:

날개 익

참을 인

편안할 일

북방 임:

품삯 임:
ㅇ: 69자

2.10.


자줏빛 자

사랑 자

찌를 자: | 찌를 척[26]

잠깐 잠(:)[27]

잠길 잠

씩씩할 장

장사지낼 장:

오장 장:

단장할 장

손바닥 장:

어른 장:

감출 장:

심을 재:

옷마를 재

실을 재:

나타날 저:

막을 저:

발자취 적

고요할 적

피리 적

딸 적

자취 적
殿
전각 전:

점점 점:

깨끗할 정

정수리 정

우물 정(:)[28]

정자 정

조정 정

곧을 정

칠 정

모두 제

가지런할 제

조세 조

비칠 조:

억조 조

세로 종

앉을 좌:

기둥 주

구슬 주

그루 주

아뢸 주(:)[29]

물가 주

쇠불릴 주

집 주:

버금 중(:)[30]

곧 즉

미울 증

일찍 증

증세 증(:)[31]

찔 증

갈 지

못 지

가지 지

베풀 진: / 묵을 진[32]

우레 진

진압할 진(:)[33]

별 진 | 때 신

떨칠 진:

병 질

차례 질

잡을 집

부를 징
ㅈ: 63자

2.11.


이 차

빌/빌릴 차

어긋날 착

도울 찬:

창성할 창(:)[34]

푸를 창

곳집 창(:)[35]

빚 채:

채색 채:

나물 채:

꾀 책

아내 처

자 척

친척 척

넓힐 척

밟을 천:

천할 천:

얕을 천:

옮길 천:

밝을 철

통할 철

막힐 체

뛰어넘을 초

닮을/같을 초

주춧돌 초

닿을 촉

재촉할 촉

재촉할 최:

쫓을/따를 추

짐승 축

찌를 충

불 취:

취할 취:

곁 측[36]

값 치

부끄러울 치

어릴 치

옻 칠

잠길 침:

잠길 침(:),
성씨 심:[37]
ㅊ: 40자

2.12.


빼앗을 탈

탑 탑

끓일 탕:

거의 태

클 태

못 택

토할 토(:)

토끼 토

사무칠 투
ㅌ: 9자

2.13.


판목 판

엮을 편

조각 편(:)[38]

치우칠 편

허파 폐:

폐할/버릴 폐:

폐단/해질 폐:

잡을 포:

개 포

단풍 풍

입을 피:

가죽 피

저 피:

마칠 필
ㅍ: 14자

2.14.


멜 하(:)[39][40]

하례할 하:

어찌 하

학 학

땀 한(:)[41]

벨 할

머금을 함

빠질 함:

항상 항

항목 항:

울릴 향:

드릴 헌:

달 현:

검을 현

굴 혈

위협할 협[42]

저울대 형

슬기로울 혜:

넓을 호:

호걸 호

되 호

범 호(:)[43]

미혹할 혹

넋 혼

갑자기 홀

넓을 홍

재앙 화:

돌아올 환

바꿀 환:

임금 황

거칠 황

품을 회

뉘우칠 회:

얻을 획

그을 획

가로 횡

가슴 흉

드물 희

놀이 희
ㅎ: 39자

3. 총합

500자
[1] 肝(간기), 肝油(간유), 肝腸(간장)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다 장음이다. [2] 蓋棺(개관), 蓋草(개초) 빼고 다 장음이다. [3] 거란의 한자 이름인 契丹(계단)만 단음이다. [4] 恐怖(공포)빼고 다 장음이다. [5] 貫珠(관:주), 貫革(관:혁)만 장음이다. [6] 怪怪(괴괴), 怪常(괴상), 怪惡(괴악), 怪異(괴이), 怪歎(괴탄)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 [7] 과거에는 '사탕 탕'이라는 훈음도 존재했었으나, 언젠가부터 삭제되었다. [8] 唐突(당:돌)만 장음이다. [9] 浪太(낭태)빼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표준국어대사전의 경우 낭태 역시도 장음으로 되어 있다. [10] 露積(노:적)만 장음이다. [11] 麻雀(마:작)만 장음이다. [12] 孟浪(맹랑) 빼고 다 장음이다. 단,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장음으로 기록돼 있다. [13] 배구(排球), 배척(排斥), 배란(排卵) 등에 이 한자를 쓴다. [14] 성씨를 의미하거나 凡節(범절)은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 단, 범절의 경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장음으로 처리하고 있다. [15] 符信(부:신), 符作(부:작), 符籍(부:적), 符合(부:합), 符號(부:호), 符讖(부:참)(특급책에는 부첨으로 되어있는데 오타로 추정된다.)은 장음, 기타는 단음이다. [16] 附子(부자)( 한의학; 바꽃의 어린 뿌리)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부자도 장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17] 이체자로 가 있으며, 준특급에 속해 있다. [18] 성씨, 벼슬, 관청명(官廳名), 尙友(상우), 尙子(상자), 尙齒(상치)는 단음이고 높인다는 뜻은 대부분 장음, 아직, 오히려라는 뜻과, 尙論(상:론)은 무조건 장음이다. [19] 성씨, 國名, 地名은 단음이다. [20] 燒餠(소:병), 燒紙(소:지)만 장음이다. [21] 審藥(심:약), 審議(심:의), 審判(심:판)만 장음이다. [22] 雅淡(아담)빼고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아담 역시도 장음으로 취급하고 있다. [23] 亞細亞(아세아) 같은 음역어, 亞麻(아마) 같은 풀이름, 亞鉛(아연)같이 광물이름은 단음,
亞炭(아:탄) 같은 생물, 화학물질 관련용어, 亞房(아:방) 같은 벼슬 관련 용어, 버금이라는 뜻은 장음.
[24] 게양(揭揚), 부양(浮揚), 양력(揚力), 억양(抑揚), 인양(引揚), 찬양(讚揚), 국위선양(國威宣揚), 의기양양(意氣揚揚) 등에 이 한자를 쓴다. [25] 人名, 地名과 관련 되면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전부 장음으로 처리하고 있다. [26] '자'음만 장음이다. [27] 暫時(잠:시)만 장음이다. [28] 井邑詞(정:읍사)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단음이다. [29] 奏效(주효) 빼고 장음이다. [30] 친인척과 관련된 것만 장음이다. [31] 화병의 뜻 빼고 다 단음이다. [32] 베푼다는 뜻(陳述 등)은 장음, 낡다는 뜻(陳腐 등)은 단음이다. [33] 地名이나, 鎭靜(진정), 鎭魂(진혼)빼고 다 장음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지명만 단음으로 인정하고 있다. [34] 昌慶苑(창경원), 昌德宮(창덕궁) 昌盛(창성)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모두 단음이다. [35] 倉卒(창:졸)만 장음이다. [36] 좌측(左側), 우측(右側)의 '측(側)'과 측백나무(側柏-)의 '측(側)'이 이 한자다. [37] '심'음은 장음이다. 沈默(침:묵), 沈潛(침:잠), 沈靜(침:정), 沈重(침:중), 沈醉(침:취), 沈溺(침:닉), 沈淪(침:륜)도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침' 발음이 날 때는 모두 단음으로 보고 있다. [38] 片紙(편:지)만 장음이다. [39] 荷物(하:물), 荷役(하:역)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단음으로 간주한다. [40] 참고로 ' 연꽃'이라는 뜻도 있는데, 이 뜻으로 쓰인 단어는 박하(薄荷)와 천자문의 거하적력(渠荷的歷) 등이 있다. [41] 汗國(한국), 汗黨(한당)은 단음이고, 땀 관련 단어는 장음이다. 단, 국립국어원에서는 汗國도 장음으로 본다. [42] 이체자로 (준특급)이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脇(옆구리 협)과 脅(위협할 협)의 의미가 구분되어 있다. [43] 虎班(호반) 빼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장음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