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54170> |
이승만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54170,#ddd> 일생 | 일생 · 평가 (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 이승만/여담 | |
가족 | 아버지 이경선 · 양아들 이강석 · 양아들 이인수 · 아내 프란체스카 도너 | ||
정책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신문지법 · 농지개혁법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 ||
발언 | 정읍발언 · 과도정부 당면 정책 33항 | ||
정당 | 자유당 | ||
역대 선거 | 제헌 국회의원 선거ㆍ 제1대 대통령 선거ㆍ 제2대 대통령 선거ㆍ 제3대 대통령 선거ㆍ 3.15 부정선거 | ||
저서 | 일본 내막기 · 만주의 한국인들 · 독립정신 | ||
사건사고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단파방송 밀청사건 · 제주 4.3 사건 · 여수·순천 10.19 사건 · 국회 프락치 사건 · 6.25 전쟁 · 국민방위군 사건ㆍ 발췌 개헌 · 반공포로 석방 사건 · 암살 미수 사건 · 사사오입 개헌 · 진보당 사건 ·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부산정치파동 | ||
관련 독립운동 단체 | 독립협회 · 대한인국민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한미협회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인동지회 · 흥업구락부 | ||
관련 신문 | 제국신문 · 매일신문 · 태평양잡지 · 협성회회보 | ||
관련 시설 | 돈암장 · 이화장 · 인하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 ||
관련 사상 | 일민주의 · 기독교입국론 | ||
기타 | 에버레디 계획 | ||
관련 창작물 |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 이승만(야인시대) · 건국전쟁 · 기적의 시작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정부 참고 |
이승만계 친이승만계 |
|||||
<colbgcolor=#254170> 형성 | <colbgcolor=#ffffff,#1f2023> 1945년[1] | ||||
해체 | 1963년 | ||||
수장 | 이승만 | ||||
정치적 이념 | 사회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기독교 우파, 반공주의, 반일주의 | ||||
경제적 이념 | 경제적 자유주의 | ||||
주요 정치인 |
이기붕 허정 윤치영 이재학 안호상 변영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국민당 | ||||
자유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자유당 | |||||
자유당 | |||||
해체 | }}}}}}}}} |
[clearfix]
1. 개요
이승만을 따랐던 정치인을 일컫는말.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계파이자 자유당의 이기붕계와 이재학계과 함께 삼대계파였다. 다만 이기붕계와 이재학계도 이승만계의 한갈래였다는 걸 생각하면 사실상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보면 된다. 이외의 계파로는 원외 자유당과 원내 자유당 그리고 장택상을 중심으로 한 신라회가 있다.
1960년에는 이승만이 하야하면서 와해되기 시작하여 대한민국 제3공화국 이후에는 완전히 해체되었으며, 민주공화당 등의 정당으로 흩어졌다.
헤체 이후에도 많은 이승만계는 정치생활을 계속하거나 기업인, 언론인 등의 직업을 가지고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2. 명단
2.1. 핵심 인물
2.2. 거물급 인물
- 함태영
- 안호상
- 변영태
-
장면 -
이시영- 국민방위군 사건으로 인해 이승만계를 이탈. -
이범석- 1950년대 초중반에 사이가 멀어졌다. -
장택상- 절친인 조봉암의 사형으로 이승만계에서 사실상 이탈. - 윤치영
- 이갑성
- 이재학
- 조경규
- 장경근
- 이익흥
- 남송학
- 강성태
- 백두진
- 이순용
- 신성모
- 김활란
2.3. 기타
- 기타 인물: 유창준, 오세창, 고재봉, 임흥순, 원용한, 서이환, 최용덕, 석상옥, 김성진, 오정수, 이해익, 전예용, 이병도, 이종찬, 권승렬, 곽의영, 한희석, 송인상, 구용서, 임철호, 김일환, 홍진기, 신현확, 최재유, 손창환, 조순, 김의준, 인태식, 정낙훈, 박만원, 김형근, 문봉제, 백한성, 윤호병, 이호, 임영신, 이종린, 신광균, 이항발, 신의식, 최석림, 전형산, 황성수, 한광석, 오범수, 이성득, 장기영, 김태선, 양성봉, 배상갑, 이근용, 정남택, 송영주, 서한두, 홍순희, 허윤수, 김창수, 송우범, 김석진, 김주묵, 정일권, 김정렬, 이선근, 신태영, 양우정, 오재영, 김종신, 황병우, 성보경, 문창모, 김성곤, 김진만, 최치환, 박희현, 홍창섭, 원용석, 이성주, 김두진, 권성기, 이은상, 손문경, 손석두, 이용범, 이영언, 이갑식, 이동근, 김원태, 박흥규, 반재현, 김장섭, 김원규, 정상희, 김정근, 김정기, 최석림, 유기수, 오범수, 이정석, 하태환, 함재훈, 조광섭, 지영진, 최규옥, 이존화, 박순석, 송방용, 장석윤, 최규남, 정대천, 정낙훈, 민병기, 손재형, 임문환, 임우영, 김동성, 정현모, 정헌조, 박상길, 이영희, 김용우, 황병규, 정규상, 이원장, 김봉재, 정명섭, 반재현, 배길도, 이민우, 김성탁, 김수선, 정세환, 서인홍, 국쾌남, 김병순, 정재설, 임차주
- 군부 인사: 채병덕, 백선엽, 이형근, 송요찬, 김창룡
- 법조계 인사: 민복기, 오제도, 배영호, 신언한, 김치열
- 경찰 인사: 이강학, 김종원, 이성우
- 재계 인사: 이병철
[1]
독립운동가 시절 이승만계는 미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