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산당#s-5|{{{#fdfa00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베트남 노동당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쯔엉찐 | 호찌민 | 레주언 | }}} | |||
베트남 공산당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레주언 | 쯔엉찐 | 응우옌반린 | 도므어이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레카피에우 | 농득마인 | 응우옌푸쫑 | 또럼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주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dfa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
제1대 | 제2대 | 제3대 | ||
호찌민 | 똔득탕 | 쯔엉찐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보찌꽁 | 레득아인 | 쩐득르엉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응우옌민찌엣 | 쯔엉떤상 | 쩐다이꽝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응우옌푸쫑 | 응우옌쑤언푹 | 보반트엉 | |||
제13대 | 제14대 | ||||
또럼 | 르엉끄엉 | ||||
|
}}}}}}}}}}}}}}} |
<colbgcolor=#DA251D><colcolor=#fdfa00>
베트남 공산당 제7대 중앙위원회 총비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제10대 국가주석 응우옌 푸 쫑 阮富仲(완부중) | Nguyễn Phú Trọng |
|
|
|
출생 | 1944년 4월 14일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통킹 보호령
하노이 동아인현 (現 베트남 하노이 동아인현) |
|
사망 | 2024년 7월 19일 (향년 80세) |
베트남 하노이 호안끼엠군 108중앙군사병원 | |
재임기간 | 제9대 국회주석 |
2006년 6월 26일 ~ 2011년 7월 23일 | |
제7대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 |
2011년 1월 19일 ~ 2024년 7월 19일 | |
제10대 국가주석 | |
2018년 10월 23일 ~ 2021년 4월 5일 | |
배우자 | 응오 티 자오 |
자녀 | 슬하 1남1녀 |
학력 |
하노이 국립대학 (
언어학 /
학사) 호치민 국립 정치대학원 ( 정치 경제학 / 박사) 소련 과학 아카데미 ( 사학 / 박사) |
소속 정당 |
[[베트남 공산당|]] |
경력 |
공산당 기관지 편집장 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이념위원회 부위원장 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이념위원장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공산당 정치국 위원 베트남 국회대표 하노이 공산당위원회 서기 |
[clearfix]
1. 개요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제7대 총비서. 제10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주석이기도 했다.2. 생애
수도 하노이 출신이며 하노이 국립대학을 졸업하고 1968년 베트남 공산당에 공식적으로 가입했다. 하노이성 비서로 재임하던 중 1997년 12월, 베트남 공산당 8기 4중전회에서 정치부 위원으로 보선되었으며, 2001년 9차 당대회에서도 정치부 위원에 재선, 이후 지금까지 쭉 정치부 위원으로 재직 중이다.베트남 국회주석을 역임하고 2011년에 공산당 총비서에 선출됐으며 2016년, 12차 당대회에서 65세 연령제한에 이의를 제기하고 총비서 연임에 도전해 재선되었다. 원래 하노이성 비서 팜꽝응이, 공안부장 쩐다이꽝, 조직위원장 딘테후인 등이 차기 총비서로 거론되었으나 이들 모두 당내에서 충분한 지지를 확보하지 못해 낙마하는 바람에 응우옌푸쫑이 재선되었다. 총비서로 재임하면서 부패 척결운동, 당 정돈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2018년 10월 4일에 공산당 당대회에서, 사망한 쩐다이꽝 전 주석의 뒤를 이은 차기 주석 후보로 공식 선출됐다. 10월 말 국회에서 국가주석으로 정식 선출되어 호찌민 이후 처음으로 당 총비서직과 국가주석직을 겸직하는 인물이 됐다. 해외언론에서는 호찌민 이후 가장 큰 권력을 가진 베트남 지도자라고 평가하였다.
2차 북미정상회담이 베트남에서 개최되었을 때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 적 있다.
2021년 1월 31일 열린 13차 공산당 대회에서 이례적으로 당 총비서직 3연임에 성공했다. 레주언 이후 최장 집권하는 총비서가 됐다. # 다만 2018년 겸임했던 주석직은 2021년 다시 분리해 수상이었던 응우옌쑤언푹에게 이양했다. 응우옌푸쫑과 더불어 12기 정치부 위원들도 10차 당대회에서 도입된 연령 제한을 무시하고 재선되었는데, 이는 베트남 공산당 안에서 차기 지도부를 누구로 구성할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1] 응우옌푸쫑이 이후 2024년에 임기 중 사망한 점은 베트남 공산당 내부에서 지도부 합의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보여주고 있다.
원래 응우옌푸쫑의 후계자로 부패척결운동을 주도해온 상직비서인 쩐꾸옥브엉이 제일 유력하였으나, 13차 당대회 직전에 열린 베트남 공산당 12기 15중전회에서 전꾸옥브엉의 인기가 영 시원치 않아서 총비서 승계는 고사하고 정치부 위원에도 선출되지 못했다.
3. 사망
2024년 7월 19일, 베트남 현지 시각으로 오후 1시 38분경에 109중앙군병원에서 사망했다. 이미 전날인 18일에 베트남 공산당측에서 건강문제로 인해 당분간 총비서직을 또럼 국가주석이 대행한다고 밝혔었다.베트남 당국은 25일부터 26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을 가진 다음 마이딕 묘지에 안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국장이 거행되었으며 또럼을 수위로 하는 35명의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세계 각국에서 조문사절단이 파견되었는데 한국에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파견되었다. 일본에선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가 특사로 파견되었으며, 중국에선 왕후닝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이 파견되었다. 북한은 특사파견은 생략하고 김정은이 조전을 보낸 후 조용원을 시켜서 조화를 베트남 대사관에 전달했다.
4. 약력
- 베트남 국회주석 (2006 ~ 2011)
-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 (2011 ~ 2024)
- 베트남 국가주석 (2018 ~ 2021)
[1]
1996년 7월, 8차 당대회에서 지도부 교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7기 지도부를 일단 유임시켰다가 1997년 12월에야 합의를 이루어 베트남공산당 9기 4중전회에서 원로 정치부 위원 3인이 사퇴하고 4명을 보선한 바 있다.